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린
오테사 모시페그 지음, 민은영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테사 모시페그라는 처음 듣는 작가의 작품이다. 1981년 보스턴 출신인 그녀는 첫 장편소설인 <아일린>으로 2016년 펜/헤밍웨이 상을 받았고, 같은 해 맨부커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1964년 매서운 추위의 12월 말 보스톤 외곽의 작은 도시, 민간 청소년 교정시설에서 비서로 일하는 24세의 아일린이라는 여자가 사라지기 전 일주일간의 이야기를 50년이 흐른 74세의 아일린이 회고하며 들려주는 이야기이다.

 

아버지는 알콜중독자, 아무것도 한게 없는 엄마는 아일린이 19살에 죽고 언니는 집을 나가 남자와 동거 중이다. 성장과정에서 예쁘게 생긴 언니와 늘 차별을 당하며 부모로부터 정서적 학대를 당하고 자기도 모르게 심하게 뒤틀린 여자로 자란 아일린. 자기혐오로 똘똘뭉쳐 있어 낮은 자존감으로 남에게 "싫다"고 말도 못하는 반면, 내면은 늘 분노로 들끓고 있어 마치 '살인자' 같다고 한다. 섭식장애가 있어 정상적인 식사는 커녕 만성변비에 시달리고, 씻지 않아서 더러운 반면 비정상적으로 외모에 집착한다. 모든 것을 혐오하고 망상,피해의식에 사로잡혀 가끔은 물건을 훔치는 등 사소한 비행도 서슴치 않는다. 특히 자신의 성적충동을 억압하면서도 소년원 경비원 랜디를 짝사랑하여 그가 자신을 주차장에서 덮치는 상상을 즐기며 그의 은밀한 부위를 관찰하고 집 근처에서 스토킹도 하는 등 음흉스럽기도 하다.

 

나는 이런 막강한 캐릭터를 어느 곳에서도 만나 본 기억이 없다. 소설 속 잊히지 않는 여성 캐릭터 몇 개를 꼽으라면 헨리 제임스 <워싱턴 스퀘어>의 고구마 100개 먹은 듯 답답한 캐서린(생각만해도 짜증이), <나를 찾아줘>의 희대의 악녀 에이미, <속죄>의 용서할 수 없는 브리오니 정도랄까...그런데 이들은 그저 경멸하고 욕하면 어느정도 해결이 되는데 아일린! 이 여자는 추하고 역겨우며 더럽고 찌질한데 무턱대고 비난할 수 없는 처연함이 느껴진다. 어린 시절 부모에게 사랑을 못받고 학대를 당했다고 해서 다 아일린처럼 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드물겠지만 그 중엔 강하고 바르게 성장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상처를 받아 일그러졌다해도 아일린처럼 극단적으로 뒤틀리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분명 이런 사람도 있을 수 있다는 진실 앞에서 그녀를 비난할 수 없고 무엇보다 이런 그녀에게서 나를 발견했을 때 모든 것이 엉망인 삶도 공감과 연민을 자아낼 수 있음을 느꼈다. 

 

우리라고 항상 "노"라고 주변을 눈치보지 않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가? 물건을 훔침으로써, 남에게 나만 아는 소심한 복수를 함으로써 내안의 피해의식을 보상 받으려고 생각한 적 없는가? 나 혼자 있을 때 나 또한 얼마나 더럽고 냄새가 났던가...그 냄새를 숨기고 깨끗한 척 하지 않았던가? 끌리는 사람과의 성적인 환상 누구나 생각한다. 음흉스럽게 은밀한 곳을 보기도 한다. 나의 육체에 당당하고 정말로 건강한 성의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다만 그렇지 않은 척 적당히 감추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이런 차마 말할 수 없는, 발설하고 싶지 않은 인간의 내면을 냉소적으로 드러내며 그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극단적으로 망가진 한 여자를 통해 어떤 보편적인 진리를 보여준다.

누구나 어느 정도는 아일린처럼 병들고 상처받으며 아프다. 아일린에게서 이런 나를 본 순간 이 책을 좀 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게 되었다.

 

이야기로 돌아가서, 자신의 암울한 현실로부터 늘 탈출하고 싶어하지만 실천으로 옮기지 못했던 아일린은 소년원 교육국장으로 새로 부임해 온 리베카라는 여자를 만나면서 삶의 전환을 맞게 된다. 자신을 없는 사람 취급했던 다른 사람들과는 달리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접근하는 리베카에게 자존감이 거의 없는 아일린은 우정을 넘어서는 사랑의 감정까지 느끼게 되고 여기서부터 이야기에 가속이 붙으며 흥미진진하게 된다. 과연 아일린은 리베카를 통해 구원을 받게 될까...? 이야기가 그렇게 호락호락하게 전개될거 같지 않은 묘한 기대와 함께...

 

결론을 말하자면 이미 앞에서 아일린 자신이 "이것은 내가 어떻게 사라졌는지에 관한 이야기다"라고 밝히기 때문에 결국엔 탈출에 성공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탈출로 모진 풍파를 겪기도 하지만 현재의 74세 노인인 아일린은 젊은 시절과는 달리 안정적이고 감정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된다.

 

부모로부터 사랑받지 못하고 차별과 학대를 받고 더 나아가 세상으로부터 그 존재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한 사람이 뼈아픈 '삶의 진통'을 겪고 있는 진정한 자신을 만나고 그로인해 현실로부터 과감하게 벗어난다는 진부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아일린이라는 굉장히 독특한 캐릭터의 내면을 같이 좇아가는 과정에서 나 자신을 발견하면서 같이 성장해 가는 작품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내 인생을 바꿀 수 있는 건 그 어떤 이도 아닌 나 자신임을 깨닫는 그 순간과 만나기 위해 아일린이 겪은 일주일 간의 이야기.

처음에 느꼈던 혐오감과 역겨움이 어느새 애처로움과 공감, 응원으로 이어지는 독서의 경험과 여운을 남기는 작품이었다. 

 

오테사 모시페그의 2018년 발표되 올해의 책으로 호평을 받은 두번 째 장편 <내 휴식과 이완의 해> 또한 번역되면 읽어 보고 싶다.

 

다음은 이 책의 첫 문장.

나는 당신이 시내버스 안에서 한 명쯤 볼 법한 아가씨처럼 생겼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9-05-07 13: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서관에 희망도서로 신청해두고서는
아예 찾으러도 가지 않았네요.

이러다 짤리는 거나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멋진 리뷰 잘 읽고 갑니다.

coolcat329 2019-05-07 18:30   좋아요 0 | URL
저도 가끔 그러네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