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심장을 쏴라 - 2009년 제5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09년 5월
평점 :
사회가 어수선하고 민심이 흉흉해지면 유언비어가 떠돈다고들 하는데 나 어릴 적엔 '학교괴담'과 함께 '정신병원 탈출'에 관한 루머가 왜그리 끊이지 않았는지 알다가도 모를일이다. "너, 그 이야기 들었어? 오늘 새벽에 서울 모병원에서 정신병자 세 명이 탈출했는데..."로 시작되는 루머 속에는 항상 세 명의 환자가 등장하고, 그들은 꼭 애들만 골라서 해코지 하는 극악무도한 인물들로 묘사가 된다.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말자'라는 선생님의 훈화 말씀을 연일 들으면서도 잠자리에만 들라치면 불안에 떨어야 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통제불능에 예측불허라는 단어가 주는 공포심이란 그런 것이다. 창백한 얼굴과 촛점 없는 퀭한 눈을 가진, 귀신같은 캐릭터까지 만들어 낸다. 하지만 그땐 정말 몰랐다. 넘어져 무릎에 상처가 생기는 것처럼 마음에도 상처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많이 다치면 더 많이 아파해야 하고 낫기 위한 시간도 더 걸리 듯 마음의 상처도 마찬가지 라는 것을 말이다. 그리고 더 몰랐던 사실도 있다. 감옥이든 병원이든 멀쩡한 사람도 갇힐 수 있다는 것을 어떻게 상상이나 했겠는가. 때론 갇힌 자보다 가둔 자가 더 무섭다는 사실을 깨닫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정신병동에는 두 부류의 인간이 있어요. 미쳐서 갇힌 자와 갇혀서 미쳐가는 자. (p.213 - 수명)"
수리 희망병원, 수명이 승민을 처음 만난 곳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병원 입구에서 먼저 만났다고 해야하나. 수명이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입소하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승민은 첫날부터 어설픈 탈출을 시도한다. 결과는 참혹했지만 승민은 꿋꿋했고 번번이 실패하면서도 뜻을 굽힐 줄 몰랐다. 수명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승민의 계획에 번번이 엮이면서 함께 곤욕을 치른 두 사람은 동갑내기 단짝이 된다. 승민은 꼭 나가야만 한다고, 해야할 일이 있는데 시간이 없다고 말한다. 승민을 그토록 절박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왜 여기에 오게 된 것일까. 수명은 승민을 이해하려 애써보지만 이 모든 상황이 혼란스럽기만 하다.
"가끔 궁금했어. 진짜 네가 누군지. 숨는 놈 말고, 견디는 놈 말고, 네 인생을 상대하는 놈. 있기는 하냐? (p.240 - 승민)"
수명은 어린 시절 어머니의 자살을 목격한 충격으로 인해 세상과 담을 쌓고 자신만의 세계에 숨어버린 인물이다. 진실과 마주대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만들어낸 '목소리'에 위로를 얻으며 차라리 거짓을 믿는 쪽을 선택한 것이다. 하지만 자유를 향한 승민의 열정은 수명을 깊은 잠에서 깨웠고 '당당한 나'로 사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실체와 맞서야만 한다는 것도 배웠다. 인생에서 유일하게 상대해야 할 존재가 있다면, 피 터지게 싸워서 이겨야 할 존재가 있다면 바로 자기 자신이다.
그러고보니 수명과 승민은 공통점이 몇가지 있다. 나이도 동갑이고 불행한 유년을 보냈다는 것, 실제로 정신 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다는 점과 가족에 의해 이곳으로 보내졌다는 점등이 그렇다. 특히 수명의 아버지는 자신이 죽은 후 아들의 앞날을 걱정하여 숙식을 제공받고 사회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곳을 찾다가 결국 병원을 선택하게 되었는데 아버지의 염려와는 상관없이 수명에게는 치명적인 장소가 되어 버렸다. 보호나 보살핌같은 말은 언제라도 격리, 감금, 수용과 같은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을 미처 몰랐던 것이다.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라는 점이 가장 먼저 관심을 끈 이유가 되었지만 솔직히 신인작가 답다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하기 어려울 만큼 중년 작가의 분위기를 풍기는 작품이다. 우선은 정신병원과 관련된 전문적인 부분을 연구해 가면서 글을 쓴 작가의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그리고 치밀하면서도 탄탄한 구성력은 근래에 읽은 책들 중 손꼽힐 만큼 돋보인다. 입소 첫날 공포 분위기와 함께 잠시 비추던 전기 충격실의 굳게 닫힌 문하며 걸을 때마다 주위의 물건들을 뻥뻥 차던 승민의 몸짓, 징글징글한 거머리처럼 버려도 버려도 수명에게 다시 되돌아 오던 승민의 시계 등 마치 추리소설을 읽을 때 처럼 복선과 암시가 곳곳에 깔려있다.
책을 덮고서도 바로 책꽂이에 꽂지 못하고 앞부분을 뒤적거리고 있다. '내 심장을 쏴라'고 외치는 제목에서부터 도발적인 분위기가 풍긴다고 해야하나. 제목이 곧 이 책의 주제를 함축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정신 사나운 몸짓을 하고 있는 두 남자도 책을 덮은 후에 다시 보니 인물이 달라 보인다. 정말 잘 해보고 싶었는데 세상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다는 변명따윈 더 이상 필요없다. 미쳤다는 소리를 들을 만큼 무언가에 몰두한 적이 있었는지. 총 맞은 것처럼 비실거리지 말고 총 맞을 각오로 이를 악물고 살아갈 자세가 되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