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알 수 없는 거대한 세계와 마주한 14살 ‘은희‘의 아주 -보편적이고 가장- 찬란한 기억의 이야기
김일성 사망과 성수대교 붕괴라는 커다란 두가지의 사건으로 이 시대를 기억하게 하면서 그 안에 펼쳐지는 한 소녀의 삶을 통해 사춘기의 성장통을 보여준다
˝이 영화를 다 보고도 누가 벌새를 가냘프다고 하겠는가, 허약하고 부실한 것은 알고 보니 이 세상이 아니던가. 1994년 성수대교를 보라. 감독에게 강력하게 요구한다. 서둘러 속편을 내놓으라. 은희가 감자전 꼭꼭 씹어 먹고 어떤 어른으로 성장해 가는지 보고 싶다. 저 속절없이 끊어진 다리를, 날아서 건너는 갈매기가 보고 싶다.˝
- <아가씨> 박찬욱감독
은희와 동시대를 살아갔던 그때의 우리가
우리의 시간을 애도할 수 있는 작품을 비로소 만났다. 수많은 은희들에게 결코 잊힐수 없는 애도의 기억이 될 것이다
- <쇼코의 미소> 소설가 최은영
˝한강의 기적˝이라는 국가의 꿈. 서울 강남은 그 몽상의 끝점이었다. <벌새>는 이 몽상 안의 세계를 살아가는 은희가 사랑하고 상처 입던 순간들을 소환한다
-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변호사 김원영
이 영화의 역사성은 1994년 가족과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를 관통하는 통증과 폭력의 일상을 그려 낸 데 있다
사랑에 필요한 것은 영원한 약속이 아니라 영원하지 않을 관계를 끝낼 때,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는 일이다.
그래서 ˝사랑은 아무나 하나˝, 이 말은 언제나 명언이다
- <페미니즘의 도전> 여성학자 정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