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중지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표지를 보았을 때는 뭐랄까... 스릴러같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검은 바탕의 한가운데 자리잡은 나비인지 나방인지가 '양들의 침묵'에 등장하는 날벌레를 연상시켰던 것이다. 거기다 제목은 또 어떤가. 글자 그대로 죽음이 중지되었다고 받아들여지기 보다는 '죽음의 가운데 손가락' 쯤 되는 줄 알았다. ^^;; 나이가 들수록 자꾸만 이해력이 떨어지는 탓이기도 하겠지만 저자가 주제 사라마구라는 사실을 잠시 간과했던 탓이 크다. 그가 아니면 누가 감히 죽음 없는 세상이라는 엄청난 설정으로 소설을 쓸 생각을 했겠는가. 
 
한마디로 "이 책은 '반전드라마' 이다." 라고 말하고 싶다.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섬짓하면서도 치명적인... 가령 한 여자를 너무나 사랑한 주인공이 악마와 거래를 한다. 자신의 삶이 다하는 날 까지 그녀와 함께 할 수만 있다면 무엇이든 하겠다고 말이다. 주인공은 소원대로 그녀와 늘 함께 한다. 하지만 알고보니 그녀는 '귀신'이다. 이건 아니잖아~!! 라고 절규하는 주인공에게 악마는 이렇게 말한다. 약속을 지켰을 뿐이라고, 죽을 때까지 그녀와 함께 할 수만 있게 해달라고 했지 '살아있는' 혹은 '죽어있는' 이라는 옵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이다.  

 물론 책에서는 특정 인물의 거래로 사건이 시작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어떠한 조짐이나 이유에 대한 설명도 없다. 첫장면에서 죽음이 중지되었다고 선포하듯 내용이 시작될 뿐이다. 새해 첫날 이제부터 아무도 죽지 않는다. '죽음 없는 사회'라니 이 얼마나 환상적인가. 고대로부터 인간은 유한한 삶을 뛰어넘는 '영원한 삶', '불사의 존재'를 꿈꾸어 왔다. 그 꿈이 현실이 되는 순간 사람들은 열광한다. 새로운 세상, 이곳이야 말로 파라다이스라고 외치면서 기쁨을 나눈다. 더이상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은 없다.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라는 말도 사라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뭔가 찜찜함은 남아있다. 그것이 무엇인지 콕 찝어서 말할 수는 없지만 왠지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첫장면으로 잘못 편집된 것만같은 불안감이 엄습한다. 역시나 죽음의 중지는 꿈의 실현이 아니라 재앙임이 드러난다. 임종을 앞둔 노인들은 죽었다고도 그렇다고 살았다고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버리고, 사고로 실려온 사람들은 고통속에서 죽음을 달라고 부르짖는다. 장례업과 관련된 직종들은 파산 위기에 몰리고 사회를 정신적으로 받쳐주던 종교계도 심각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죽음이 없으면 부활도 없는 것. 종교라는 자체가 무의미해 진다. 

 책장을 넘길수록 너무나 무섭고, 잔혹하다. 아이러니하게도 죽음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라 죽음이 중지되었기때문에 비롯된 문제들이다. 순식간에 혼란으로 엉망이 되어버린 사회, 죽음이 사라져버린 극단의 상황에서는 오히려 죽음 자체가 희망이고 답이 되어 버린다. 환자들의 인위적인 죽음을 놓고 살인인가를 논쟁하는 사람들, 그 과정에서 이권을 챙기려는 검은 세력들도 등장한다. 죽음이 유효한 국경지대의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정치적인 문제도 커져만 간다. 그래서 이 책이 '반전드라마'인 것이다.

<죽음의 중지> 설정부터 전개, 결말에 이르기까지 <눈먼 자들의 도시>와 흡사한 정말이지 주제 사라마구 스러운 책이다. 너무나 엉뚱한 설정이지만 빠져들 수 밖에 없는, 나도 모르게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전개가 그렇다. 앞서 읽었던 <수도원의 비망록>의 경우는 좀 어려웠던 기억이 있는데 이 책의 중반부터 등장하는 '죽음의 신'이 그러하다. '죽음의 중지'에서 살짝 벗어나 또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처럼 새로우면서도 부분적으로는 난해하기도 하다. 

 '삶이 아름다운 것은 유한성에 있다.' 라는 말을 자주 써먹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다. '유한성'의 의미가 단절이나 끝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만큼 끈질긴 생명체도 없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재확인 했다고나 할까. 혹자는 지구의 마지막날에 살아날 확률이 가장 높은 생명체는 무엇무엇이다 라고들 하지만 누가 뭐라해도 난 '인간'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것은 삶의 길이도 중요하지만 역시 '질'이 우선이다 하는 것. 금기사항처럼 덮어두었다가 한번씩 이슈가 되는 '존엄사' 문제에 대해서도 사회적인 고민이 필요한 때다. 삶과 죽음은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는 사실을 새삼 되새기며... 책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