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란 무엇인가
크리스토프 바우젠바인 지음, 김태희 옮김 / 민음인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세계인을 들썩이게 만드는 대축제, 모두가 기다리던 월드컵이 돌아왔다. 축구장을 가르는 공 하나에 모두가 열광하는 순간들... 축구는 단일 종목으로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팬을 확보한 스포츠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클럽별, 국가별로 사람들을 하나되게 만드는 힘을 가졌다. 이번 남아공 월드컵의 경우, 개막직전 까지도 테러 위협과 치안의 공백이 맞물려 온갖 잡음이 끊이질 않은 탓에 지난 회차보다 열기가 못하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막상 뚜껑을 여는 순간 후끈해 지는 것이 역시 월드컵 이구나 싶었다.

 
 2002년은 우리 나라 스포츠 역사 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도 정말 뜻깊은 한해였다. 월드컵 개최국이라는 뿌듯함은 축구에 관심조차 없는 국민들조차 붉은 악마로 만들었고, 악마들이 외치는 함성은 세계인들까지도 깜짝 놀라게 만들었다. 영광스러운 '4강 신화'를 발판으로 월드컵 영웅들이 대거 해외로 진출했을 뿐 아니라 축구에 빠져든 수많은 생활 체육인들, 유소년 축구팀의 활성화로 이어지기도 했다. 월드컵 성공 개최는 그해 정치적으로 가장 큰 이슈였던 대선에도 영향을 미쳤을 정도이니 정말 대단한 월드컵이라고 하겠다. 
 
 <축구란 무엇인가> 책 제목을 보는 순간 정말 궁금해졌다. 도대체 축구란 무엇이길래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열광시키고  축구에 미치게 만드는지 알고 싶었다. 솔직히 2002년 월드컵 직전까지만 해도 축구라고 하면 한,일전 정도에만 관심이 있었을 뿐 그렇게 좋아하는 스포츠는 아니었다. 당시 매 경기 마다 응원할 때도 기본적인 규칙조차 알지 못한 채 그저 공을 잡는구나, 드리블을 하는구나, 골이 들어갔구나! 하는 식으로 경기를 관람했으니 말이다. 
 
 이 책에는 축구 경기와 구성, 요건, 규칙 등 경기 자체에 대한 설명과 축구의 역사와 의미 등  축구에 대한 모든 것을 설명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UN 가입국 보다 FIFA에 가입된 국가가 더 많다는 사실이 축구의 세계화를 설명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역사적인 면에서는 축구 종주국인 영국, 유럽을 중심으로 한 축구의 발전도 흥미롭지만 로마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 점이 기억에 남는다.
물론 당시의 축구는 지금의 모습과는 너무나도 다르지만 아주 오래 전부터 전세계 수많은 나라들이 축구와 비슷한 형태의 경기를 즐겼다는 사실과 과거의 어느 시대는 칼을 차고 경기를 뛰기도 했다는데 도저히 상상히 안된다. 
 
 축구의 규칙은 축구의 역사와 함께 계속 변해왔다. 골대와 골키퍼, 핸들링, 오프 사이드, 패널트 킥, 승부차기 등 지금은 익숙한  규칙이 그 시대의 요구에 맞게 바뀌었다는 사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골이 너무 많이 들어가도 재미가 떨어지고 골가뭄이 심해도 재미가 떨어진다. 공격 축구와 수비 축구, 역사상 가장 극적인 명경기로 기록된 축구경기, 월드컵의 역사, 미국의 자존심 미식축구의 역사 등 읽을 거리가 많다. 다만, 책을 읽다보면 가끔씩 멍해 지는 것이 축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더 깊이 공감할 수 있었겠다 싶은 부분이 있어 아쉽기도 했지만 대체적으로는 만족스런 독서였다. 
 

 저자는 축구의 매력을 꼽을 때, 스터디움에 들어서는 순간 개개인의 사회적 위치를 내려놓고 하나가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 부분은 축구의 수많은 매력중 하나에 불과하다. 축구는 개인기가 뛰어난 선수의 현란한 발놀림을 보는 재미와 팀경기가 주는 전략, 전술이 그 어떤 스포츠보다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경기이다. 그리고 보는 경기에서 직접 뛰는 경기로 쉽게 이어지며, 흔치 않은 골 때문에 더욱 짜릿함을 느낄 수 있는 경기다. 무엇보다 공은 둥글다. 어디를 어떻게 차느냐에 따라 방향을 종잡을 수 없다는 사실, 어쩜 사람들은 축구 경기를 통해 인생의 단맛, 쓴맛을 경험하는 재미에 중독된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