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불패 - 이외수의 소생법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09년 5월
평점 :

'이외수의 생존법'이라는 <하악하악>을 읽은 때가 작년 이맘때 쯤이었던 같다. 도인 같기도 하고 영정 사진 속의 울 할아버지(아마도 수염 때문) 같다는 생각을 한 적도 있는데...;; 그 유명하신 분의 책을 그 때 처음 읽고 생각이 많았던 기억이 난다. 어쩌면 젊은 사람들이 쓰는 인터넷 용어가 그렇게 능통하신지 아무렇지도 않게 '즐~~!' 이라고 외치는 모습이 천진해 보이기까지 했었다. 짧지만 강한 문장, 간직하고픈 문장이 많았기에 한동안 여기저기에 써먹기도 했었다.
이번에는 <청춘불패> 라는 책으로 다시 만났다. 부제는 '이외수의 소생법', 글쎄... '생존법'에 이어 '소생법'이라니 생존은 말 그대로 살아 있는 것, 살아 남는 것인데 소생은 죽다가 살아나는 것이 아닌가. 왠지 전보다 더 절실해 졌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짚고 넘어 갈 것이 있다. 이 책은 2004년도에 [날다 타조]라는 책으로 출간되었던 것을 내용과 삽화를 추가해 새롭게 내 놓은 것이다. 날지못하는 새 타조를 통해 젊은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저자의 의도가 '청춘은 불패다'라는 주제로 다시 돌아온 것이다. 아무렴... 죽다 살아난 것이 먼저고 그 다음이 생존이겠지. 하핫~ ;;
"겨울 새벽까지 깨어 있으면 언제나 빌어먹을 놈의 외로움 때문에 뼈가 시리다, 라고 썼다가 바깥에서 앙상한 뼈를 드러낸 채 묵묵히 겨울을 견디고 있는 나무들을 생각하면서 부끄러움을 느꼈다. (p.24)"
외로움이라는 것도 어찌보면 고통의 일종이다. 그리고 뼈는 우리 몸을 지탱하는 철근같은 존재이며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한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뼈가 아프다는 표현은 '멍이 든다'는 표현과는 또 다른 차원의 고통이다. 사람들은 뼈가 깍이는 것 같다고도 하고 어떤 사람은 뼈가 우리~하다고도 한다. 그런데 외로움이 주는 고통은 '뼈가 시린' 고통이다. 옛사람들은 어떻게 말도 그렇게 잘 만들어 내는지 외로운 사람은 마음이 춥고 그래서 옆구리가 시리고 거기에 더해지면 뼈까지 시린 것이라고 표현한다. 정말이지 외로움의 고통이란 아파본 사람만이 안다. ;;
하지만 젊은 시절 가장 큰 착각 중의 하나가 "그 누구도 '나와 같은' 고통을 겪는 이가 없을 것"이란 생각이다. 나만 힘들고, 나만 괴롭고 세상에서 나만 홀로 내버려진 것 같은 생각이 든다면 잠시만이라도 고개를 들어 자신이 속한 공간 너머를 바라볼 여유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열등감이 있다는 것은 타인의 우월성을 인정하고 겸손을 갖추었다는 증거이며, 백수인 것이 두려워 꿈과 열정없는 직장을 가지는 것을 경계하라고 조언한다. 또한 돈에 집착해서도 안되지만 돈을 경멸해서도 안된다고 돈을 '진실로' 사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에 공감하게 된다.
<청춘불패> 역시나 새겨둘만한 내용이 많은 책이다. ^^ 앞서 언급했던 처럼 '하악하악'과 세트 같다는 생각도 들고... 대신 먼저 집필 된 내용이어서 그런지 '하악하악' 보다 인터넷 용어가 덜하다. ㅎㅎ 그런데 이외수님의 책 두 권을 읽은 후 느낀점이... 어쨌거나 여백이 많다는 점, 삽화의 비중이 크다는 점, 양장인지 문고인지 정체가 궁금하다는 점 그리고 책 읽으면서 내내 킁킁 거렸는데 향기가 참 좋다. 어떤 분이 책에서 향기가 난다기에 글에 대한 비유적 표현인줄 알았는데 정말 향기를 뿜는 책이다. ^^
"아무나 죽어서 꽃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살아서 가슴 안에 한 송이 꽃이라도 피운 적이 없는 사람은 그저 죽어서 한 줌 흙이 되는 것으로도 감지덕지할 일이다. (p.90)"
살다보면 잃고 나서야, 지나고 나서야 땅을 치며 후회하는 경우가 정말 많다. 유효기간 지난 쿠폰, 놓쳐버린 버스, 오해로 헤어진 연인들 처럼 말이다. 하지만 정작 하루하루 색이 바래는 청춘에 대해서는 얼마나 애통해 하고 있는가. 다만, 연탄재를 함부로 차지 못하는 당신이라면... 살아서 가슴 안에 한 송이 꽃이라도 피운 적이 있는 당신이라면, 멋 훗날 청춘을 되돌아 볼 때 후회보다는 추억으로 가득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지나간 시간이야 어쩔 수 없다지만 지금의 시간이 너무나도 소중하게 느껴진다. 나도 아직은 청춘이라고 우기고 싶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