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과 무생물 사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대상이나 현상을 정의한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잘 안다. 채소와 과일의 구분, 동물과 식물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가 하면 태아의 경우 언제부터 하나의 생명체이며 인격체로 보는가 하는 문제부터 의학적으로 사람의 죽음을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생물학적인 차원을 넘어 철학적인 부분과도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생물과 무생물 사이> 분자생물학 분야에 전문가인 저자가 과학에세이 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서술한 책이다. 일반적으로 "생명이란 자기 복제를 하는 시스템이다. " 라고 정의하는데 바이러스의 경우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에 있는 존재라고 한다. 형태나 구조, 특징적인 면을 보면 무생물에 가깝지만 단지 자기 복제를 한다는 점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서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단다. 때문에 저자는 '자기복제'라는 성질만으로 생물이라 규정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최대한 정확하게 정의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DNA를 비롯하여 생명과학 이론에 대한 설명이 많은데 사실상 쉽지 않은 내용이다. 특히 이쪽 분야에 대한 기본 지식이 얕은 나로서는 진도가 더딜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생명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과학적 접근과 개인적인 에세이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있어 끝까지 흥미를 잃지않고 읽을 수 있었다. 
 
 연구실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과학자들의 경우 박사후 과정의 고된 일상을 그들 스스로 '연구실 노예' 라며 자조섞인 농담을 주고 받았다고 하니 어떤 일을 하든 결코 쉬운 과정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원하는 데이타를 얻기 위해 동물 실험을 하면서 양심의 가책을 극복해야 하는 것도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다. 또한 연구 성과를 학술지에 발표할 경우, 사전 검토 과정에서 다른 연구팀에 정보가 유출되어 낭패를 겪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학자들이 모인 조직이라고는 하나 산업현장과 마찬가지로 최고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피해갈 수는 없구나 싶었다.    
 
책의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저자의 연구 분야인 췌장 단백질에 관한 쥐실험이다. 특정 물질이 생명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연구하기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을 제거한 후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확인 방법이다. 저자의 팀은 실험쥐의 DNA를 조작하여 '부품이 결여된' 실험쥐를 만들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실험쥐에게서는 아무런 이상이 발견되지 못했는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특정 부품이 결여된 쥐는 생명의 유동성으로 인해 균형이 맞추어지지만 '이상이 있는 부품'을 가진 쥐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생명이라는 이름의 동적인 평형은 그 스스로 매 순간순간 위태로울 정도로 균형을 맞추면서 시간 축을 일방통행하고 있다. 이것이 동적인 평형의 위업이다. 이는 절대로 역주행이 불가능하며, 동시에 어느 순간이든 이미 완성된 시스템이다. 이런 시스템에 혼란을 야기하는 인위적인 개입은 동적 평형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힌다. (중략) 자연의 흐름 앞에 무릎 꿇는 것 외에, 그리고 생명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것 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p.246-247)"
 
 흔히들 과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일수록 냉철하고 이성적이서 종교나 기적을 믿지 않는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현상을 과학으로 규명하고 연구하다보면 자연의 신비스러움에 감탄하고 경외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한다.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인 경우 스스로도 믿어지지 않는 기적을 경험하는 경우가 일반인보다 더 흔하니 말이다. 책의 저자도 마찬가지다.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두고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지만 결국은 "자연의 흐름앞에 무릎 꿇는 것 외에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말로 끝을 맺는다. 신기한 것은 저자가 애써 설명하려했던 것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는 없지만 그 한 마디 만큼은 전적으로 이해되고 공감이 간다는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