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지개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9년 8월
평점 :

사람이 아무리 아름다운 것을 창조해낸다고 하여도 자연이 간직한 아름다움을 따라갈 수는 없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따지고 보면 아름다움의 기준이 되는 것도 자연에서 오는 것이니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타히티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섬으로 태고적 아름다움, 원시적인 순수함을 간직한 곳이다. 고갱의 그림으로 잘 알려진 그곳은 하와이와 비교되곤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언젠가 꼭 가보고 싶은 섬이기도 하다.
"마치 꿈같다. 마치 무지개를 보는 것 같다고 나는 생각했다. 이 세계에 일곱 가지 빛깔이 모두 들어 있다. 그리고 그 빛들이 서로 번지듯 가늘고 예쁜 리본 띠가 되어 한들한들 퍼져 나가는 것 같았다. 시간이 멈춰 버린 듯 고요한 세계다. 갖가지 일이 있었지만, 다시 이렇게 아름다운 것을 보고 있다. 살아 있는 한, 언젠가는 괴로운 일도 있으리라. 그래도 또 이렇게 아름다운 것들이 눈앞에 나타나 준다. 반드시. (p.17)"
주인공이 이렇게 감탄하면서 빠져들어 있는 것은 타히티의 열대어들이다. 일곱 색깔 무지개처럼 아름다운 물고기들... 아이를 위해서 아쿠아리움을 자주 갔었는데 그 때 봤던 열대어들이 생각난다. 원색의 물고기들, 무지개 색을 띤 물고기들, 아예 색을 버리고 뼈가 보일만큼 투명한 물고기들 그리고 레몬빛 상어도 봤던가 싶다. 모든 동물들은 '보호색'이란 것을 띠게 마련인데 열대어들은 어찌나 화려하고 이쁘기만 한지.
주인공 에이코는 지난 10여년 동안 타히티 전문 음식점에서 근무해 오면서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왔던 모범 직원이었다. 하지만 할머니와 어머니의 잇단 죽음으로 심신이 지쳤을 무렵 레스토랑 오너의 가정부로 일할 것을 제안받는다. 겉으로 보기엔 나무랄 것 없어 보이는 오너의 가정은 사실상 부부라고 하기엔 너무나 위태한 지경이었는데, 몇가지 사건을 겪으면서 오너와 에이코는 서로에 대한 감정이 예사롭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솔직히 내 자신이 아줌마라서 그런지 불륜을 미화한 듯한 소설을 읽을때면 좀 불편하다. 하지만 아내의 배신으로 인해 '이름만 부부'로 살아가는 오너의 입장을 생각하면 검은 머리 파뿌리가 될 때까지... 라는 맹세로 시작한 결혼생활이라 할지라도 과연 끝까지 유지할 가치가 있는가 싶기도 하다. 신뢰가 무너져 서로에게 배신감과 상처만 주는 관계가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단 말인가. 물론 에이코 입장에서는 직원과 사장과의 불륜이라는 현실때문에 괴로울 수 밖에 없겠지만 말이다.
동물을 좋아하는 에이코가 했던 말 중에 "고양이나 개나 인간이나, 모두 심장 하나를 지니고 태어나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가는 것뿐이다. 그런데 왜 인간만 이렇게 복잡해지는 것일까... (p.174)" 라는 말이 생각난다. 자신의 감정으로 인한 혼란스러움을 표현한 것으로 푸념처럼 내뱉은 말이지만 공감이 갔다. 때론 어떤 선택을 하든 단순해 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복잡한 세상을 잠시 떠나 한 가지 일(자연의 아름다움에 빠진다든지)에만 몰두하다 보면 오히려 미래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요시모토 바나나는 일본 문학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작가로 국내에도 팬이 많은 것으로 안다. 그녀의 작품 중에는 <왕국>을 가지고 있긴 한데 맘 먹고 읽은 책은 <무지개>가 처음이다. 작가의 명성으로 인한 기대감일 수도 있겠지만 남녀간의 사랑이라는 평범한 소재를 벗어나지 못한 점이 아쉽기도 했고, 착하기만 한 여자 주인공과 우유부단한 성격의 남자주인공의 이야기라서 그런지 밋밋한 감이 없지 않다. (막장 드라마에 너무 익숙해진 것인가. ^^;;)
기억할 것은 인간관계에 있어서의 '상처와 치유'에 관한 것이다. 힘든 시간을 뒤로 하고 여행을 선택했던 주인공이 타히티의 아름다움과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로 인해 마음의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이 잔잔한 감동을 준다. 또한 타히티의 아름다움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노력이 곳곳에서 느껴졌는데 타히티 원주민처럼 보이는 여인이 그려진 표지부터 타히티의 풍경을 그림과 사진으로 싣기도 했다. 서술에 있어서도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고 서정적이면서도 섬세한 문체가 특히 인상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