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트기 힘든 긴 밤 추리의 왕
쯔진천 지음, 최정숙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의 3대 추리 작가 중 한 사람인 쯔진천의 작품.

중화권 추리소설은 찬호께이의 <13.67> 이후로 처음인데, 개인적으로 이 작품이 더 재밌고 흥미로웠다.

거대한 나라 중국에 뿌리 깊게 박힌 비리와 범죄를 다룬 사회파 추리소설로 이 작품에 더욱 애착이 가는 건 중국을 배경으로 중국작가가 썼기 때문일 것이다.

 

소설은 더럽고 누추한 한 남자가 여행용 가방에 시체를 넣어 유기하러 가는 도중, 지하철을 타려다 발각이 되어 체포당하는 데서 시작된다. 수백 명의 목격자와 cctv 증거, 범인의 자백 등 명백한 증거 앞에 검찰이 용의자를 기소하지만, 모든 걸 인정하던 용의자가 재판정에서 갑자기 진술을 번복하며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용의자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 호기심을 자아내며 이야기는 10년 전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흥미진진하게 전개되고, 조금씩 드러나는 진실 앞에서 같이 탄식하고 절망하게 된다.

 

정치와 경제가 결탁하여 일으키는 범죄는 세계 어느 곳에나 있지만 그 배경이 중국일 때 그 권력의 거대함은 견줄 데가 없을 것이다. 이런 거대 권력과 한 인간이 맞설 때 그 허탈감과 절망은 감히 상상이 되질 않는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힘 없는 개인이 사회권력에 의해 무참히 짓밟혀 그 존재마저도 부정당할 때 과연 우리는 어떻게 맞서야 하는가에 대한 작가의 진지한 물음이다.

 

"만일 이런 일조차 법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이렇게 억울한 죽음을 맞게 내버려둔다면 우리는 무엇을 위해 법을 공부하는 거지?

 

"전 멈출 수 없습니다."

 

"아내와 이혼하겠습니다."

 

10년 동안 진실 규명을 위해 거대 권력에 맞서 자신의 전부를 던진 한 검찰관의 용기와 희생.

그야말로 '계란으로 바위치기' 상황에서 매번 권력이 휘두르는 폭력에 쓰러지고 절망하지만 다시 일어나 정의를 향해 내딛는 그 한걸음 한걸음이 결코 헛되지 않음을 감동적으로 보여준다.

 

동트기 힘든 밤, 언제쯤이면 날이 밝아올 수 있을까...

아마도 밝은 날 보다 어두운 날들이 많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실은 많은 사람이 알수록 감추기 어려운 법' 이라는 책 속의 말처럼,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끊임없이 세상에 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

'적자지심(赤子之心)'을 간직한 이들이 보여주는 진실을 향한 강인한 신념과 노력은 불의에 침묵하는 다수의 마음을 움직이게 할 수 있다는 믿음을 쯔진천이라는 중국의 작가는 감동적으로 보여준다.

 

쯔진천이라는 작가를 알게 되서 기쁘고 그의 다른 작품 <무증거범죄>도 조만간 읽어 볼 계획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여기에 없었다
조너선 에임즈 지음, 고유경 옮김 / 프시케의숲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매매업소에 납치된 뉴욕 상원의원 딸을 구하기 위해 전직 FBI요원이었지만 현재는 사설 해결사인 조가 나선다. 어린 시절의 학대와 FBI 시절 구하지 못한 아이들에 대한 죄책감으로 고통의 나날을 보내는 조. 그가 휘두르는 망치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노와 슬픔. 짧아서 아쉽지만 그만큼 강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의 선물 - 제1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개정판
은희경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른들의 세계를 너무 일찍 알아버린 12살 소녀가 바라보는 가족, 이웃 이야기. 과연 이것이 아이의 생각이란 말인가, 어른인 나보다 삶의 본질을 더 잘 꿰뚫어보는 진희에게 공감이 안 가 마지막까지 호감이 가진 않았으나 작가의 문장력 만큼은 읽으면서 연신 감탄했다. 물론 재미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래너리 오코너 - 오르는 것은 모두 한데 모인다 외 30편 현대문학 세계문학 단편선 12
플래너리 오코너 지음, 고정아 옮김 / 현대문학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엔 몇 작품이 이해가 안가 포기할 뻔 했으나 또 오기가 발동. 1/3정도만 견디면 그 다음부터는 그녀의 날카롭고 차가우면서 가차 없는 작품 세계에 나도 모르게 빠지게 된다. 인간의 무지, 위선, 오만, 내면의 모순 등을 전 작품에 걸쳐 섬뜩할 정도로 무자비하게 보여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19-07-12 14: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전 이거 (몇 년 째) 아직 다 못 읽었는데... 이 100자평 보니까 자극받네요. ㅎㅎ

coolcat329 2019-07-12 16:30   좋아요 0 | URL
처음에는 가독성이 떨어져서 좀 피곤했는데 거의 모든 작품 그녀만의 세계가 반복적으로 변주되어 집중이 잘 되더라구요. 작가로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했다는 점이 대단하게 보여요.
 
소설가의 일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소설가 김연수가 말하는 소설을 쓰는 방법에 관한 책이다.

내가 소설 쓸 일은 없겠지만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로서 소설가가 말하는 소설에 관한 책은 늘 궁금하다.

별 기대 안하고 첫 페이지를 펼쳐 읽다가 풉! 하고 나도 모르게 터져서 그 전에 읽던 책(플래너리 오코너의 세계에서 잠시 휴식이 필요)을 잠시 중단하고, 유쾌한 마음으로 읽기 시작했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1년 동안 완독하기로 새해 결심을 하고선 2개월이 지나도록 47페이지에 머무르자 '나는 쉬고 싶지, 다른 사람의 잃어버린 시간까지 찾고 싶지는 않다'며 궁색한 변명을 늘어놓는 김연수가 너무 귀여웠다.

 

자신의 다양한 경험과 일상으로 이야기를 시작해 자연스럽게 소설과 연결지어 '어떻게','어떤 자세로' 글을 써야 하며 어떤 시선으로 삶을 바라봐야 하는지 시종일관 자조섞인 유머와 진지함을 오가며 보여준다. 낄낄거리며 웃다가도 어느새 줄을 긋고 싶지만 빌린 책이라 못하고 노트에 쓰고 있는 나를 자주 발견.

 

p.54

이 삶이 멋진 이야기가 되려면 우리는 무기력에 젖은 세상에 맞서 그렇지 않다고 말해야만 한다. 단순히 다른 삶을 꿈꾸는 욕망만으로는 부족하다. 어떤 행동을 해야만 한다. 불안을 떠안고 타자를 견디고 실패를 감수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지금 초고를 쓰기 위해 책상에 앉은 소설가에게 필요한 말은 더 많은 실패를 경험하자는 것이다. - 제1부 열정,동기,핍진성

 

p.141

소설을 쓰겠다면, <크리스마스 캐럴>의 마지막 장면을 항상 기억하기를. 어떤 인간이라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으면 근본적으로 바뀔 수있다는 것. 그 사실은 아무리 나이가 들어도 변함이 없다는 것. 달라진 사람은 말, 표정 및 몸짓, 행동으로 자신이 바뀌었음을 만천하에 보여준다는 것. 그러므로 소설을 쓰겠다면 마땅히 조삼모사하기를. 아침저녁으로 말을 바꾸고 표정을 달리하고 안 하던 짓을 하기를. 그리하여 마지막 순간까지도 인간은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어제와는 다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기를.                                                                                   -제2부 플롯과 캐릭터

 

 

제목은 '소설가의 일'이지만 글을 읽다 보니 나에게 하는 말 같았다. '소설을 어떻게 쓰느냐'가 아닌 '내 삶을 어떻게 하면 좀 더 아름답게 쓸 수 있는가' 라는 중요한 물음.

내 삶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만들려면, '평범한 일상을 강렬하게 맛볼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허기지게 늘 바보처럼' 나의 사소하고도 별 볼일 없는 일상을 집요하게 파고들고 스스로에게 뭐가 들리고 뭐가 보이는지 물어봐야 한다.  사랑에 빠진 사람처럼 생각보다는 감각에 빠지기를 갈망해야 한다.

 

 

p.174

흔한 인생을 살아가더라도 흔치 않은 사람이 되자. 미문을 쓰겠다면 먼저 미문의 인생을 살자. 이 말은 평범한 일상에 늘 감사하는 사람이 되자는 말이기도 하다. 그게 바로 미문의 인생이다. 소설 속의 인생 역시 마찬가지다. 추잡한 문장은 주인공을,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자기 인생을 뻔한 것으로 묘사할 때 나온다. 사랑하지 않으면 뻔해지고, 뻔해지면 추잡해진다. 

 -제3부 문장과 시점

 

p.217

시간이 날 때마다 지금 뭐가 보이고 들리고 만져지는지, 어떤 냄새가 나고 어떤 맛이 나는지, 자신에게 묻는 연습을 해야만 한다. 그리고 어딘가에라도 쓸 수 있다면, 그걸 문장으로 쓰자. 자기가 지금 뭘 보고 듣고 만지고, 또 어떤 냄새와 어떤 맛이 나는지.

 - 제3부 문장과 시점

 

김연수의 소설은 한 권도 읽어 보지 않았지만 마치 소설을 읽은 것처럼 내가 살고 있는 현재의 삶을 어떤 시선과 자세로 바라보고 느끼며 살아야 하는지 생각해보게 한다.

'소설은 허구이지만, 소설에 푹 빠진 독자가 느끼는 감정은 허구가 아니다.'

가장 인상적이고 기억에 남는 문장이다.

'독자'로서 '소설'을 사랑하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