-
-
사실의 수명 - 진실한 글을 향한 예술과 원칙의 대결
존 다가타.짐 핑걸 지음, 서정아 옮김 / 글항아리 / 2025년 3월
평점 :
이건 콩트인가, 만담인가. 에세이 하나를 두고 인턴 편집자가 받은 상사의 지시는 해당 글에 대해 '뭐든' 팩트체크를 하라는 것. 그래서 그는 한다. 문단 한 개, 문장 한 개, 단어 한 개까지, 사사건건. 그리고 작가는 반발한다, 미주알고주알.
"아니 상식적으로…… 아이고." 편집자의 지적에 저항하고 낙담하는 작가처럼, 독자도 책을 두세 쪽만 읽으면 정확히 이런 상태가 되며, 진이 빠져 기진맥진해져서는 헛웃음이 나오고 만다. 신랄하던 편집자도 물론 칭찬을 하기는 한다. 다만 너무 사무적이어서 그저 우스갯말처럼 들릴 뿐.
"존 선생은 언론인이 아니다. 또한 논픽션 작가도 아니다. 하지만 그는 반드시 픽션이라곤 할 수 없는 기사 비슷한 텍스트를 쓰는 작가다." 담당 편집자 짐이 작성한 메모다. "제발 부탁인데요, 작작 좀 하시죠." 그리고 작가 존의 볼멘소리. 어쩌면 이 둘은 멋진 아삼륙이 아닐까?
책을 내리 읽다 보면, 문장과 단어 하나하나의 새로고침 작업에서 이 팩트체크가 픽션과 논픽션의 규정, 예술로서의 글쓰기 영역과 사실 관계의 충돌 등으로 뻗어나가 확장하는 걸 보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 '글 쓰다'가 온전한 자동사로서 동작할 수 있을는지는 다른 문제다.
다행스러운 점은 여기서 (롤랑 바르트가 '스크립투리레scripturire'라 불렀던)'글쓰기-의지'는 포기되지 않는다는 거다. 생산성이야 독자가 읽는 바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니 걱정 없을 테고, 글의 임무와 자유, 다듬기와 날조의 측면에서 봐도 일단 존은 썩 괜찮은 글을 완성했으니까.
물론 창조의 권리만큼 비평의 권리 또한 중요하지만 비평을 하려면 우선 창조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걸 문학의 발전과 도태의 관념에서 볼 게 아니라 '예술과 윤리'의 잣대를 들이밀어야 하는 상황이니 어지러운 것일 뿐. 그렇다면 논픽션의 본질은 뭘까? 이 책에 그 해답 비슷한 것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