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와 토끼가 잘자라고 말할 때
카트린 쉐러 글 그림, 고은정 옮김 / 예림당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여우와 토끼가 잘 자라고 말하는 마을' 이야기를 들어보실래요? 길 잃은 아기토끼가 언덕 위에 앉아 있었어요. 이 때 멀리서 지켜보던 배고픈 여우가 아기 토끼에게 다가가 입을 쩍~ 벌렸어요. "잠깐! 날 먹으면 안 돼요! 여기는 '여우와 토끼가 잘 자라고 말하는 마을'이잖아요!" 토끼의 말에 여우는 잠시 주춤거려요. "잘 자! 됐지?" 여우가 다시 입을 벌리자 토끼는 엄마가 들려주었던 '잘 자라고 말하는 마을'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졸랐어요. 여우의 이야기가 끝나자 이번에는 침대로 데려다 달라고 해요. 왜냐구요? 그야 잘 자기위해서지요. ^^

 여우는 냄새를 킁킁 맡으며 토끼를 집으로 데려다 주었어요. 토끼의 집에 도착한 후에도 아기 토끼의 요구는 계속되고, 여우는 아기 토끼가 시키는 대로 다~ 해줍니다. 비록 여우의 머릿속에서 토끼네 가족 모두를 잡아 먹는 상상이 떠나지 않았지만 말이죠. 여우는 토끼를 재우기 위해 자장가를 부르다가 재풀에 잠들어 버렸어요. 그런데 여우는 왜 아기 토끼의 말을 모두 들어줄까요? 왜냐하면... 여기는 '여우와 토끼가 잘 자라고 말하는 마을'이니까요. ^^ 
 
거북이와 경주했던 잠꾸러기 토끼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동화속에 등장하는 토끼들은 '꾀돌이'로 나오지요. 이 책에 등장하는 토끼도 당차고 똑소리 나는 토끼에요. 길 잃은 당황스런 상태에서 천적인 여우를 만났으니 얼마나 놀랬을까요. 하지만 '호랑이한테 잡혀가도 정신만 차리면 된다'는 속담처럼 마을의 이름을 떠올리며 당당하게 요구사항을 말해요. 토끼가 그저 무서워하며 벌벌 떨기만 했다면 지금쯤 여우의 뱃속에 있을지도 모르죠. 어쩜... 토끼는 엄마가 해주신 말씀을 주의 깊게 기억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요? 

가끔씩 아이에게 위기 상황을 대비한 연습을 시키곤 해요. 혼자 남겨졌을 때 엄마, 아빠를 찾아 헤매지 말고 그 자리에 있으라고 그러면 엄마,아빠가 찾을거라고 이야기해 줘요. 전화번호는 쉬운 멜로디에 실어서 노래로 외우게 해요. 우리 아이는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 하는 그 멜로디로 외우게 했어요. 어른도 극심한 충격을 받으면 이름도 주소도 전화번호도 생각나지 않는 한마디로 기억력이 마비되는 경우가 있다는데 아이들은 오죽할까요. 자리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지나가는 어른에게 전화를 부탁하는 것도 연습시키고 울먹이면 무슨 말인지 알아 듣지 못한다고 주의를 줘요. 그외에도 낯선 사람이 다가올 때나 싫다고 말해야 할때를 설명해주고 역할극처럼 "안 돼요!!", "싫어요!!"라고 소리치는 연습을 해요. 생각조차 하기 싫다고해서 아이들을 무방비 상태로 나둘수는 없으니까요. 

여기까지 말하고 나니 동화속에 등장하는 여우가 아주 나쁜 동물이 되었네요. 실제로 작년 이맘때쯤에 이 책을 읽었더라면 '꾀돌이 토끼와 나쁜 여우' 이야기로 기억된채 끝났을 거에요. 그런데 지금의 아이는 여우가 토끼의 천적이라는 것을 알아요. 먹이사슬도 알구요. 동화와 과학 지식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여우는 토끼처럼 풀을 먹을 수 없고 토끼를 잡아먹지 않으면 굶게 된다는데 생각이 미치자 '나쁜 여우'도 '멍청한 여우'도 아닌 그저 '배고픈 여우'라고 받아들여요. 그 때문인지 한페이지 가득 입을 쩍~ 벌린 여우라도 그다지 무섭지 않네요. 토끼를 등에 업은 여우, 토끼에게 후추를 뿌리는 상상을 하는 여우, 토끼를 배 위에 올리고 자장가를 불러주는 여우는 귀엽기까지 하네요. 

"여우야~ 너두 앞으론 풀을 먹어~!!"  아이의 말처럼 여우도 풀을 먹는 연습을 하면 여우와 토끼 모두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엄마의 머릿속은 복잡해 지기 시작합니다. '그게 말이야 여우와 토끼 모두가 풀을 먹으면 처음엔 평화로워 보이겠지만 각 개채가 기하급수로 늘어나면서 한정된 먹이(풀)가 줄어들고 그러면 결국 여우와 토끼 둘 다 굶어 죽는다구~!!' 라고 말하고 싶지만 오늘은 일단 여기까지!! 왜냐하면... 여기는 '여우와 토끼가 잘 자라고 말하는 마을'이니까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