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칠레의 밤
로베르토 볼라뇨 지음, 우석균 옮김, 알베르토 모랄레스 아후벨 그림 / 열린책들 / 2010년 2월
평점 :
<칠레의 밤>은 '가르시아 마르케스 이후 라틴 아메리카에 등장한 최고의 작가'라는 찬사를 받고 있는 로베르토 볼라뇨(Roberto Bolano 1953~2003)가 2000년에 발표한 작품이다.
"나는 지금 죽어 가고 있건만 아직도 하고픈 말이 너무도 많다. 나 자신과는 평화롭게 지냈는데. 그저 묵묵히 평화를 누렸건만. 그런데 느닷없이 이 일 저 일 떠올랐다." 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칠레의 밤>은 세바스티안 우루티아 라크루아라는 신부이자 문학 평론가가 죽음을 앞에 두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일종의 회고록이다.
소설은 1970년 선거에 의해 세계 최초로 사회주의 정부를 수립한 아옌데 정부, 정부의 개혁 정치에 대항해 일어난 군부 쿠데타 그리고 17년간 이어진 피토체트의 독재를 배경으로 한다. '이바카체'라는 필명으로 문단에서 활동한 한 사제의 고백(혹은 자기 변명)을 통해 칠레 문학과 지식인들의 위선을 고발하는데 그 내용이 참으로 씁쓸하다.
일례로 1973년 쿠데타가 성공하고 이바카체에게 수상한 두 남자가 접근, 피토체트와 몇몇 장군들에게 마르크스주의 강의를 해달라는 부탁을 받는다.(이것은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고 함)
10주에 걸친 강의를 끝내고 이바카체는 이 사실을 동료들이 알면 어떻게 생각할지, 이 일이 자신의 문인으로서의 경력에 해가 되진 않을지를 걱정하며 '침대에 대자로 누워'(p.116) 우는데, 나는 이 장면이 참으로 기가 막혔다. 처음에는 독재자 피노체트를 도왔다는 어떤 양심적인 가책으로 괴로워 하는 줄 알았는데, 다시 읽으니 자신의 알량한 문학 경력에 누가 될까 두려워 흘린 눈물이었던 것. 그것도 대자로 누워서. 참으로 추하고 역겹지 않은가!
더 이상 중압감을 견딜 수 없었던 이바카체는 이 사실을 자신을 키워준 문단의 권력자 페어웰에게 말하는데 웬걸, 페어웰은 '권력의 영역에 예기치 않게 진입한'(p.117) 그에게 오히려 질투심을 느끼는 게 아닌가!
이후 모든 문인들이 이 사실을 알게 되지만 그 누구도 이바카체를 비난하지 않는다.
["아무도 내게 뭐라고 하지 않았다. 그 철권통치와 침묵의 시절 오히려 많은 사람이 서평과 평론을 끈질기게 계속 발표하는 나를 예찬했다. 많은 사람이 내 시를 칭송했고! 여러 사람이 내게 접근해 부탁을 했어! 나는 추천, 칠레식 호의, 소소한 경력 포장 등을 남발했고, 덕을 본 사람들은 내게 영원한 구원을 얻은 듯 감사했어!"(p.125)]
이 외에도 참으로 기가 막힌 일화가 또 있는데, 길지 않은 소설이니 직접 읽어보시기를 바란다.
<칠레의 밤>은 문학의 역할을 그 누구보다 진지하게 고민했던 작가의 비판 의식이 담긴 작품이다. 정치와 문단의 권력에 기생해 타락한 지식인들을 보여주면서 '문학은 어디에 있는 걸까?'(p140)라는 질문을 던진다. 천박한 문인과 지식인들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칠레에서는 이렇게 문학을 하지. 하지만 어디 칠레에서만 그런가. 아르헨티나, 멕시코, 과테말라, 우루과이, 스페인, 프랑스, 독일, 푸르른 영국과 즐거운 이탈리아에서도 그런걸. 문학은 이렇게 하는 거라고. 아니 우리가, 시궁창에 처박히기 싫어서, 문학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렇게들 한다고." (p.153)]
이 소설은 총 두 문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마지막 한 문장에서 문단이 바뀐다.
"그 후 지랄 같은 폭풍이 휘몰아치기 시작한다."
'늘 역사와 함께'(p.154)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쏟아낸 고백, 그러나 마지막에 남은 건 '지랄 같은 폭풍'이다.
피노체트의 쿠데타가 성공하고 아옌데 대통령이 자살하자 이바카체가 내뱉은 말은 "참 평화롭군."(p.100)이었다. 그와는 참으로 대조되는 그의 마지막 모습, 마침내 자신의 위선과 비겁한 침묵에 더 이상 평온할 수 없다는 의미일까? 나는 그렇게 믿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