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날아가는 비둘기 똥구멍을 그리라굽쇼? - 디자인, 디자이닝, 디자이너의 보이지 않는 세계
홍동원 지음 / 동녘 / 2009년 6월
평점 :
"책은 뭐고 독서란 무엇이냐?" 라는 질문 많이 받는다. 가족, 친구, 동료, 후배들 할 것없이 책 때문에 무거워보이는 가방을 볼 때마다 혹은 시끄러운 소음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책 읽는 모습을 보면 황당함과 경외감을 동시에 담은 눈으로 쳐다본다는 것 잘 안다. 내가 무슨 칼럼니스트도 아니고 작가도 아닌데... 사실 질문에 대한 생각을 해보지 않은 것은 아니다. 수백 번 아니 수천 번도 넘게 고민했다고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하지만 '나에게 독서는 힘이고 에너지'라는 설명이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공감이 되지만 그들이 바라는 뭔가 근사한 대답은 못된다는 것을 아는 이상 늘 같은 대답을 해줄수 밖에. "뭐긴 뭐야? 책은 책이고, 독서는 책을 읽는 것이지~!! " 라고 말이다.
<날아가는 비둘기 똥구멍을 그리라굽쇼? > 다소 민망한 제목을 달고 내 품에 날아온 한 권의 책, 제목만 보고는 도대체 어떤 책인지 알 수 없을 정도다. 저자는 출판디자인을 전문으로하는 아트디렉터다. "디자인이 뭐냐?" 라고 묻는 지인의 질문에 설명을 해주다가 쉽게 더 쉽게 설명하는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그들이 원하는 대답은 "디자인 [design] [명사] 주어진 목적을 조형적으로 실체화하는 것 혹은 의상, 공업 제품, 건축 따위 실용적인 목적을 가진 조형 작품의 설계나 도안. " 이라는 식의 사전적 의미는 아니었을 테니 말이다.
저자는 설명을 해야하는 '전문가' 입장과 듣는 입장인 '비전문가' 사이의 틈을 최소화 해주는 방식을 찾아냈다. 바로 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 디자인을 중심으로 흘러가는 일상이나 업무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통해서 디자인을 쉽게 이해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자료수집을 위한 피튀기는 현장, 프레젠테이션 관행의 부당함, 디자이너 물먹이는 막가파 클라이언트, 우리만의(한국적인) 캐릭터에 대한 절실함, '명품 디자인'과 관련된 비하인드 스토리 등 디자이너 세계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들을 현장감 있게 그리고 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I ♥ NY’ 라는 로고에 관한 이야기다. 오늘날 뉴욕의 상징이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패러디되고 복제된 이 로고가 '개똥' 때문에 만들어 졌다는 사실. 1970년대 중반 뉴욕의 거리는 개똥으로 몸살을 앓고 있었는데 아무리 홍보하고 벌금을 물려도 해결되지 않더라는 것이다. 그 때 디자이너인 밀튼과 지인들이 캠페인을 구상하면서 디자인한 로고가 바로 ‘I ♥ NY’ 이다. 그것도 '공짜'로~!! 911 이후 밀튼은 하트의 한쪽 부분을 검게 그을려 '뉴욕에 대한 변치않는 사랑'을 담아냄으로써 찬사를 받았고, 이슬람 권에서는 ‘NY don't ♥ U’로 패러디되어 사용된다니 디자인의 힘이란 참으로 대단하지 않은가.
또 한가지는 지하철 노선도에 관한 것이다. 헤리 벡은 런던의 지하철에 필요한 배선을 설계하는 사람이었는데 전기 회로도를 설계하듯이 지하철 노선도를 그렸다. 실제 레일과는 상관없이 최대한 단순화 시키고, 역은 점으로 표시했지만 사람들은 단번에 노선을 파악하게 되었고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안 막연한 공포와 불안감에서 해소될 수 있었다고 한다. 문득, 엘리베이터를 처음 탔던 사람들이 불안에 떨고, 느리다면서 불평을 하자 거울을 설치했더니 해결되었다는 이야기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 사람의 아이디어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심리적 압박에서 벗어났으니 이 또한 디자인의 위대한 힘이 아닐 수 없다.
우리 나라의 경우는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디자인의 역사가 너무 짧은 것이 사실이다. 그동안은 먹고 살기 바빠서 디자인까지 따질 여유가 없었지만 이젠 세계속의 한국인 만큼 달라져야 한다. 아직은 시행착오를 겪는 단계이고, 때문에 어려움도 좌절도 끝이라고 하기엔 아직 길이 멀다. 대신 발전 가능성이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하다. '뉴욕에서 온 남자, 도쿄에서 온 여자'에 보면 서울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한국에 대해 이야기한 부분이 있는데 디자인에 있어서도 '한국적인 것'을 살리려는 노력이 꼭 필요하다. '뉴욕 같은 서울'이 아닌 '서울만의 서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비둘기 똥구멍' 운운하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책은 기존의 생각, '디자인은 전문분야이고, 전문분야는 어렵다. 그래서 디자인은 어렵다.' 라는 사고를 철저하게 무시하고 있다.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을 잃지 않으면서 전문지식은 쉽게, 거기다 직장인으로서의 애환이 적절히 섞여 있어 인간적인 냄새 물씬 풍기는 '재미있는 설명'이 된 것이다. 읽을 거리가 참 많은 책이지만, 새삼스레 가장 놀란 것은 저자인 홍동원 님이 지천명의 나이라는 사실이다. 미술이나 디자인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던 나조차도 디자인에 대해 조금은 감이 잡힌다고 말할 수 있게 되었으니 이런 것이 바로 연륜이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