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자연과 과학과 사람이 함께 만든 달력 이야기 ㅣ 토토 생각날개 6
김경화 글, 김숙경 그림 / 토토북 / 2008년 12월
평점 :
"엄마, 내 생일 이제 몇밤이나 남았어?" / "아들아, 이틀 전에 네 생일이었잖아. ㅠ.ㅜ" / "그래도... 그러니까 다음 내 생일 몇일 남았냐고?" / "삼백 육십 삼일 남았지. ;; " 아이가 1년중 가장 기다리는 날이 있다면 어린이날, 크리스마스, 유치원 방학 하는 날, 캠프가는 날... 그 중에서도 자신의 생일만큼 간절히 기다리는 날은 아마 없을 것입니다. 누구에게나 소중한 삶, 그 삶이 시작된 날이니 어찌 기념하지 않을 수 있나요. 하지만 아이들이란... 1년동안 기다린 생일을 맞고 돌아서면서 다시 삼백일도 넘게 남은 생일을 카운드다운하기 시작하네요. 정말 귀엽죠. ^^
연초에 새달력으로 바뀌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이 달력에다 집안 대소사를 표시하는 것입니다. 시부모님 기제사일과 부모님 생신, 남편과 아이의 생일, 내 생일 그리고 직장에서의 업무가 날짜와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지는 일이라서 각종 스케줄을 달력에다 표시를 해요. 물론 아이의 유치원 행사일이나 준비물 제출일등도 자리를 차지하지는지라 제 탁상달력은 거의 빈틈이 없을 만큼 글자로 빼곡하답니다. 하루에도 몇번씩 달력을 보고 다시 기록하는 것이 일상이예요. 달력이 없다면 이 모든 일들을 어떻게 기록하고 기억할까요?
아이는 어른의 스승이 맞습니다. 달리 스승이 아니라 아무렇지도 않게 당연한줄만 알고 살아가던 것들에 대해 질문을 던지면 그제서야 우리 주위의 현상들에 대해 너무 생각없이 살아왔구나 하는 반성을 하게 되요. '달력은 왜 한줄에 7일이야?' 라는 질문을 처음 받았을 때도 그랬어요. 천지창조의 7일과 상관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했는데 막상 질문을 받으니 대답이 명쾌하지 나오질 않더라구요. 어릴때는 숫자를 배울 때, 10단위에 익숙하잖아요. 그런데 일주일은 왜 7일이고, 매달은 30일도 되었다가 31일도 되었다가 2월은 28, 29일도 되고 도대체 달력에는 무슨 사연이 있는 것인지 너무 궁금해 졌어요.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 책에는 달력에 대한 모든 것이 시원하게 설명되어 있어요. 고대의 사람들은 해가뜨면 하루가 시작되고, 해가 지면 잠을 자는 식으로 달력이 필요없었지만 한곳에 모여살기 시작하면서 농사도 지어야하고, 사냥도 해야하고, 사람과 사람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날짜 개념이 필요하게 되었지요. 사람들은 달이 찼다가 기우는 모습이나 별자리, 해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저마다의 달력을 만들기 시작했고 따라서 나라마다 민족마다 자기들만의 달력을 만들어 사용하였어요.
어른인 저도 지금의 달력에 음력을 병행해서 쓰니 불편하다고 생각했던 적이 많았어요. 하지만 앞서 언급했던 것 처럼 모든 달력은 장단점이 있어요. 더구나 우리 고유의 절기는 모두 음력으로 되어있지요. 농사를 우선으로 생각했던만큼 계절의 변화와 잘 맞아떨어지고, 계절별로 지켜야 할 것들과 해야 할 일들이 절기별로 잘 표시되어 있어요. 어쨌거나 지금까지 만들어진 모든 달력들은 오차를 피할 수 없다고 해요. 지구의 자전과 공전, 달의 인력등 여러가지 요인들때문이지요.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그레고리력도 몇천년이 지나면 날짜를 손봐야할 날이 오게 된다고 하니 기분이 좀 이상해요. 우리 후손들이 잘 알아서 하겠지만 말이죠. ^^
삼백일을 넘게 카운드다운하던 아들... 오늘은 울 아들의 생일입니다. ^^ 달력을 물끄러미 쳐다보던 아들이 그러더군요. 1년에 나이를 한 살씩 먹는다더니 새달력이 바뀌어서 한 살, 생일이니까 한 살, 설날이 지나면 다시 한 살, 1월 한달동안 자기는 세 살이나 먹게 되었다고 너무 좋아합니다. 안그래도 서른 중반에 접어든 엄마는 나이 드는 것 때문에 가슴이 미어지는데 아들은 엄마의 마음을 너무 몰라주는 것 같습니다. ^^;;
소중하고 고마운 달력~ 늘 가까이에 있어서 그냥 그렇게 벽에 걸려있고, 책상위에 있어야할 존재로만 알았던 달력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된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