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밤
최은영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밝은 밤>은 <쇼코의 미소>와 <내게 무해한 사람> 두 권의 단편집으로 많은 사랑을 받은 최은영 작가가 2021년 발표한 첫 장편소설로 증조모, 할머니, 엄마, 나 4대에 걸친 여자들의 우정과 사랑의 이야기이다. 


서른두 살의 지연은 이혼 후 서울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바닷가 근처 희령이라는 곳으로 직장을 옮겨 이사를 간다. 지연은 이사 간 아파트에서 거의 20년 동안 연락이 끊겨 만나지 못했던 할머니를 우연히 만나고, 할머니를 통해 일제시대의 증조모를 시작으로 할머니와 어머니, 그 주변 인물들의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일제 강점기 위안부로 끌려가지 않기 위해 아픈 어머니를 두고 개성으로 도망쳐야 했던 증조모 '삼천', 남편이 유부남인 줄도 모르고 속아 결혼해 결국엔 딸과 함께 버림 받은 할머니 박영옥, 그런 할머니 밑에서 아비 없는 자식으로 세상의 눈치를 보며 오직 평범한 삶만을 갈망하던 엄마 길미선, 결혼 후 남편의 외도로 자신의 삶을 사랑할 수 없는 화자 지연의 이야기를 통해 여자이기에 겪어야 했던 아픔을 최은영 작가만의 차분하면서도 정성이 담긴 문체로 보여준다.


이 소설에서 가장 감동적이고 인상적인 점은 여성들이 서로를 향해 보여주는 애틋하면서도 다정한 마음이다. 증조모 삼천과 새비 아주머니, 할머니와 새비 아주머니의 딸 희자, 엄마와 명희 아줌마, 지연과 친구 지우, 이들의 서로를 향한 따뜻한 마음은 인생의 고비마다 서로에게 버팀목이 되어 주고, 고달픈 삶을 살아가게 하는 힘이 된다. 

다음은 개성을 떠나 고향으로 떠난 새비 아주머니가 삼천에게 보낸 편지로 그 애틋함과 그리움이 눈물겹다.


["삼천아, 새비에는 지금 진달래가 한창이야. 개성도 그렇니. 너랑 같이 꽃을 뽑아다가 꿀을 먹던 게 생각나. 그걸 따다가 전을 부쳐 먹던 것두, 같이 쑥을 캐다가 떡을 만들어 먹던 것도. 인제 나는 꽃을 봐도 풀을 봐도 네 생각을 하는 사람이 됐어. 별을 봐도 달을 봐도 그걸 올려다보던 삼천이 네 얼굴만 떠올라. 새비야, 참 희한하지 않아? 밤하늘을 보면서 그리 말하던 네가 떠올라. 이것도 희한하구 저것도 희한한 우리 삼천이가 생각나누나."(p.120,121)]


반면 소설에서 남자들은 '새비 아저씨'를 제외하고는 비겁하고 실망스럽다. 속이고 바람을 펴도 죄책감은 커녕 오히려 당당하고 절대 미안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위안부로 끌려갈 뻔 한 증조모를 개성으로 데리고 온 증조부는 자기 덕분에 위기를 모면한 증조모를 평생 '빚쟁이 대하듯'하고, 영옥은 딸이라는 이유로 함부로 대한다. 또한 길남선이 중혼인줄 알면서도 딸 영옥을 결혼시켰고, 본부인이 나타나 길남선이 떠나자 딸에게 남편하나 묶어두지 못한다고 오히려 영옥을 꾸짖는다. 영옥의 남편 길남선도 영옥에게 미안하다는 말 한마디 없이 자신의 행동에도 이유가 있었다며 딸을 호적에는 올려줄테니 키우기나 하라며 오히려 큰소리치며 떠난다. 

사실 저 시대 남자들이 대체로 저렇게 무책임하고 가부장적이었으니 어느 정도 수긍이 가긴 하지만, 여자들은 다 따뜻하고 인간적으로 좋게 그려진 반면 남자들은 새비 아저씨를 빼고 모두 비겁하고 나쁘게 그려진거 같아 조금 작위적인 느낌이 들었다. 


다음은 지연이 지하철에서 자신의 어깨에 머리를 기대고 자는 모르는 여자를 보며 하는 생각이다.

[나어깨빌려여자들떠올렸그녀들에게어깨빌려여자들있었거라생각했. 얼마피곤했으이렇정신, 조금이라편하좋겠다고 생각하는 . 별 것 아한 그 마음때로사람한다생각. 어깨기대사람, 어깨빌려주사람. (p.299,300)]


서로가 서로에게 어깨가 되어주는 세상, 작가 최은영은 이런 세상을 바라며 이 소설을 쓰지 않았나 싶다. 그래서 제목이 서로의 얼굴을 볼 수 없는 캄캄한 밤이 아니라 서로의 얼굴을 보며 따뜻한 눈빛과 마음을 전할 수 있는 '밝은 밤'이라고 지은 것이 아닐까...


오랜만에 한국 소설을 읽으니 정말 마음이 편하고 좋았다. 몇년 전 <쇼코의 미소>를 읽었을 때도 그랬지만 최은영 작가의 책을 읽고 나면 마음이 따뜻해지고 그 마음을 내 주변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진다. 이제는 지하철에서 누군가 졸면서 내 어깨에 머리를 기대도 짜증이 안 날거 같다. '얼마나 피곤했으면 사람들이 다 보는 지하철에서 이렇게 졸까...' 안쓰러운 마음이 들거 같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2-03-02 22: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밝은 밤>드라마로 제작 되면 좋겠다는 생각 했습니다.

coolcat329 2022-03-02 22:26   좋아요 2 | URL
오 저두요~^^

mini74 2022-03-02 22: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소코의 미소 밝은 밤 둘 다 좋아요. 편하고 따뜻한 이야기. 쿨켓님 리뷰도 따뜻합니다 ~

coolcat329 2022-03-02 22:27   좋아요 2 | URL
감사합니다. 따뜻한 미니님~☺

새파랑 2022-03-02 22:4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에 읽으신 한국소설이군요~! 저도 비인간적이고 우울하고 섬뜩한 책을 읽다보면 이런 따뜻한 책이 읽고 싶더라구요. 저도 최은영 작가님 책은 다 읽었는데 따뜻하고 좋았습니다~! <내게 무해한 사람>도 좋아요 ^^

coolcat329 2022-03-03 07:37   좋아요 2 | URL
네~중간중간 마음의 정화가 필요합니다.😅
<내게 무해한 사람>도 기억해 두겠습니다 ~

singri 2022-03-03 01:1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 리뷰만 읽어도 좋네요. ^^

coolcat329 2022-03-03 07:38   좋아요 1 | URL
편지가 마음을 뭉클하게 하죠? 감사합니다 ☺

바람돌이 2022-03-03 01: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책에서 삼천과 새비아주머니의 관계도 좋았지만, 화자의 할머니 박영옥씨가 너무 멋지더라구요. 그 연세에 손녀를 대하는 모습이 너무 멋지달까?

coolcat329 2022-03-03 07:46   좋아요 1 | URL
오 저두요. 영옥할머니 이야기도 쓸걸 그랬어요. 80 다 되신 노인이지만 그 누구보다 씩씩하게,지혜롭게 사시는 모습이 저도 인상적이었어요. 손녀를 대하는 모습도 넘 멋지구요.

물감 2022-03-03 13: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 이 책도 자주 보이네요, 유명한가봐요. 나중에 읽어보겠습니다ㅎㅎ

coolcat329 2022-03-03 17:42   좋아요 1 | URL
네~저도 이 책이 자주 눈에 띄더라구요. 물감님 리뷰 기다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