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유럽사 1 - 그리스 시대부터 근대까지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역사
김시혁 지음 / 다산에듀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아이들 공부하는 것을 보면 교육정책에 대한 불신과 성적때문에 힘들어하는 것은 여전한데도 부모 세대와 확연하게 차이나는 부분이 있다. 우리 때만 해도 역사, 세계사는 '외우는 과목' 으로 사건들을 년대순으로 나열하는 문제들이 많이 출제되곤 했다. 그런데 지금은 출제 경향이 변했다고 한다. 특정 사건이 다음 역사에 미친 영향, 나라와 나라와 상호 영향을 주고 받은 것 등 말그대로 역사의 흐름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통유럽사> 이 책을 처음 봤을 때도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한다'는 문구가 일단은 맘에 들었다. 한 그루 한 그루 나무를 감상하고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숲을 보는 능력을 키우는 것. 이젠 통크게 통으로 역사를 이해하는 능력을 키워야 할 때다. 책은 1, 2권으로 나누어져 1편에서는 그리스에서 근대까지, 2편은 근대 시민사회에서 유럽 통합까지 다루고 있으니 유럽사를 두 권으로 마스터하게 되는 샘이다. 

 

 유럽사 뿐만 아니라 서양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나라가 그리스와 로마다. 이 책에서도 그리스, 로마 시대를 시작으로 중세로 넘어와 영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에스파냐, 독일, 오스트리아,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등 유럽의 문화를 이끌었던 나라들을 중심으로 변방까지 두루 짚어주고 있다. 많은 나라들이 유럽의 중심이 되고자 했었고, 주변국에 비해 부강했던 영국, 프랑스의 경우도 내부적으로는 많은 갈등이 있었다는 사실, 그리고 수많은 왕족과 영웅들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펼쳐진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오늘날 유럽 통합은 단순히 지리적 위치가 가깝고 교류가 잦다는 사실을 뛰어 넘어 오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각 나라의 왕실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고 경제적인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서 혹은 정책적인 여러가지 이유로 다른 나라와 정략결혼을 해왔었다. 그런 이유로 왕실을 놓고 보면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혈연으로 이어진 것이나 다름없는 것이다.

왕실의 역사가 이러하니 평민(국민)들이 자연스럽게 유럽 통합을 받아들이게 된 것은 아닐지. 그리고 오늘날 장기화되는 세계 경제 불황도 통합을 부추기는 원인이 되고 있다. 아직은 미국과 중국 두 나라를 중심으로 세계 경제가 돌아간다고들 하지만 앞으로는 EU가 세계의 중심이 되는 날도 멀지 않은 것 같다.  

 

 <통유럽사> 유럽사를 요점 정리해서 한 눈에 보여주는 것 처럼 잘 정리되어 있고, 초등 고학년 이상이라면 엄마와 함께 읽어도 좋을 만큼 편안한 구어체 문장이 맘에 든다. 학창시절 졸업후 편하게 읽은 세계사 관련 책이 몇권 되는데 아무래도 젤 쉽고 부담없이 읽은 책으로 꼽을 만한 책인 것 같다. 이미 알고 있던 사실을 재차 확인하기도 하고 조금씩 헷갈렸던 부분을 제대로 정리하는 등 오랫만에 세계사를 즐기면서 읽은 것 같아 기분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