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타르인의 사막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93
디노 부차티 지음, 한리나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타타르인의 사막>은 이탈리아 작가 디노 부차티(Dino Buzzati 1906~1972)의 대표작으로, '20세기 환상문학의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디노 부차티는 이탈리아 북동부의 도시 벨루노(Belluno)에서 태어나 밀라노로 이주한 뒤, 1924년 밀라노 대학 법학부에 입학, 졸업 후에는 기자로서 평생 활동하며 작가로서의 삶을 병행했다. 1933년 첫 소설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한 그는 1940년에 발표한 <타타르인의 사막>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이후 1950년에 발표한 소설집 <60개의 이야기>로 이탈리아 최고 문학상인 스트레가상을 수상했고, 1963년 발표한 <어떤 사랑>은 문학계에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다수의 소설, 시, 희곡 등을 발표했고 화가로도 활동했는데, 스스로를 "기자와 작가를 취미로 하는 화가"라고 칭할 정도로 그림에도 깊은 열정을 보였다.
환상문학의 거장으로 불리는 부차티는 인간의 고독과 불안을 현실과 환상이 어우러지는 독창적인 이야기로 풀어냄으로써 전 세계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을 자아냈다.
소설은 사관학교를 막 졸업한 젊은 장교 조반니 드로고가 북부 국경의 외딴 요새, 바스티아니로 파견되면서 시작한다. 어렵게 요새에 도착한 드로고는 '감옥이나 버려진 궁전'(p.26)을 연상케 하는 황량한 요새의 모습에 실망하여 처음에는 넉 달만 버티고 떠나겠다고 결심한다. 그러나 요새에서의 생활은 그의 예상과는 달리 점차 그를 매혹시키고, 그는 '자기 앞에 놓인 운명의 힘'(p.88)에 이끌려 결국 요새에 남기로 한다.
드로고는 매일같이 반복되는 단조로운 일상 속에서도, 국경 너머 북쪽 땅에 흩어져 있는 타타르인들이 언젠가 침략해 올 것이라는 '은밀한 희망'(p.234)에 사로잡혀, 삶의 가장 아름다운 시기를 허비한다. 그의 기다림은 점차 그의 삶을 지배하며, 단순한 인내를 넘어 그의 존재 이유이자 유일한 목표로 자리 잡는다. 그는 멈춰 있는 듯한 요새의 시간 속에 갇혀 흘러가는 세월을 실감하지 못한 채, 자신의 젊음과 꿈이 서서히 사라져가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그는 고립된 요새에서 오지 않는 적을 기다리다 늙고 병들어 요새에서 쫓겨나고, 결국 어두운 여관방에 홀로 남게 된다.
이런 드로고를 마지막으로 기다리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소설의 마지막에서 그는 자신이 그토록 기다려왔던 것이 실상 얼마나 초라하고 덧없는 환상에 지나지 않았는지 깨닫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니라고 믿으며, '어쩌면 일생일대의 기회, 그의 전 생애를 가치 있게 만들어줄 결정적인 전투'(p.278)가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에 마지막 기대를 건다. 그것은 그가 평생을 기다려왔던 싸움보다도 훨씬 더 '혹독한 전투'(p.279)인 바로 죽음이라는 절대적인 적이었다. 30년에 걸친 그의 모든 기다림과 갈망은 결국 이 '혹독한 전투'를 향해 모아지며, 그는 이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할 마지막 기회를 마주하게 된다.
인간 실존의 문제를 이렇게 아름답게 그려낸 작품은 처음이었다. 삭막하고 황량한 분위기 속에서도 작가의 아름다운 문체는 빛을 잃지 않고, 그 섬세하고도 아름다운 문장에 매료되어 읽는 내내 책을 품에 안고 싶을 만큼 강렬한 감동을 느꼈다. 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 너무 좋아서 두 번을 읽었는데, 세 번을 읽어도 좋을 작품이다.
특히 기다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며, 그 속에 ‘시간’이라는 요소를 비중 있게 다룬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소설이 진행될수록 시간의 흐름이 점점 가속화되면서, 독자인 나 역시 마음이 불안하고 초조해지는 경험을 했다. 이를 통해 시간이라는 존재가 인간에게 얼마나 강력하게 작용하는지, 시간은 단순히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의 방향을 결정짓고 의미를 부여하는 거대한 힘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마지막 30장에서 드로고의 죽음을 보며, 그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죽음이라는 인간 존재의 궁극적인 문제를 떠올렸다. 과연 나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이 피할 수 없는 ‘적’을 맞이해야 할까...앞으로 이 물음은 내 마음 깊은 곳에 자리 잡아, 끊임없이 나를 돌아보게 하고 삶의 본질과 죽음의 의미에 대해 고민하게 할 거 같다. 정말 여운이 오래 남는 멋진 작품이다.
1976년 발레리오 주를리니(Valerio Zurlini 1926~1982) 감독의 영화로 만들어졌으며, 엔니오 모리코네(Ennio Morricone 1928~2020)가 음악을 맡아 더욱 유명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