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 8시경이 되면 대종이 울리는데 이것은 남자들에게 귀가할 시간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이며 여자들에게는 외출하며 산책을 즐기며 친지들을 방문할 수 있는 시간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자정이 되면 다시 종이 울리는데 이때면 부인은 집으로 돌아가야 하고 남자들은 다시 외출하는 자유를 갖게 된다.(...) 한 양반가의 귀부인은 아직 한 번도 한낮의 서울 거리를 구경하지 못했다고 나에게 말하였다. "p.232
조선을 방문했던 영국인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1898년 출간한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이란 책에서 조선의 거리 풍경을 위와같이 묘사했다. 물론 정희진이 말한대로 과거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과 지금 여성들이 살아가는 여건을 비교하는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성차별을 드러내려면 현재를 같이 살고 있는 남성들과 여성들의 삶이 어떻게 다른지 파악하는 것이 관건이다. 장애인과 비장애인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수요소 중 하나인 '공간'의 관점에서 보면 여성들의 삶이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느낄수 있다. 예를들면 오디세우스가 20년간 온갖 모험을 하는 동안 페넬로페는 집안에서 내내 그를 기다린다. 그녀를 탐내던 구혼자들인 남성들은 거리낌없이 집에 들이닥쳐 페넬로페의 마음을 사로잡으려한다. 호메로스는 그런 그녀를 칭송했다. 엘레나 페렌테의 소설 '새로운 이름의 이야기'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니노는 완벽한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그것도 무일푼으로) 혼자서 고향인 나폴리를 떠나 영국으로 간다. 레누는 그럴 수 있는 니노가 부럽다고 말한다. 릴라에게 '왜 우리는 그럴 수 없는 걸까'하고 반문한다. 그때나 지금이나 여고생이 무일푼으로 타국으로 떠날 수 있을까?
과거와는 달라졌지만 요즘도 여성들은 '공간'의 제약을 받는다. 남편은 아무리 일하지 않고 집에만 틀어박혀 있어도 '안사람'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일하는 아내는 밖에서 아무리 바빠도 '안 사람'이다. 여성이 운전하면 '김여사'란 말을 들을 수 있다. 육아에 쫒기다 겨우 시간을 내어 친구들과 브런치를 즐기는 여성들도 역시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런것들은 집이 아닌 외부를 남성들만의 공간으로 제한한다. 외부에서도 '화장실'은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인데 여성들은 몰카의 위협에 시달린다. 사이버 공간에서 여성들은 성착취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일터에서는 유리천장, 유리절벽의 한계가 능력있는 여성들의 공간을 한정시키기 위해 굳건히 버티고 있다.
인류학자 메리 더글러스는 저서 '순수와 위험;에서 더러움을 '자리place'에 대한 관념과 연결시켰다. 더럽다는 것은 제자리에 있지 않는 것을 뜻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발은 그 자체로는 더럽지 않지만 식탁 위에 두기에는 더럽다. 마찬가지로 여자가 남성을 위한 공간에 들어가는 것은 더러운 것이기에, 거리에 보이는 여자는 '더러운 창녀'였다. 이 같은 관념은 단어에도 그 흔적을 남겼다. 거리의 남자man of the streets는 거리의 규칙을 따르는 남자일 뿐이지만, 거리의 여자woman on the streets는 창녀street walker를 뜻한다. p.235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16/pimg_7592501083559143.jpg)
피에타-미켈란젤로
공간적인 제약 뿐만이 아니다. 인생의 후반기에 마주하는 시간적 공간인 노화는 현실 뿐만 아니라 예술의 세계에서도 죄악시 되고 순수하지 못함, 징벌로 묘사되었다. 정도는 다르지만 이건 노년남성도 마찬가지다. 마녀를 표현하는 주름지고 늘어진 피부, 검버섯등은 노년의 여성을 상징한다. 미켈란 젤로의 피에타를 보라. 숨을 거둔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마리아의 모습은 다큰 성인이었던 예수의 나이에 비해 너무 젊은 여성으로 표현되었다. 순수하고 거룩한 상징에 죄악시된 노화는 들어설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15/pimg_7592501083559107.jpg)
마차를 모는 여인과 소녀-메리 커샛
하지만 주어진 여건에 굴하지 않은 여성들은 어느 시대에나 있었다. 위 그림을 그린 메리 커샛은 아버지의 반대를 무릎쓰고 프랑스로 유학을 간다. 미술에 대한 열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그림은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유일하게 여성이 운전하는 모습을 담았다. 소설가였던 조르주 상드는 자신을 제한하는 여성의 삶을 벗어던지고 과감하게 남장을 했다. 코르셋과 전족처럼 과거 여성의 복장은 자유로운 활동을 구속하고 제약했기 때문이다. 여러 말들이 오가지만 조지 앨리엇도 여성작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의지로 메리 앤 애반스라는 본명을 버린것으로 보인다. '기울어진 미술관'은 권력의 위계가 담긴 미술사의 숨겨진 이야기를 작품들과 함께 잘 풀어낸다. 사회로부터 외면받고 때로는 이용당하며 편견의 희생자가 되어야만 했던 마이너들의 삶을 끄집어내어 그림의 또다른 모습을 흥미롭게 설몀해준다. 마이너들의 기울어진 역사는 현재 진행형이다. 이 책에 담긴 이야기들을 통해 감출수록 때로 더 역동적으로 드러나는 권력관계를 희망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