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는 곤충 왕국 학교에서 살아가는 곤충들 1
강의영 외 지음, 박지숙 그림 / 일공육사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 여름 아이와 함께 수목원에 갔다가 그런 생각을 했어요. 제가 어릴 때만 해도 마당에 화단이 있었고 담벼락 따라서 꽃을 심었기 때문에 꽃이 한창일때면 다양한 종류의 나비를 많이 볼 수 있었거든요. 그런데 요즘은 수목원이 아니면 나비를 구경할 수 있는 곳이 잘 없구나 싶었죠. 며칠전 비가 촉촉히 오던 날에는 사무실 입구 화단에서 새끼손가락 한 마디 크기의 달팽이를 보았어요. 달팽이의 몸이 조금씩 움직일 때마다 그 큰 집이 좌우로 까딱 거리는데 앙증맞기도 하고 귀엽기도 한 것이 왠종일 기분이 좋더라구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를 자랑하는 생명체가 곤충이라고는 하지만 관심있게 지켜보지 않으면 눈에 잘 띄지 않는 존재들이기도 해요. 이 책을 읽기 전에는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이라고 해봤자 개미, 파리, 모리, 벌, 잠자리, 매미... 이런 식으로 손에 꼽을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우리 주변에, 특히 학교라는 공간에 이렇게 많은 종류의 곤충들이 살고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답니다.

 

 먼저 표지에는 놀라움과 신기함을 머금은 아이들의 표정이 보여요. 특히 하늘소를 들고 있는 아이는 울 아들과 표정이 너무나 비슷해서 한참을 웃었답니다. 곤충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 일반적인 책들이 백과사전처럼 곤충을 나열하거나 특징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반해 이번 책은 내가 살고 있는 곳에서 함께 살아가는 곤충들 위주로 나와있어서 더욱 친근해요. 곤충들은 늘 그곳에서 살아가고 있었지만 사람들이 미쳐 깨닫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이제부터는 학교 운동장을 덮고 있는 모래만 볼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살고 있는 곤충을 떠올리게 될 것입니다. 책에는 이순신 장군이었지만 우리 학교의 세종대왕 동상에 흙더미도 예사로 보아 넘기지 않겠지요. 학교 연못에는 황금빛 잉어와 소금쟁이 말고도 수많은 곤충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생채기가 나있는 나무들도 유심시 살펴보게 될 것입니다.   

 

 사실 저는 곤충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아요. 일단 발이 여섯 개 이상이거나 아예 없는 곤충들, 더듬이가 있거나 등껍질이 딱딱하거나 색이 검은 종류도 아주 싫어한답니다. 어릴 때 부터 도시에서 살아서 그런가보다 생각했던 때도 있었는데 도시에서 태어나 자란 내 아이는 이상하게도 곤충을 엄청 좋아합니다. 인간과는 비교도 안될 만큼 덩치도 작고 약하지만 나름대로의 규칙이 있고, 살아가는 방식이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고 말합니다. 

 

 주변에 살고 있는 곤충들의 종류를 살펴보면 환경이 어떤지도 알 수 있다고 하지요. 책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곤충들은 대체적으로 인간에 의해 그들이 살아가던 환경이 파괴되었기 때문인 경우가 많아요. 곤충들은 인간을 귀찮게 하는 존재가 아니라 인간 보다 더 오래전부터 지구상에서 살아왔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어요. 아이가 곤충에 관심을 가지는 만큼 환경을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아 마음이 흐뭇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