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숙덕공론만 난무하고 현실정치,민생이 부재한 이유?
ㅡ그들만의 공허한 전쟁이 매일 이어지고있다.
웬디 브라운은 놀라운 지적을 한다. 아리스토텔레스(고대 그리스),마키아벨리(르네상스 이탈리아),베버(근대성)으로 이어지며 초월성을 추구한 남성됨이 젠더,공간,자연,생명등의 수많은 개념을 식민화했다고.
어쩌면 이것이 한국 정치인들이 매번 뜬구름만 잡는이유가 아닐까?
이것이문명사가 그토록 성별 은유로 점철된 이유다. 존재하지 않는 것,불가능한 것을 가능한 관념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은유가 필수적이고, 은유가 반복되면 결국 물질성을 갖게 된다. 영웅도 없고폴리스도 사라진 시대, 현대에도 초월성과 비슷한 개념들이 있다. 베버의 ‘영웅적 정치가, 아렌트의 ‘용감한 정치 행위자‘,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초인 Obermensch‘ 대중문화에서넘쳐 나는 ‘진짜 사나이‘, 한국 사회운동의 수많은 ‘민족의 지도자‘와 ‘민중의 아들‘ 등이 그것이다. - P27
아렌트, 아리스토텔레스, 마키아벨리와 마찬가지로 베버에게도 정치가 차지하는 공간은고상하고 소중하다. 그곳에서는 평범한 관심사가 환영받지 못하고, 평범한 사람도 어울리지 않는다.(중략)
만일 정치가 인간의 삶과 집단의안녕 .정의 . 참여 등에 관한 것이 아니라면, 정치는 무엇에 대한것인가? 이렇게 정치를 초월적으로 개념화하면 정치 조직의 적절한 배치나 안전 같은 실질적 사안은 정치와 결부되지 않는다. - P31
즉각성이 정치를 감염할 것이라는 베버의 두려움은 인구의 다수에게서 정치적 시민권을 박탈해야 한다고 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식화와 공명한다.
이러한 베버의 두려움에는 인간의 욕구와 감정을 자유, 합리성과 대립 관계로 보는 남성됨의 특성,분업적 사고가 반복된다.
정치가 적절하게 운용되려면 자신을오염시키는 생존 행위와 충분한 거리를 두어야만 한다. - P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