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몬스터
정승원 지음, 이창윤 그림 / 삼양미디어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문명의 시작은 인간의 상상력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늘을 나는 상상, 치타보다 빨리 이동하는 상상, 물 위를 혹은 물 속으로 다닐 수 있다는 상상, 심지어 우주를 여행하고 달나라에 간다는 상상은 고대인들에게 있어서 말도 안되는 소망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런 생각들이 모두 현실화 되었다는 사실은 과학이란 것이 때론 '허황된 꿈'에서 비롯된다는 재미있는 결과를 보여준다.   
 

 인간의 상상력이 만들어 낸 흥미로운 존재들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몬스터이다. 신이 영원불멸에 경외의 대상이라면 몬스터는 신과 인간의 중간쯤에 있다고 보면 좋을 것이다. 이 책에는 신화 속에 등장하는 몬스터들을 영생불사, 반인반수, 용, 거대괴물, 정령 등으로 분류하여 그들의 생김새와 특징,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리스 신화나 동양의 신화에 등장하는 익숙한 몬스터들과 함께 '세계의 몬스터'라는 제목에 걸맞게 잘 알려지지 않은 몬스터들에 대한 소개가 많아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몬스터들의 특징은 아름답거나 힘이 세거나 특별함 임무를 맡은 경우가 많았고 대부분 신과 같이 경외의 대상이었다. 그리고 유럽 특히 북유럽에는 용과 같이 덩치 큰 환상동물부터 체격이 작고 장난이 심한 정령들도 있는데 신화 속 몬스터들은 과거에 머물지 않고 오늘날 영화, 소설, 만화,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로 되살아나 여전히 힘을 과시하고 있다.

 

 엄마가 <세계의 몬스터>를 읽는 동안 아들은 옆방에서 '디지몬'이라는 만화영화를 본다. 디지몬 전에는 한동안 '포켓 몬스터'를 좋아했었는데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보면 주인공 몇명만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몬스터들이 등장한다. 아이들을 상대로한 상술이라고는 해도 그런 캐릭터들을 만들어 낸 사람, 그들의 상상력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유쾌한 웃음을 선사하는 스폰지밥도 넓은 의미에서는 몬스터가 아닐까 싶다.

 

 고대의 몬스터들과 오늘날 몬스터들의 가장 큰 차이는 경외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이 컨트롤할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덩치 크고 힘이 센 몬스터들을 애완동물처럼 다루는 만화 주인공을 보면서 자라고, 게임을 통해 몬스터를 사냥하기도 한다. 몬스터들은 더이상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친밀한 캐릭터로 인간과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다.  이처럼 시대에 따라 변화된 인간과 몬스터와의 관계를 떠올리면서 읽으니 책 읽는 재미가 한결 더해지는 것 같다.

 

 방금 아구몬이 메탈 그레이몬으로 진화했다. 아들이 환호성을 지른다. 몬스터의 진화... 이 또한 고대인들은 상상도 못했을 상황이 아니던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