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앎은 나에게 들어와 차곡차곡 쌓이고 어떤 앎은 내가 쌓아온 세계를 한방에 무너뜨린다. 전자는 나를 성장시키고 후자는 나를 다른 세계로 데려간다. 새로운 세계에 들어섰을 때 나는 연신 감탄하며 동시에 이렇게 읊조린다.
"온통 잘못 알고 살아왔군."
"나는 아무것도 몰랐던 거야."
- P12 (짐을 끄는 짐승들 중 추천사, 홍은전)
이 문장을 읽고 떠올린 '해러웨이 선언문'은 내게 마치 다른 세계로 가는 열린 문과 같았다. 3장으로 구성된 이 책의 첫번째 장인 '해러웨이 선언문'은 1985년에 해러웨이가 세상에 열어놓은 새로운 시도,실험이다. 이 책의 서문을 쓰고 3장 '반려자들의 대화'에서 해러웨이와 대화를 주고받은 캐리울프가 언급한 것처럼 '해러웨이 선언문'은 파격적인 문체와 화법,스웨거(swagger)로 읽는 사람들을 혼란의 도가니에 빠뜨린다. 독자들은 이 장을 읽어나가며 각자의 이해만큼 자신만의 뜨개질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해러웨이 선언문'은 하나의 진실을 주입하고 전하는 방식이 아니다. 기존에 우리를 가두던 세계에서 열린 문을 통해 밖으로 나가기를 요구한다.
글쓰기는 무엇보다 사이보그의 기술로, 20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글자판이다. 사이보그 정치는 언어를 향한 투쟁으로, 완벽한 소통에 대항하며, 모든 의미를 완벽하게 번역해내는 하나의 코드, 즉 남근 로고스 중심주의라는 중심 원리에 대항하는 투쟁이다. 사이보그 정치학이 소음을 고집하며 오염을 긍정하고 동물과 기계의 불법적 융합을 기뻐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P75
우리는 통념에 갇혀있다. 태초의 이야기 속에는 신과 닮은 온전한 인간이 있다. 세계는 신의 모습을 한 그 인간에 의해 이름지어지고 구성되어간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동물과 구분되어지고 지적인 세계를 넓혀가며 태초에 존재했던 신의 영역을 향해 끊임없이 도약해 나아간다. 그 과정에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들은 단일한 기준에서 벗어나는 것일수록 이분법으로 분류되어 배제되는 동시에 억압, 지배당한다. 지배계층을 위한 수단이 된다. 해러웨이는 이러한 단일한 기준을 오히려 분산시키고 흩뜨려 개별화할 것을 제안한다. 사이보그 이미지를 통해서. 그녀의 다양한 지식을 망라한 글쓰기와 표현 방식 자체가 그런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사이보그 이미지는 우리 자신에게 우리의 몸과 도구를 설명해왔던 이원론의 미로에서 탈출하는 길을 보여줄 수 있다. 이것은 공통 언어를 향한 꿈이 아니라, 불신앙을 통한 강력한 이종언어heteroglossia를 향한 꿈이다. 이것은 신우파의 초구세주 회로에 두려움을 심는, 페미니스트 방언의 상상력이다. 이것은 기계, 정체성, 범주, 관계, 우주 설화를 구축하는 동시에 파괴하는 언어이다. 나선의 춤에 갇혀 있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이지만, 나는 여신보다는 사이보그가 되겠다.- P86
해러웨이는 에코 페미니스트들이 주장하는 자연과 여성의 동일시를 거부하면서 오히려 기술과학의 잠재력을 이용하고 있는 현재 세계를 철저히 분석하고 여성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생각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 "사이보그 선언" 이다.
"사이보그 선언"을 통해 해러웨이는 현대 기술과학인 생명공학, 정보과학, 통신이 여성에게 새로운 힘 권력의 가능성을 제공했다고 보고, 이런 힘이 정치를 가능하게 하는 원천이 된다고 말한다. - P101 (컴북스,도나해러웨이,이지언)
우리집 츄츄(노견 시츄)를 산책시키다보면 개를 데리고 나온 이웃들을 종종 자주 마주친다. 반려견의 주인들과는 반려견들의 건강상태 및 변화된 상황, 다양한 에피소드와 안부를 나누며 관계를 이어간다. 그 옆에서 자기를 봐달라며 혀를 내밀어 섹섹거리는 녀석들은 꼬리를 흔들고 방방뛰며 나를 반기고 있다. 그들에게 내 다리 한쪽을 쭉 내밀어준다. 그러면 개들은 냄새를 맡고 내 눈을 마주치며 그 정보로 나의 안위를 확인하는 것 같다. 그 사이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 외에도 다양한 물질들이 우리사이 교환되고 결합될 것이다. 삶의 순간순간을 채워가는 선택과 방식은 지구라는 이 세계와 나와의 끝임없는 관계와 교류를 형성해간다. 이 세계에는 결코 신의 형상을 한 우리 뿐만이 아니다. 우리가 다양한 형상들, 개별성으로 나뒤듯 생태계를 이루는 무수한 존재들이 이 안에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다른 수사, 다른 메타플라즘이 필요하다. "내가 개를 하나 데리고 있다면 나의 개는 인간을 하나 데리고 있다." P182
나는 인간의 언어라는 좁은 케이지에 갇혀 있었다. 언어에게 너무 큰 권력을 줘버려서 그것에 잠식당했다. 불안으로 쉽게 잠들지 못하는 밤에 고양이를 쓰다듬는다. 그는 몸통 어딘가를 울려 그르렁그르렁 낮은 진동 소리를 낸다. 인간이 이해할 수 없고 언어가 흉내 낼 수 없는 세계가 있다는 걸 받아들이며 잠이 든다. 동물의 해방을 위해 무엇이든 하고 싶다는 마음은 공감이나 죄책감 같은 인간적인 것과 상관이 없다. 오히려 그 반대다. 비장애중심 사회가 우리의 인간성을 억압하듯 인간중심 사회는 우리의 동물성을 억압한다. - P24 (짐을 끄는 짐승들, 홍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