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집어든 남편이 관상을 살피듯 표지를 뚫어지게 쳐다본다. "제목만 보고도 내용이 어떨지 대충 알것 같아. 왠지 짠하면서 묵직할 것 같은데 그리고 '엄마'가 아플 것 같고... 참, 당신이 눈물 한가지 쏟는다에 전부를 걸겠어~!!" 무슨 점쟁이도 아니고... 하지만 자신만만하게 큰 소리치는 남편의 주장에 공감할 수 밖에 없었다. 다른 것 다 접어두고 <엄마를 부탁해>라는 제목과 밀레의 <만종>을 연상시키는 기도하는 여인들이 그려진 표지만 가지고도 뭔가 말로 표현못할 감동이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첫장을 넘기기도 전에 이토록 감정에 휘말려 보기는 처음이다. 어머니... 엄마는 그런 존재다.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 책의 첫 문장은 이렇게 시작한다. 생일상 차려준다는 자식들 힘든 걸음 시키지 않으려고 고향에서 서울 올라온 길이었단다. 가족들이 전단지 초안을 만들고 대책을 논의하는 장면을 보면서 처음엔 솔직히 이해가 되지 않았다. 어떻게 엄마를 잃어버릴 수 있지? 엄마가 무슨... 가방에 들어갈만한 물건도 아니고 짐짝도 아닌데 지하철역에서 엄마를 잃어버린지 일주일이 되도록 찾지 못하였다니 어리둥절 할 수 밖에 없었다. 직감적으로 엄마가 치매이거나 그와 비슷한 질환을 가졌구나 하고 생각했다. 휴~ 또한번 가슴이 무너져 내린다.   

가족들중 누구도 엄마한테 일어나고 있던 일을 알지 못했다. 일이 생기고 나서야 엄마의 행동이... 말이... 이런 상황을 암시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평생을 함께 한 아버지조차 나이들면 다들 그렇지 라고 생각했고, 자식들도 그저 제 할말만 하고 살았다. 초경이 시작되기도 전에 시집와 자식들을 줄줄이 낳고 살면서 시어머니보다 더 무서운 시누이 시집살이에 젊어서는 밖으로만 겉도는 남편을 하염없이 기다리며, 늙어서는 집에 돌아온 남편 병수발하면서 사셨단다. 없는 살림에 자식들 먹이고 공부시키고 남보란듯이 훌륭히 키워냈지만 엄마에게 남은 것은 과연 무엇이란 말인가.

"엄마를 잃어버린 다음에야 너는 엄마의 이야기가 너의 내부에 무진장 쌓여 있음을 새삼스럽게 실감했다. 끊임없이 반복되던 엄마의 일상. 엄마가 곁에 있었을 땐 깊이 생각하지 않은 엄마의 사소하고 어느 땐 보잘것없는 것같이 여기기도 한 엄마의 말들이 너의 마음속으로 해일을 일으키며 되살아아났다. 너는 깨달았다. 전쟁이 지나간 뒤에도, 밥을 먹고 살 만해진 후에도 엄마의 지위는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을. p.274"
 
아, 진짜 가슴이 미어진다. 가족들은 엄마를 잃어버린 후에야 비로소 알게된다. 엄마를 잃어버리기 전에 이미 엄마를 잊고 있었음을... 평생동안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동안 엄마는 그렇게 몸도 마음도 닳아 없어졌던 것이다. 아버지도, 시누이도, 자식들도 그제서야 다들 저마다의 잘못을 뉘우치며 엄마를 간절히 찾고자 한다. 엄마의 과거를 돌이켜 볼수록, 그들의 고백이 이어질수록 안타까움만큼 서운함과 약간의 분노가 치밀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곧이어 울 엄마의 거친 손이 생각났다. 셋째 며느리로 시집와 제사부터 집안 대소사 모두 치러야 했고, 지 애비 등골 빼먹는 딸년들만 셋 낳았다고 욕을 하시던 할머니 시집살이에(할머니는 엄마를 그렇게 못살게 구셨으면서 돌아가실때까지 함께 사셨다.), 자식들 공부시키겠다고 이것저것 닥치는대로 부업을 하셨었다. 어릴 때, 주말마다 딸들의 손톱을 깍아주시던 엄마, 그런데 엄마는 항상 손톱이 뭉퉁했다. 말그대로 손톱이 자랄 결흘조차 없이 일을 하신것이다.   

 엄마란 그런 사람이다. 세상에서 제일 소중하고 아늑하면서도 편한 존재... 그래서 나도 모르게 함부로 하게되고 온갖 성질 다 부리게 되는, 그러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잘 안된다. 어쩜 나도 소설속의 자식들의 크게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미치자 한편으로는 부끄럽고 당황스러웠다. 

<엄마를 부탁해> 이 책은 <리진> 이후 오랜만에 만난 신경숙님의 작품이다. 밤 열시 넘어 김장때 쓸 마늘을 까는 그녀의 어머니를 통해 나의 어머니를 본다. 지난 겨울 어머니로 인해 누린 행복감이 오래전 시작한 이 소설을 계속 쓰게 했다고 한다. "누구에도 아직 늦은 일이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은 내 식의 방법이 이 소설이다. p.296" 비록 행복감과 거리가 먼 전개이긴 하지만 화자를 구분하기 힘든 독특한 시점과 구성이 돋보였고, 무엇보다 작가의 의도가 잘 전달된 소설이다.   

"엄마가 없는데도 봄이 오고 있다니. 언땅이 녹고 세상의 모든 나무엔 물이 오르고 있다니. 그동안 너를 버티게 하던 마음, 엄마를 찾아낼 수 있으리란 믿음이 뭉개졌다. 엄마를 잃어버렸는데도 이렇게 여름이 오고 가을 또 오고 겨울은 찾아오겠지. 나도 그 속에서 살고 있겠지. p.2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