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발, 자신을 비워 세상을 담는다
타니 아키라, 신한균 지음 / 아우라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작년에 신한균님의 <신의 그릇>을 읽을 때만 해도 도자기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팩션이라는 이유가 첫번째 였다. 특히나 임진왜란을 '도자기 전쟁'이라 칭하며 조선의 수많은 도공들을 납치하여 일본의 도자기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발판이 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상기시켰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는 저자가 전문 작가가 아닌 도자기를 굽는 사기장이라는 사실도 궁금증을 키웠었다.
 
 서술면에서는 작가가 구워낸 사발처럼 거친면도 있었지만 감동적인 면도 그렇고 여러 부분에서 기억에 남는 소설이다. 혹자는 소설이라는 형식을 빌어 전문지식이나 사실을 전달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할지 모르겠으나, 전문가의 입장에서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써 줌으로써 도자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사발, 자신을 비워 세상을 담는다> 저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순간 괜시리 반가운 마음이 앞섰다. 이번에는 다른 장르의 형식을 가져오지 않고 전문가로서의 의견을 유감없이 말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셨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일본인 전문가와의 공저를 통해 양국의 차문화와 조선사발에 대한 서로다른 시각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표지에는 지극히 평범해 보이는 사발이 보인다. 앞서 언급했던 <신의 그릇>을 통해 오늘날의 명품사발이 한때는 막사발이라 불렸던 때가 있었다는 것을 잘 안다. 그런데 그런 사실을 알고 봐도 여전히 적응이 안된다. 섬세한 무늬가 들어간 청자나 백자의 아름다움에는 쉬이 움직이지만 툭박져 보이는 사발의 어떤 점에서 아름다움을 찾아야 할지 처음 책을 펼쳤을 때만해도 난감하기만 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질문에 답이라도 하듯 책의 구성은 명품사발의 백과처럼 편집되어 있다. 각페이지마다 사발의 실사와 특징, 가치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기록하고 있다. 일본에서 '다완의 황제'로 알려진 황도사발의 경우 원산지인 우리 나라에서는 제 이름조차 없다는 사실, 저자는 더이상 막사발이라는 표현을 쓰지말고 '황도사발' 로 부를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임진왜란 이후 우리 도자기 문화가 거의 맥이 끊어진 것에 비해 일본의 경우 유럽과의 도자기 무역으로 선진국으로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을 떠올릴 때, 은근히 열이 받는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손에 쥐고 있던 보물의 가치를 알지 못했던 스스로의 탓이다. "이도가 일본으로 건너오지 않았더라면 조선에서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 라고 한 일본 미학자의 말처럼 당시 사기장에 대한 대우는 천민 수준이었고 일본처럼 무역을 통해 상품화 하려는 의지도 없었다. 사발의 아름다움을 알아본 이가 한국인이 아닌 일본인이었다는 사실이 가슴 아플 뿐이다.
 
 분명한 것은 이 책을 처음 받아들고 휘리릭 넘겼을 때, 눈에 보이는 사발의 느낌과 한페이지씩 전체를 읽은 후 다시 보는 사발의 느낌이 다르다는 사실이다. 사발의 아름다움은 꾸미지 않은 아름다움이다. 요란하지 않고 소박하며 자연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점이 사발의 미를 결정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에도 사발이 구워져 나오기까지는 결코 단순치 않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사발은 오랜 기다림과 정성의 결정체인 것이다. 그런면에서 사발은 역시나 한국인과 많이도 닮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