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유쾌한 물리상식 교실밖 상식 시리즈 5
김기태 지음 / 하늘아래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너희들이 제출한 실험 보고서는 시작부터 엉터리다.!!" 물리 선생님의 호통 소리에 아이들 모두 어리둥절한 표정이었다. 실험만 열심히 하고 그래프만 열심히 그리면 뭐하냐고 한참 꾸중을 듣고는 팀별로 보고서를 돌려받았다. 그 날의 실험은 평소처럼 순조로웠던 기억밖에 없는데 무엇이 오류라는 것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그러다가 무심코 지나쳤던 보고서의 첫줄을 살피는 순간 마침내 이유를 알게 되었다. '날씨: 맑음, 기온:25도, 습도 100%' 화창한 초여름 날씨에 습도가 100% 라니... 과학 실험실을 들어설때 입구에 걸린 온도계와 습도계 눈금을 확인하고는 아무 생각없이 그대로 옮겨적었는데 그렇다면 습도계가 고장이었나? 그렇다. 습도계가 고장이었던 것이다.!! --;;  

 <청소년을 위한 유쾌한 물리상식> 이 책은 제목부터 유쾌하다. '청소년을 위한'이라는 수식때문에 물리라는 분야가 어렵게 느껴졌던 나같은 사람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니 말이다. 무엇보다 동기가 분명해서 좋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과학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하고', ' 위대한 과학의 발명, 발견들이 우리가 언제나 접하고 있는 사물들과 여러 현상들에서 나오고 있다는 것을 이해시키 위해서'라고 밝혔다. 전체적으로 쉬운 표현이나 예를 든 것을 느낄 수 있고 단락이 끝날때마다 용어 정리를 해준다든지 '과학 장난감 만들기'도 시도해 볼만하다. 과학이란 막연하지도, 생각보다 어렵지도 않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깨닫게 된다. 

과학은 호기심에서 출발한다. 철학이나 종교, 사상과 같이 사고하는 학문도 마찬가지겠지만 과학 그중에서도 특히 물리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것에서 시작한다. 해는 왜 동쪽에서 뜨는가, 밤 하늘의 별들은 왜 반짝이는가, 물질을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인간도 새처럼 하늘을 날 수는 없을까 등등 누군가 그 질문에 대해 '우문'이라고 단정지으며 '원래' 그런 것이라고 말해버린다면 그것은 결코 과학적인 사고가 될 수 없다. 질문이 없으면 답도 없고 더 이상의 발전도 없다. 

 "갈릴레이는 자연의 법칙을 수학으로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처름으로 주장한 과학자이고 뉴턴은 실제로 그것을 증명한 과학자 입니다. (p.146)" 이 문장을 읽는 순간 마치 지금껏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 것처럼 명쾌한 느낌이 들었다. 고대의 과학자들은(그들은 철학자이자 종교가였고 수학자이기도 했다.) 자연 현상들을 신과 인간의 관계로 이해하려 했었지만 과학이 발달하면서 자연 현상에도 규칙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법칙'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그 법칙은 기호와 숫자로 표시됨으로써 과학은 막연한 것이 아니라 구체화시켜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임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과학이 매력적인 이유가 거기에 있다.     
 
우주와 천문학을 시작으로 원자와 핵 물리학, 역학, 전기와 전자등 물리학에 대해 알면 알수록 실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질문을 던지고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하고 증명을 하고, 다시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하고 반증을 하고... 이것의 과학의 기본이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이 모든 편리함들은 수많은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보낸 숱한 시간 덕분이다. 그들중 어떤 이들은 자신들이 만들어낸 결과물이 인류의 평화를 위협하는 결과를 가져온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껴야만 했고, 어떤 이들은 그들이 치명적인 물질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 상태로 실험을 해야만 했었다. 현대에 와서 과학자들에게 가장 큰 영광이라고 알려진 노벨상의 경우 엄청난 발견이나 발명이 아닌 심플하면서도 핵심적인 성과를 인정하였다는 사실을 떠올릴 때 우리 교육도 보다 실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위기로 가야 한다는 것을 절감한다.


때마침 스승의 날이 다가오는데다 '유쾌한 물리상식'이라는 책을 읽다보니 물리선생님 생각이 계속 떠오른다. 누가 문과생 아니랄까봐 우리들중 대부분은 수학이나 과학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지만 실험 위주의 수업 방식과 유머러스한 선생님이 좋았기 때문에 물리 수업 만큼은 항상 유쾌하고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공부했었다. 그날도 엄밀히 말하자면 고장난 습도계가 문제라기 보다 실험을 함께했던 수십명의 학생들 중 어느 누구도 의문을 품거나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문제였다. 평소 미래 과학의 중요성과 과학적인 사고에 대해 강조하셨던 선생님, 입시와 무관하다는 이유로 비중이 낮은 과목이었지만 과학에 대한 열정이 넘치셨던 분이다. 
 
아직 교단에 계신다면 후배들에게 이렇게 말씀하고 계시겠지요. "모든 것에 의문을 가져라. 이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다." 그리고 한 말씀 더 "그래도 궁금한 게 없냐? 질문좀 해라 이것들아~~!!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