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밀한 이방인 - 드라마 <안나> 원작 소설
정한아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질서를 연기하는 한, 진짜 삶은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다. 그렇다면 진짜 삶은 어디 있는가? 그것은 인생의 마지막에서야 밝혀질 대목이다. 모든 걸 다 잃어버린 후, 폐허가 된 길목에서.133




파장이 큰 소설을 읽을 때마다 그렇듯이 이번에도 책을 읽고 한동안 얼떨떨한 시간을 보냈다. 감상을 꼭 남기고 싶은 책이었지만 선뜻 써 낼 수가 없었다. 그러다가 '안나'라는 제목으로 이 소설을 각색한 드라마를 봤다. 원작을 많이 훼손한 느낌이었지만 주인공의 연기도 좋았고 나름대로 괜찮았다. 드라마는 6개의 에피소드로 나뉘어 있다. 퍼트리샤 하이스미스 원작의 영화 '리플리'가 떠올랐다. 주된 소재가 닮았을 뿐 색깔이 전혀 다른 작품이라고 할 수 있었다. 드라마까지 보고 나니 먼저 읽은 소설에 대한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간략히 옮겨본다. 



선천적인 청각장애를 가진 어머니와 양복 기술자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이유미는 아버지의 애정 어린 지원을 받으며 여유롭게 자란다. 수입이 줄어 살림이 빠듯해진 뒤에도 아버지는 딸을 뒷바라지하기 위해 애쓴다. 그런 탓이었을까? 실제 자신의 현실보다 허영심에 먼저 눈뜬 이유미는 대학 입시에 떨어지지만 아버지를 실망시키기 싫어 거짓말을 하게 된다. 명문대에 합격을 했다고. 그리고 생활비와 학비로 재수학원에 등록했는데 어찌하다 보니 진짜 재학생과 연이 닿아 막상 학원에는 소홀해지고 대학생인 척 살게 된다. 



이유미는 점점 대담해진다. 돈을 주고 신분을 위조하고 결혼하려 했다가 파혼 당하는 등 돌이킬 수 없는 거짓된 삶으로 점점 더 빠져들었던 것이다. 아버지도 돌아가시고 치매가 시작된 어머니의 치료비며 사는 것이 여의치 않자 잠시 정신 차리고 살기 위해 애쓰지만 운명도 이제 위장의 삶으로 그녀를 끌어들인다. 나중에는 한 여성과 결혼하기 위해 남성 소설가로 변신하는데 직접 쓰지 않은 소설을 자기 것인 양 속여 문인 협회에도 등록한다. 너무나 능수능란해서 읽던 도중에 여러 번 웃음이 터져 나왔다. 정한아 작가가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유미가 속인 사람들과의 인터뷰 설정 등-이 꽤 재밌었다. 



정도의 차이일 뿐 누구나 상황에 걸맞은 가면을 바꿔 쓰며 살아간다. 자신이 맡은 역할에 얼마나 충실한지에 따라 사회적 성공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어떤 사람들은 그걸 잘 하고 어떤 사람들은 실패한다. 나는 후자에 가깝고 종종 가식적인 삶에 회의를 느끼는 편이다. 그런 면에서 살아갈수록 각자의 취향이 확고해지는 것 같다. 뭔가를 알아갈수록 이전으로 돌아가기 힘들어지는 거겠지. 이유미는 남의 신분으로 쉽게 성공적인 삶을 거머쥘 수 있음을 알아버렸고 실제 비참한 자신의 현실을 인정하기 버거웠을 것이다. 내가 절대 하지 않을 선택을 한 이유미의 삶을 보며 공감이 되고 위로를 받은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진실의 시퍼런 날이 정수리를 찍어내리더니, 제 몸을 발끝까지 반으로 가르고 지나갔어요. 저는 눈을 감고, 그것이 저의 숨을 끊어놓기를 기다렸어요. 그런데 다음 순간 오히려 눈에서 비늘이 벗겨져나간 것처럼 모든 상황이 이해가 되더군요. 그가 왜 과거에 대해 말하기를 꺼려왔는지, 왜 내가 가까이 갈 때마다 깜짝 놀란 듯이 피하고 멀리했는지, 왜 그렇게 홀연히 우리를 떠났는지, 흩어졌던 조각들이 순식간에 제자리를 찾았어요. 20






언제부터였을까. 그의 반듯함이 나의 난잡함을 드러내고, 그의 여일함이 나의 광기를 불러내고, 그의 밝음이 나의 어둠을 일깨운 것은. 나는 그에게 포섭되는 대신 더 낮은 곳으로 추락했다. 외도는 그 과정의 일부였을 뿐이다. 135




안나 : 취향이나 안목이라는 게 한 번에 생기지도 않지만 또 한 번 올라간 안목은 쉽게 내려오지는 못하는 거죠.




힘은 자신에게 종속된 사람을 사물로 만들어 버립니다. 끝까지 행사되는 힘은 사람을 문자 그대로 사물로 만듭니다. (...)누군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잠시 후엔 아무도 없습니다.-시몬 베유.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곡 2023-10-30 20: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수지 주연 신작 드라마가 최근 넷플에 올라왔던데 재미와 고구마를 함께 줄 것 같아 선뜻 클릭 못 하고 있습니다

미미 2023-10-30 20:21   좋아요 2 | URL
서곡님 아마 <이두나>말씀하시는 거겠죠? 아이돌 이야기라 하여 안봤습니다ㅋ
제가 고구마를 잘 견디지 못하는 편인데 <안나>는 재밌게 봤어요ㅋㅋㅋㅋ

그레이스 2023-10-30 21:28   좋아요 2 | URL
전 봤습니다.
제가 재밌다고 했더니, 애들이 20대 취향이라고 하더군요 ㅎㅎ

서곡 2023-10-30 20: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네 그 제목이 맞을 겁니다 정보는 없는데 ‘안나‘와 비슷한 느낌이 아닐까 해서요 ㅎㅎ 화려한 아이돌의 세계를 동경하는? 이 내용이 아닌데 맘대로 상상하는 걸 수도 있습니다 ㅋㅋ

서곡 2023-10-30 20: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나저나 [나중에는 한 여성과 결혼하기 위해 남성 소설가로 변신하는데 직접 쓰지 않은 소설을 자기 것인 양 속여 문인 협회에도 등록한다. 너무나 능수능란해서 읽던 도중에 여러 번 웃음이 터져 나왔다.] --> 지금 떠들썩한 현실의 사기행각이 연상됩니다 ㄷㄷㄷ

미미 2023-10-30 20:40   좋아요 1 | URL
네ㅋㅋㅋ 저도 비슷하다고 생각했어요. 별의별 속사정이 다 기사화 되고 있더군요.
소설은 재밌어서 마음껏 웃을 수 있었는데 현실의 사건은 참 ...ㅋㅋㅋ

독서괭 2023-10-30 20:5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이 소설 재밌군요?? 진짜 요즘 뉴스를 도배하는 사기행각 떠올라서 오싹하네요^^;;

미미 2023-10-30 21:14   좋아요 1 | URL
그쵸ㅋㅋ소설에서 남자로 위장한 에피소드는 블랙 코미디같기도 하고 재밌었어요^^ 드라마엔 없어서 아쉽기도ㅋㅋㅋ

그레이스 2023-10-30 21: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질서를 연기하는 한! ...이 말 완전 공감이요

미미 2023-10-30 22:07   좋아요 1 | URL
이런 문장들이 여럿 있어서 철학책을 한 권 읽은 기분이예요^^

유부만두 2023-10-30 22:2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ㅋㅋ 저도 그 커플 뉴스에 이 소설이 생각나서 읽었어요.

미미 2023-10-30 22:55   좋아요 0 | URL
그러셨군요ㅋㅋㅋ정한아 작가도 뉴스보며 신기해했을것 같아요.

페넬로페 2023-10-31 01: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가면과 거짓말은 조금 다른 것 같아요.
우리 모두 가면을 쓰고 살아가지만 그것이 꼭 거짓말은 아니잖아요.
이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은 계속 거짓된 삶을 살아가고 그것으로 더 큰 거짓말을 낳고 사기행각을 하고,~~
아무 관심도 없었는데 하도 기가 차기도 하고, 어쩌면 그렇게 멀쩡하게 남을 속일수가 있을까 하는, 또 그것에 넘어가는 사람도 있는 요즘 사건이 생각납니다 ㅠㅠ

페넬로페 2023-10-31 01:23   좋아요 1 | URL
질서를 연기하는 한,
이 말이 저한테는 어려워요.

미미 2023-10-31 08:43   좋아요 1 | URL
그럼요. 리뷰에는 담지 않았지만 ‘난파선‘이었던가요? 그 소설 작가의 삶과 이유미의 삶을 나란히 보여준데서 개인적으로 유사성을 느꼈어요. 친밀한 이방인이란 제목도 그렇고요. 물론 사기 행각을 벌인 이유미와 그 작가가 똑같다고 할 수는 없겠죠. 뉴스에 나온 사람처럼 그건 범죄니까요^^

가필드 2023-10-31 15: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미미님 드뎌 읽으셨군요 역시 간략항 핵심 정리를 넘 잘하셨어요 ^^

미미 2023-10-31 16:14   좋아요 1 | URL
너무 재밌게 읽었어요!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는데 담달 주문때 사려고요^^

새파랑 2023-10-31 23: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안나는

카레니나 아닌가요? ㅋㅋㅋ

‘한번 올라간 안목은 쉽게 내려오지 못 한다‘ 이 말 완전 공감합니다~!!

미미 2023-11-01 07:11   좋아요 1 | URL
앗ㅋㅋㅋㅋ그러네요ㅋㅋ

그쵸!! 와닿는 문장들이 많았어요 블랙 코미디같은 장면들도 재밌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