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는 고대 로마 신화에 나오는 지혜의 여신(그리스 신화에선 아테네)으로 황혼녘 산책을 즐기며 그때마다 부엉이를 데리고 다닌다. 부엉이가 아니라 올빼미라는 사람도 있지만 박쥐인들 어떠랴. 프리드리히 헤겔이 『법철학』에서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녘에 날아오른다”는 말을 쓴 이후로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철학을 상징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지만, 보통 역사연구에서 ‘거리두기’의 지혜를 의미한다. 아침부터 낮까지 부산하게 움직이는 사람들을 그 즉시 관찰해선 모든 걸 제대로 알기 어렵다. 일이 끝난 황혼녘에 가서야 지혜로운 평가가 가능해진다는 주장이다.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오랜 시행착오 끝에 갖게 된 지혜의 가치를 역설할 때에 쓰이기도 한다.

예컨대 『한겨레』 논설위원 김지석은 2006년 11월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6자 회담 재개 합의와 관련, “헤겔은 미네르바의 올빼미(지혜의 여신)는 밤이 돼야 날기 시작한다고 했다. 6자 회담 참가국들은 지난 몇 해 동안 실패를 거치면서 충분한 지혜를 얻을 수 있는 선까지 왔다. 이제 올빼미가 마음껏 날 수 있게 할 때다”고 주장했다. 일반적으로 역사학자들은 하루를 한 시대로 여겨, 적어도 한두 세대가 지난 다음에야 객관적인 역사 기록과 평가가 가능하다는 신념을 고수하고 있다. 더 독한 사람들도 있다. 중국의 저우언라이(주은래)는 1789년 프랑스대혁명의 영향에 관한 질문에 대해 “아직 얘기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답했다. 그런 식으로 보자면 춘추전국시대에 관한 평가인들 이르지 아니하랴.

한양대 사학과 교수 김현식은 ‘미네르바의 부엉이’ 담론엔 가치중립의 공정한 역사를 서술하기 위한 지혜가 있는 양 보이지만 ‘궤변일 뿐’이라고 단언했다. 거리의 유지가 객관성의 의미가 아닐뿐더러 이러한 논리에 따르자면, 역사가가 다루는 사건의 종결성 여부가 역사가의 공정성과 공평성을 판가름하는 기준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ㅡ출:선샤인 논술사전 2007.강준만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2-01-20 12:2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선택과 행동을 유보하는 자세일지도 모르겠네요!^^

미미 2022-01-20 12:24   좋아요 5 | URL
네! 얼핏 들어보기만 했던 개념인데 이번에 책 읽다가 나와서 찾아보게 되었어요. 흥미로워요^^*

단발머리 2022-01-20 13:01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중국의 저우언라이의 프랑스 혁명 이야기 너무 웃겨요. 이야기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미 2022-01-20 13:37   좋아요 5 | URL
저우언라이도 등장하는군여?!! 아 너무 궁금해요!!나도 어서 웃고싶다ㅋㅋㅋㅋㅋㅋㅋ 오늘좀 부지런히 달려야겠어요!!👩‍🏫

미미 2022-01-21 22:03   좋아요 0 | URL
오이런ㅋㅋ올려놓고도 대충 훑어읽어서 제가 황당한 댓글을 달았네요ㅋㅋㅋㅋㅋ뒤늦게 부끄러워 쓰러졌습니다ㅠㅠ

새파랑 2022-01-20 16:0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전 미네르바 처음 알았어요~!!
이젠 철학까지 섭렵 미미님~! 미미님의 ‘미‘는 미네르바를 뜻하는건가요? ‘밥안사주는 예쁜 누나에‘ 이어 ‘미네르바 미미님‘으로 불러드려야 할거 같아요~!!

미미 2022-01-20 16:26   좋아요 5 | URL
저 또 별명추가인가요?ㅋㅋ사실 부엉이 쪽을 더 선호합니다ㅋㅋㅋㅋㅋ

페넬로페 2022-01-20 19:32   좋아요 4 | URL
미네르바 미미님!
우윳빛깔 부엉이^^

미미 2022-01-20 19:53   좋아요 4 | URL
페넬로페님♡.♡

scott 2022-01-20 23:12   좋아요 4 | URL
미미님을 상징하는 캐릭터 !
북플의 미네르바
그려왔습니돵 ㅎㅎ
 ,,,,,🌸
( ・e・)
彡,,, ノ
‘‘‘‘‐‘‘‘‘‘‘‘‘
✽+†+✽――✽+†+✽――✽+†+✽°

미미 2022-01-20 23:30   좋아요 4 | URL
북플 미네르바 부엉인가요?!!!!아 엄청 귀엽고 감동입니다!👍캡쳐했어요ㅋㅋㅋㅋ스콧님 감사해요~🌸🌸🌸

책읽는나무 2022-01-20 18:4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미네르바!!!!
고딩때 오랜 단짝이 자기 단짝들이랑 계 비슷한 스터디를 만들던데...그 이름을 미네르바라고 지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지혜의 여신이었군요??
걔들은 지혜의 여신이 되었는가??ㅋㅋㅋ

미미 2022-01-20 18:51   좋아요 5 | URL
오~스터디 이름 넘 잘 지었네요?!ㅋㅋㅋ여성주의 책읽기도 이런식으로 이름 지으면 멋질것같아요. 다락방의 부엉이들?^^*

페넬로페 2022-01-20 19:31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미네르바의 부엉이란 말이 와 닿네요.
변화라는 것이 지금도 일어나니 평가를 미뤄도 또 결론이 안 나올듯도 해요~~
어쩌면 뚝심있게 밀고 나가기도 답인것 같은데 이번 정권에서 젤 아쉬운 부분입니다^^

미미 2022-01-20 19:57   좋아요 5 | URL
그쵸! 요즘 국내 정치상황 때문에 답답했는데 이 책으로 근본적인 정치문제를 들여다볼 수 있어서 유익해요.^^*

mini74 2022-01-21 21: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미미님덕에 정확한 뜻을 알게되네요. ~ 부엉이 하면 어릴 적 부리부리 박사 부엉이 생각나요. 실제론 조류 중에 머리가 나쁜 편이라는 글 읽고 배신감을 느꼈던 기억이 압니다 ~~ 주은래라는 분 무섭군요. ㅎㅎㅎ

미미 2022-01-21 22:01   좋아요 2 | URL
외모는 가장 똘똘해보이는데 슬픈 부엉이 박사님ㅠㅠ 반전이네요 근데 넘 웃겨요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