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제국 쇠망사>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로마 제국 쇠망사 - 한 권으로 읽는
에드워드 기번 지음, 나모리 시게나리 엮음, 한유희 옮김 / 북프렌즈(시아)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로마를 떠올리면 가장 먼저 '제국의 영광' 이라는 수식어가 떠오른다. 찬란한 문화, 귀족적인 멋, 열정, 검투사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라는 말을 만들어 낼 정도로 넓은 영토와 경제적 부를 자랑했던 로마는 서양사에서 가장 기본이자 핵심이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책의 저자인 에드워드 기번은 18세기 영국이 자랑하는 역사학자로서 로마제국 쇠망사를 통해 로마를 찬란했던 역사에서 멸망까지를 조명하고 있다. 
 

 그런데 왜 하필 '쇠망사' 일까? 제국이 기틀을 다지고 번영을 이루고 잠시 주춤하였다가 중흥을 이룬 뒤 멸망의 길로 접어드는 것은 어느 왕조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과정이다. 마치 인간이 생로병사의 과정을 거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하지만 특정 대상을 서술할 때 같은 사실을 서술하면서도 '로마 제국의 번영' 정도의 제목을 붙힐 수도 있었을 터인데 '로마제국 쇠망사'라니 이건 마치 '살기 위해 먹고, 죽기 위해 산다' 는 표현과 다를 것이 없는 것 같다. 

 

 어쨌거나 기번이 쓴 책은 출간 당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로마사를 조명한 저서들 중에서도 주목받는 인문서였고 많은 이들에게 칭송의 대상이 되어왔다고 한다. 원래의 책은 로마 초대 황제인 아우구스투스 시대부터 콘스탄티노플 함락까지인데 편역자인 가나모리 시게나리에 의해 한니발, 키케로, 카이사르 등 로마의 초기 모습이 추가됨으로써 로마사를 한 눈에 읽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30개의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핵심을 짚어주니 흐름을 짚어가는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

 

 내용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빵과 서커스'에 관해서다. 앞서 언급했던 것 처럼 로마의 번영이 얼마나 화려했는지를 말해주는 표현들이 많지만, 빵과 서커스야 말로 로마가 얼마나 풍족했는지를 말해주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주변국을 복속시키고 경제적으로 풍족했던 로마는 시민들에게 밀을 공짜로 배급하고 왠만한 행사도 공짜로 관람할 수 있었다. 등 따숩고 배부른 시민들은 보다 자극적인 놀이 문화를 원했고, 정치인들은 자신들의 인기를 유지하기 위해 수많은 동물들과 노예와 검투사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콜로세움은 로마의 부를 상징함과 동시에 로마의 타락인 것이다.

 

 하지만 저자가 로마사를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이 로마의 어두운 면만을 말하고자 함은 아니었을 것이다. 로마는 분명 역사적으로 가장 화려한 제국이었고, 오랫동안 영화를 누렸다는 사실만으로도 조명할 가치가 있다. 로마는 패자들 마저도 고개 숙이게 만드는 고상함을 갖춘 나라였고, 귀족에서부터 주변국에서 끌려온 노예에 이르기까지 기회가 주어졌던 나라다. 로마에게 대항하는 나라는 철저하게 파괴되었지만, 로마의 영향력 아래 있는 나라는 로마와 함께 팍스 로마나를 이끌어 나갔던 것이다.   

 

 <(한 권으로 읽는) 로마제국 쇠망사>를 덮으면서... 로마사를 한 권에 담는 것도 가능은 하구나 싶었다. 솔직히 우리의 역사 중 조선시대 500여년만 하더라도 한 권으로 펴낸 책들을 보면 깊이가 약하다는 생각이 들던데 2천년이 넘는 로마사는 말할 것도 없겠다. 때문에 뭔가 부연 설명이 있겠거니 기대하는 순간 그냥 넘어가버리기도 하고 전체적으로는 돌다리를 건너는 것 처럼 풀쩍풀쩍 뛰어가는 기분이 든다. 대신 이런 책이 좋은 이유는 서양사에 관한 '입문서' 정도로 이해하고 로마사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한다든지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나 시오노 나나미 여사의 <로마인 이야기> 같은 대작에 앞서 읽어보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