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답게 산다는 것
안대회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비답다'는 말이 칭찬으로 와닿지 않는 시대다.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학문에 심취했던 '선비'의 진정한 의미 보다는 의리와 원칙만을 따지는 유통성 없는 사람, 현실에 어두운 사람으로 더 많이 쓰인다.  나 또한 '선비'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괜시리 숨이 막힌다.  선비들이 주로 활동했던 조선시대를 떠올리면 관직에 집착하고, 당쟁을 일삼고, 체면만 차리는 부정적인 모습들이 자꾸만 떠오른다.  우연한 기회에 읽었던 '조선의 선비'의 모습을 담은 책에서 느꼈던 것은 청렴함이 곧 궁상스러움으로 다가왔고, 무언가 아쉬움을 남겼다.   그러나, 그때의 우연한 기회는 내게 '선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에 충분했고 다시한번 인문학 서적을 기웃거리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신윤복의 미인도를 감상하면서 정말 미인답다고 생각하는 현대인은 드물것이다.  한껏 기대하고 검색해 보았던 중국의 양귀비나 조선의 황진이도 마찬가지다. 옛사람들의 미적 감각이 현대인에 비해 수준이 낮았기 때문일까?  사실이 그러하다면 그 시대의 문화유산들이 오늘날에 이르러서까지  높은 예술성을 인정받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옛것을 대하고자 할때는, 사물이나 사람을 대하는 가치의 기준은 시대마다 같을 수도 혹은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내용면에서 크게 네파트로 나뉘는데 인생과 내면, 취미와 열정, 글과 영혼, 공부와 서책으로 분류되어 있고, 각 파트별로  많은  선비들이 등장한다.  우선은 저자가 선비들을 독자에게 소개하는 방식이 맘에 들었다.  선비들을 한명씩 소개할 때마다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사회문제나 저자의 취미, 습관등을  화두로 던지고 자연스럽게 시대를 거슬러 올라간다. 자신의 묘비명을 직접 썼던 선비, 애서광들의 이야기,  수집 마니아, 풍류를 즐겼던 모습,  지식인으로서의 선비들에 대한 이야기들은 나로 하여금 '선비'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게 만들었다. 

 

 책의 곳곳에 등장하는 시조와 글, 그림을 감상하는 재미가 얼마나 쏠쏠한지. 때론 미소 짓기도 하고, 때론 키득거리기도 했으며, 무릎을 쳐가며 읽은 대목도 있다. 무엇보다 과거시험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았던 선비들 이야기, 조선시대 3대, 4대 베스트셀러 서책에 대한 이야기와  당시의 출판현실등 오늘날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 내용이라서  관심이 갔다. 

 

 '진정한 선비'들은 팔방미인 이어야 했다.  어려서 부터 글을 읽고, 서예를 배우고, 그림을 그렸다. 음악,미술,문학등 각 분야에 대해 고루 조예가 깊어야 했고 작품을 가리는 눈을 가져야만 했다. 직접 시를 짓고 글을 쓰면서 자신의 이름을 건 문집을 내는 것을 일생동안 가치있는 일중 하나로 꼽았다. <선비답게 산다는 것>  책과의 만남을 통해 비로소 '참된 선비' 들의 세계를 알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학창시절 옛시조를 읊으면서 작가와 시대적 배경, 시조의 의미를 외우느라 머리를 쥐어짜던 그 때는 옛것에 대해 이토록 친밀함을 느끼는 날이 오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하였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하였다.  요즘들어 그말의 의미가 조금씩 깨달아지니 어쩜 내가 나이먹는 티를 내고 있음이리라.  시대가 변한다는 것은 '강산도' 변하게 하고, 사람도 변하게 하고, 대중적 가치관도 변하게 한다는 것이다.  옛사람들의 숨결을 느끼고자 하는 마음 자세와  옛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마음만 있다면 이 책에 흠뻑 취할 준비가 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