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선형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도대체 어떤 책을 골라야 하는 거야?'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를 검색하니 왠만한 출판사들은 거의가 책을 낸듯하다. 영화 개봉에 맞추어 원작이 출간되었나보다 했는데 이건 많아도 너무 많다. 일단, 문학동네에서 출간된 이 책은 기본적으로 출판사가 가진 신뢰도가 영향을 미친 이유도 있고 다른 책들보다 표지가 심각하지 않아서 좋다. 남녀가 트위스트처럼 보이는 춤을 추는데 몸짓이 과장되어 우스꽝스러워 보인다. 더구나 억지로 춤을 추는 것처럼 표정은 또 왜그리 심각한지. 마치 시트콤의 한 장면 같다.
'헉~!! 단편집이다~!!' 책장을 넘기고는 곧바로 당황하고 말았다. 그것도 몰랐느냐고 나무래도 어쩔수는 없겠지만... 난 이 책이 장편 아니 적어도 중편 정도는 되는 줄 알았다. 영화원작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에 생긴 착각이기도 하지만 스콧 피츠제럴드라는 이토록 유명한 작가에 대해 아는 것이 너무 없었기 때문에 생긴 일이기도하다. <위대한 개츠비>를 뛰어 넘고자 평생을 노력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음을 그리고 자신과 아내의 소비를 감당하기위해 (혹은 다른 이유로) 단편들을 내 놓을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을 말이다.
어쨌거나 기대했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라는 작품은 책에 수록된 11편의 단편들 중 하나로 노인으로 태어나 아가로 죽는다는 엄청난(?) 줄거리를 가진 내용이다. 충격적임 혹은 강렬함 이런 감정에 대한 여운을 제대로 즐길새도 없이 곧바로 끝나버린 것같아 조금은 섭섭하기도 했는데 뒤이어 수록된 단편들이 모두 독특하고 재미있어 과연 작가의 명성이 절로 얻어진 것은 아니구나 하는 감탄을 했다.
스콧 피츠제럴드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재즈시대'에 대한 설명이 우선되어야 한다. 단편집의 주된 배경이 이와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성공과 부를 위해 도시로 몰려든 젊은이들, 물론 그들중에는 자신의 꿈을 현실화 한 이들도 있을테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현실의 벽을 넘지 못하고 좌절하는 젊음도 많았을 것이다. 현란한 불빛 아래 고뇌하는 영혼들... 한껏 부풀어진듯 하더니 끝내는 허무하게 사라져 버리는 것들. 이런 모습들이 각각의 단편들에 조금씩 녹아있다.
중요한 것은 일관된 배경과 주제를 표현함에 있어서 때론 <벤자민 버튼의...> 처럼 황당하게, 때론 <낙타 엉덩이처럼> 코믹하게, <젤리빈> <행복의 잔해>처럼 허무하게, <리츠칼튼 호텔만 한 다이아몬드> 처럼 판타스틱하게, <도자기와 분홍> 처럼 희곡의 양식을 빌리는등 다양한 장르와 다양한 소재와 캐릭터를 동원했다는 사실이다. 무거운 주제를 무겁지 않게 다룰 줄 아는 힘. 그것이 바로 피츠제럴드만의 능력이 아닐까 싶다.
'재즈시대'를 살았던 젊은이들의 고뇌와 힘겨움이 오늘날의 풍요를 가져왔음은 말할 것도 없다. 비록 불황이 장기화 되고 있어 불확실한 미래에 고민하는 이들이 많겠지만 부디 꿈을 향한 질주를 멈추지 말았으면 한다. 젊다는 것은 그래서 좋은 거다.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으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