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해부
로렌스 골드스톤 지음, 임옥희 옮김 / 레드박스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죽음의 해부>라는 제목에 걸맞게 표지가 매우 사실적이다. 토마스 에이킨스의 '그로스 박사의 임상강의'라는 작품인데 수술에 몰두한 사람들, 거즈를 든 사람과 수술도구를 전달하는 사람 그리고 그로스 박사로 보이는 사람이 피 묻은 메스를 들고 강의하듯 다른 곳을 응시한 표정이 매우 진지하다. 책의 내용에서도 이 그림에 관해 언급되는데 그림이 그려진 시기와 소설의 배경이 모두 19세기로 일치한다. 

 그림을 통해 당시의 의료 환경에 대해 살펴보자면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나 보조하는 사람 모두 양복을 차려입었다. 당시는 여성들의 사회 활동에 제약이 따르던 시대인지라 간호사가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양복의 특성상 움직임이 불편해 보이는 것이 그림으로도 느껴지는데 수술실의 상황이 얼마나 리얼한지 피가 와이셔츠에 튄 것까지 보인다. 중요한 것은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도 없고 모두 맨손이다. 오늘날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환경에서 수술이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림을 통해서는 확인되지 않지만 책의 내용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을 몇가지 보태자면 당시는 마취나 통증완화에 대한 의료기술이 미흡해서 수술도중 환자가 깨어나거나 혹은 쇼크사로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수술후 2차 감염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흔했다. 한마디로 "수술은 잘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말할 것도 없이 유아사망율도 높았고, 여성들이 출산을 하다위해 떠안아야 할 위험부담도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심각한 수준이었다.

다른 과학 분야도 마찬가지겠지만 기술이 발전하는 과정은 아날로그 곡선을 그리기보다 계단식인 경우가 많다. 다시말해 특정 분야에 획기적인 발견이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면 그로인해 그 분야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징검다리' 역할을 한 사람은 인류에게 있어서 '위대한 영웅'일 수 밖에 없다. 

이쯤에서 이 책의 주제를 끄집어내 본다. 어느날 우연한 기회에 위대한 영웅을 사적으로 만나게 되고 그가 심각한 범법행위를 저지른 사실을 알게 되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내 손에 들어온 증거를 폭로하게 되면 영웅은 하루 아침에 악인이 되는 것이고 의료 기술의 발전도 기대할 수 없다. 반대로 진실을 덮어 버리면 영웅의 옆에 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부와 명예를 누리게 된다. 참으로 잔인한 선택의 순간이다.

'셜록홈즈와 CSI의 절묘한 조화!' 셜록홈즈를 좋아하고 CSI 미드에 빠져 본 사람이라면 거부할 수 없는 문구가 아닐 수 없다. 주인공 캐롤은 탐정은 아니지만 의사로서의 의학적 지식과 뛰어난 추리력으로 사건을 파헤쳐 나간다. 과학 기술의 발전 속도와 함께 끊임없이 제기되어온 윤리문제는 너무나 민감한 부분이라서 차라리 덮어 두고 싶은 생각까지 들 정도다. 다만 이 책에서는 의료행위와 환자간의 문제라기 보다는 홀스테드라는 인물의 개인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요한 것은 한 사람이든 수만명이든 사람의 생명에는 관심이 없고 오직 자신의 사리사욕만 채우려는 의사나 기관들이 더 문제라는 것이다. 일말의 양심도 없고 실력도 없는 의사가 계속 집도하도록 방치하는 병원과 마약류를 빼돌리거나 불법 의료 시술을 하는 의사에 비하면 차라리 홀스테드에게는 동정표를 던지고 싶다. 그는 자신에게 직접 인체실험을 하다가 약물에 중독되었고 그로인해 충분히 고통받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 사람의 목숨에 무게를 달 수 있을까? 수만명의 목숨을 위해서는 몇 사람의 억울한 희생따윈 무시되어도 좋은가. 책을 읽는 내내 의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 했지만 결국은 포기하고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