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운 나쁜 해의 일기
존 쿳시 지음, 왕은철 옮김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책을 받고는 여느 책과 다른 판형때문에 화들짝 놀랐다. 동갑내기들보다 머리 길이 만큼 키가 큰 아이를 본 것 같은 어색함이랄까.  '실험적이고 독특한 책'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첫인상부터 비범했다. 각각의 페이지들은 모두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책 속에 등장하는 세뇨르 C는 유명한 작가인데 그가 출판사로부터 의뢰받아 집필하던 에세이가 제일 상단에 배치되어 있고 그 아래는 세뇨르 C가 비서인 안야에 대해 느끼는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 그리고 하단에는 안야의 시점으로 이야기하는 부분이다.

 

 초반에는 책에 몰입하는 것이 무척이나 어려웠다. 세 부분이 같은 사건을 다루면서 서로 다른 시점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라면 그나마 나았겠지만 전혀 다른 이야기가 세 가닥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산만해 지는 것이다. 그래서 어느 정도 길이까지는 같은 파트를 연속으로 읽어나가는 방법을 선택했다가 그마저도 힘들어 중간 부분인 세뇨르 C의 시점을  끝까지 읽고 안야의 시점을 읽은 후 다시 세뇨르 C의 에세이를 읽는 방법으로 읽으니 그제서야 전체적인 내용이 머릿속에 정리되는 것 같았다.

 

 세뇨르 C는 부와 명성을 모두 가진 노작가이다. 그는 얼마 남지 않은 삶을 되돌아 보면서 정치, 경제, 문화, 철학 등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의 심오한 메세지를 글로 남길 계획이었다. 어느날 아파트의 세탁실에서 안야라는 젊은 여인에게 반해버린 그는 안야를 설득해서 타이피스트이자 비서로 채용한다. 노작가는 안야의 매력을 거부할 수 없으면서도 비서로서 그녀의 실력에 의문을 가지게 되고, 안야 또한 노작가의 글이 딱딱하고 재미없다며 투덜거린다.

 

 이처럼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랐고 현재의 사회적 위치도 다른 두 사람이 에세이를 매개체로 만나 소통을 시작하고 조금씩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 과정이 잔잔하면서도 유머러스하게 전개된다. 안야는 자신을 좋아하면서도 함부로 대하지 않는 세뇨르 C에게 연민과 존경을 느끼게 되고 점차 그의 글에도 관심을 가지게 된다. 세뇨르 C도 안야가 살아온 인생과 상처를 극복하는 방식에 대해 이해하게 된다. 마침내 안야는 노작가의 재산을 가로채려는 남자친구 앨런을 만류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을 위해 새로운 선택을 하게 된다.

  

  세뇨르 C와 안야, 앨런이 이끌어가는 이야기는 분명 여느 소설처럼 흥미로웠다. 하지만 세뇨르 C가 '강력한 의견'이라는 제목으로 서술한 내용은 소설의 범위를 벗어난 '비소설' 적인 내용이었다. 때문에 초반에 안야가 느꼈던 감정과 마찬가지로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다행인 것은 세뇨르 C가 '두 번째 일기'라는 제목으로 선보인 에세이들은 안야의 충고를 받아들인 탓인지 말랑말랑해 졌다는 느낌이다. 강력한 의견을 고수하던 노작가의 글이 조금씩 부드러워 지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도 소설을 읽는 또 다른 묘미라고 할 수 있다.   

 

 솔직히 노벨문학상 수상작가와는 그렇게 친하지(?) 않다. 그래서인지 J.M. 쿳시라는 작가의 이름도 처음이었고 남아프리아 출신이라는 점부터 여러가지 면에서 낯선 만남이었다. 어쩜 작가는 세뇨르 C라는 소설 속 노작가의 에세이를 통해서 지금껏 자신이 말하고 싶었던 것들을 모두 뱉어냈는지도 모르겠다. 사실 에세이만 출간되었더라면 내용의 무게때문에 대중적인 면에서 주목받기가 힘들거나 내용면에서 논란이 되었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소설과 비소설의 경계를 적절하게 넘어들면서 소설적인 흐름과 조화를 이루는데 성공함으로 J.M. 쿳시라는 이름을 각인시킬 만큼 특별한 작품을 완성시켰다.         

 

 덧붙임 - 실험적인 소설로 가장 기억에 남는 책을 꼽으라면 살바도르 플라센시아의 <종이로 만든 사람들>을 꼽고 싶다. 3단 구성과 세 가지 시점의 전개와 난해한 스토리도 인상적이었지만 글씨를 검은 색으로 처리해서 읽지 못하게 하거나 심지어 책에 구멍을 내기도 하는 등 정말 쇼킹한 책이다. 

 

 

밑줄 그은 문장

 

 "우리는 발이 아픈 개 혹은 날개가 부러진 새에 대해 얘기한다. 하지만 개는 그런 식으로 자기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 새도 마찬가지다. 걸으려고 하는 개에게는 그저 아프다는 것만 있고, 날려고 하는 새에게는 그저 그럴 수 없다는 것만 있다. (육체에 관하여, p.69)"

 

 "(세뇨르 C의 이웃인 벨라는 기온이 40도 이상 올라가자 개구리들을 걱정하며 플라스틱 물통을 시내에 놓아 둔다. 그 일에 세뇨르 C의 의견임. ) 벨라와 같은 사람들을 놀리면서, 장기간에 걸친 혹서는 이난이 참견해서는 안 되는 생태적인 과정의 일부라고 지적하기는 쉽다. 하지만 그런 비판은 뭔가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 인간도, 그리고 미물에 대한 우리의 애정도 까마귀의 잔인함처럼 생태의 일부가 아닐까?  (동정에 관하여, p.2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