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길 교수의 구석구석 우리 몸 산책
권오길 지음 / 이치사이언스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 전에 일이다. 방학을 맞이해서 수영을 배우던 아들이 귀가 아프다고 해서 집 까가운 내과/소아과 병원에 데리고 갔더니 중이염이 아주 심하다고 했다. 전문 이비인후과로 가는 것이 좋겠다며 소견서와 함께 전화 예약까지 해주길래 서둘러 병원을 옮겼더니 이비인후과 의사선생님 말로는 중이염이 아니라 귀의 겉부분에 염증이 좀 있는 것 뿐이라고 하셨다. 수영을 계속해도 상관없으며 손만 대지 않으면 저절로 낫는다는 것이다. 두 의사선생님의 소견이 어찌 이리도 다를 수가 있단 말인가. 순간 어리둥절해서 몇번을 되묻자 이렇게 말씀하셨다. "내과 의사가 어디... 귀를 제대로 안답니까?" 

 

 이 이야기를 꺼낸 것은 첫 번째 진료했던 의사 선생님을 탓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곳은 단골 병원인데다 친절하기로도 소문이 난 곳이다. 자신이 치료할 수 없을 것 같다든지 의심이 되는 환자인 경우 신속하게 다른 전문의에게 진찰받도록 하는 것도 오히려 신뢰가 간다. 두 번째 의사 선생님 말씀도 맞았다. 그 날 저녁에 처방해 준 항생제를 먹여 재웠더니 다음날은 훨신 나아졌다고 했고 수영도 보냈다. 우리 부부도 오랫동안 수영을 했기 때문에 귀 뿐만 아니라 어느 부위든 손만 대지 않으면 탈 날 일이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 몸이 얼마나 신기한가 하는 것이다. 솔직히 우리는 인체에 대해 너무 모른다. 손은 손이고 발은 발이다?, 라는 정도... 이건 너무 심했다. 그러면 심장은 자기의 주먹 크기만하고 눈알은 탁구공 만하다, 이건 좀 낫다. 하지만 좀 더 깊이 들어가 보자. "사람의 적혈구는 지름이 7-8nm이고 수명은 약 120일, 평생 약 144km를 돌아다닌 셈이며, 그 수는 25조 개에 가깝다. 적혈구는 핵과 미토콘드리아가 없으며 산소를 운반하는 일을 하면서도 산소를 쓰지 않는 유일한 세포다. " 이런 설명은 어떤가? 머리에 쥐가 좀 나긴 해도 이제야 우리 몸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 뿌듯하다. ^^;;

 

<권오길 교수의 구석구석 우리 몸 산책> 내용이 제목 그대로다. 우리 몸의 구석구석 - 머리 끝에서 발끝까지, 세포에서 겉모습까지 심장에서 손발톱까지 인체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이 들어있는 책이다. 그런데 처음 책을 펼쳤을 때, 글이 너무 빽빽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전문용어들도 제법 보이는 것이 예전에 생물교과서 혹은 참고서를 보는 기분이랄까. 중간중간 배치된 삽화와 실사 특히 매끄러운 종이질도 오히려 교과서스럽다는 느낌을 더한다. 하지만 막상 읽기 시작하면 학창시절 생물 수업시간에 들었던 기억이 조금씩 되살아 나면서 그런대로 진도가 쉽게 나간다. 

 

개인적으로는 정자와 난자가 수정하여 생명이 탄생하는 과정과 나이가 들수록 가정 내 여성(할머니)들의 목소리가 커지는 것을 호르몬과 연관지어 설명했던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철학적인 면에서 보면 노화라는 것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감해 준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곤 하는데, 이 또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세포들로 인한 것임을 생물학적으로 설명들을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하나라도 더 알려주려는 노교수의 노력이 엿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인생의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학문적인 것 뿐만 아니라 삶의 지혜도 함께 전해주려는 시도 또한 돋보인다. 

 

 유전학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보면 '아프리카인'이 인류의 조상이라고 하는데, 제국주의 시대에 흑인들을 사람 취급도 하지않았던 이들과 나치주의를 신봉하는 이들이 그 사실을 알았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아마 목숨 걸고 진실을 은폐했겠지. --;; 또 한가지 의문은 미래 생물학이 과연 어떤 식으로 발전할까? 하는 것이다. 어떤 학자들은 지금의 우리 아이들이 이미 한 단계 진화의 과정을 거친 존재라고 주장한다. 길쭉한 얼굴 모양, 날카로운 턱선, 커진 눈... 하지만 그런 걸 가지고 진화라고 한다면 너무 김빠지는 것 아닌가 싶은데... 현생 인류가 발견된 이후 오늘날 까지의 시간 만큼, 그 만큼의 시간이 다시 흐르면 인간의 모습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사피엔스의 차이 만큼이나 또 다른 종으로 바뀌어 있을까? 난 그것이 궁금하다. 

 

알면 알수록 신기한 인체, 아무리 생각해도 나는... 너무나 신비스러운 존재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