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브라이슨 발칙한 영어 산책 - 엉뚱하고 발랄한 미국의 거의 모든 역사
빌 브라이슨 지음, 정경옥 옮김 / 살림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빌 브라이슨, 이름 만으로도 관심을 끌게 하는 작가다. <더 타임스>로부터 '현존하는 가장 유머러스한 작가'라는 평을 받고 있는 만큼 그의 작품은 익살스럽고 유쾌한 문체로 유명하다. 기업이나 기업이 만들어 낸 상품에 브랜드 가치가 있듯이 작가들도 이름 자체에 가치를 지닌다고 가정한다면 빌 브라이슨의 수치는 얼마나 될까 싶다. 흔히들 '이름을 내걸고 한다'는 표현을 쓰곤 하는데 이 책의 작가가 그런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가 쓴 책은 제목에 '빌 브라이슨'이라는 이름에다 표지에 캐리커쳐까지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자신감이 넘친다는 뜻이겠지. 
 
 메이플라워호가 미국에 도착한 이후 수많은 이주민들이 미국땅을 밟기 시작했고 다양한 민족과 문화 속에서 조화를 이루며 발전해가는 모습을 보였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영국의 간섭에서 독립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고 민주주의 수립, 부의 축적, 서부개척시대, 스포츠와 영화, 우주시대에 이르기까지 미국에 관한 거의 모든 것들의 역사가 한 권의 책 속에 들어있다.

책 읽으면서 좀 힘들었던 부분이 있는데 이 책이 미국의 역사와 함께 영어(언어)의 변화와 발달에 중점을 둔 내용이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미국 자체가 신세계이다 보니 지명부터 고속도로 이름, 동식물, 제도나 장치등 모든 것에 신조어들이 필요했다. 영국에서 쓰던 표현을 그대로 가져와 쓰는데는 한계가 있다보니 다양한 나라들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것, 세월이 흐르면서 변화를 겪어 확정된 것들 이런식으로 영어 단어가 나열되자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결국은 포기하고 거의 역사중심으로만 읽어야 했다는... ^^;;  

초기의 이주민들은 자신들을 미국이라고 생각하기보다 그들 자신이 영국인이며 그런 사실에 자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땅은 그들이 뿌리내리고 살아가야 할 공간이었을 뿐 언젠가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소망했던 사람들도 많았다. 국가 수립당시의 미국 헌법에는 노예나 노예제도에 대한 언급이 아예 빠져 있다는 점과 링컨 대통령조차 정치 초기에는 노예 제도에 찬성했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다.


미국의 역사에서 가장 가슴아픈 부분인 인디언들의 이야기- 미국 정부는 인디언들과의 조약을 제대로 지켰던 적이 없으며 인디언들을 미국땅의 가장 황폐한 부분으로 쫓아냈다. 초기의 이주민들이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추위와 굶주림으로 죽어갈 때 인디언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결코 살아남지 못했을 것임을 알면서도 말이다. '카우보이'라는 말은 원래 독립전쟁 당시 영국 왕실을 지지하는 이들을 깍아 내리는 말로 처음 쓰인 말이라고 한다. 물론 소를 몰고 가는 사람이라는 표현도 맞지만 우리가 흔히 상상하는 멋진 카우보이의 모습은 순전히 소설이나 영화 속에서 만들어진 모습이라고 하니 조금은 실망스럽다.  

"더 나은 쥐덧을 만들라. 그러면 세상이 당신의 집으로 몰려갈 것이다. p.153" 이 말은 미국인들이 실용적인 면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했는가 하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나라들이 혁신적인 산업공정에 관심을 기울일 때, 같은 시기 미국에서는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수많은 발명품과 아이디어들이 넘쳐났다. 대표적인 주자가 바로 에디슨으로 오늘날까지 발명가를 떠오릴 때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름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어릴 적 위인전에서 읽었던 것과는 다르게 에디슨의 성격적인 문제점까지 언급하고 있어 의외였다.

 <빌 브라이슨 발칙한 영어 산책> 솔직히 '발칙하다'라는 표현이 이렇게 긍정적인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발칙함이란 '괘씸하다', '버릇없다' 혹은 '당돌하다'라는 식의 약간은 부정적인 뜻을 품고 있는 단어가 아니던가. 하워드 진이 말하는 역사가 노동자 중심의 진지함과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면 빌 브라이슨 역시 가볍다고 할 수 없는 무게감과 비판적인 면이 있다. 다만 표현에 있어서 발랄하고 유쾌한 감성을 뿜어낸다는 점 이것이 바로 빌 브라이슨의 발칙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