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남자들 - 세상을 나눌 것인가 맞들 것인가
신동준 지음 / 브리즈(토네이도)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조선시대는 우리 역사상 인문학적으로 가장 발전된 시기이며 특히 성리학을 바탕으로 왕도 정치를 실현시키려 노력했던 시기이다. 하지만 좋게 표현하자니 그런 것이고 사실상 조선시대하면 가장 먼저 양반이니 상놈이니 하는 반상제도와 사대부들의 당파싸움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먼저 떠오른다. 글줄 꽤나 읽었다고 자부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하는 일이라고는 인과 예로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떠들기만 했지 실상은 패를 갈라 싸우면서 자신들의 사리사욕만 채우기에 급급했던 것이다.
 

 얼마전 새로이 유통되기 시작한 5만권 지폐에 새겨질 인물에 대해 한참 말들이 많을 때, 지인들과 만나면 우리 역사 속 위인들 중 과연 누가 자격이 있는가 하는 문제로 이야기를 나누곤 했었다. 놀라운 것은 적지 않은 임금과 전직 대통령의 이름이 나왔었지만 도저히 의견 일치가 안된다는 점이었다. 어찌하여 이 나라에는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 말고는 인물이 그렇게도 없다는 말인지. 

 

 그러고보니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고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던 가장 큰 힘은 임금을 보필하는 신하들과 가장 이상적으로 소통했기 때문이다. 세종대왕은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하는 조선의 임금이었지만 인재를 등용하는데 있어서 능력을 우선적으로 보았고, 적재 적소에 배치할 줄도 알았다. 조선시대를 통틀어 국사를 매듭짓고자 하면 항상 왕권과 신권이 충돌하기 마련이었는데 세종대왕은 태종의 배려로 강력한 왕권을 물려받았을 뿐만 아니라 황희같은 명재상이 있어 태평성대를 이룰 수 있었다.  하지만 다른 왕들은 대체적으로 왕권을 지키거나 강화하기위해 신하들과 줄다리기를 해야만 했으며 이는 곧 국력의 소모로 이어졌다. 

 

 <왕의 남자들> 이 책은 조선시대 왕과 신하들의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혹은 대놓고 벌이는 권력다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신권에 대해서는 함께 왕을 보필한 인물이나 대립관계였던 이들을 함께 설명하고 있는데 조선시대를 통틀어 10명의 임금과 20명의 주변인물들이 등장하고 있어 전체적인 흐름이 보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앞서 언급한대로 세종시대를 제외하고는 신하들 끼리도 끊임없이 싸우는 모습만 보여 안타깝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하다. 솔직히 백성들은 왕권이니 신권이니 하는 것에 대해 뭐가 그리 중요했을까 싶다. '민심이 천심'이라고 하며, 필요할 때만 백성을 이용할 것이 아니라 진정 백성을 두려워할 줄 아는 정치를 해야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