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학 씨는 최근 이 쪽(?)에서는 꽤 알려져 있으며,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역자입니다. 번역도 그리 나쁘지 않고요. 나쁘지 않다는 기준은 매끄러운 우리말입니다. 중딩 영어 수준인지라 오역인지 아닌지 판단할 눈도 없고 능력도 없습니다. 다만 그가 번역한 작품이 대체적으로 무난했기에 괜찮은 역자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전 조영학 씨가 역자로 이름을 올라오면 일단 거부감을 느낍니다. 조영학 씨가 번역한 작품에서 반복되는 사소한 몇 가지가 매우 거슬리기 때문입니다. 불필요한 곳에서 ‘오버’한다는 선입견 때문이죠.
일단 필요이상의 비속어를 남발하는 것이 눈에 거슬려요. 기본적으로 욕은 욕으로 번역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종종 과도하게 생동감을 부여하려는 듯 우리말 욕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임스나 데이비드같은 이름을 가진 미국인이 우리말 욕을 하는 것 같아 시쳇말로 깹니다. 원작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하는 것도 좋지만 선이라는 것이 있거든요.
조영학 씨의 경우 간혹 캐릭터 특유의 말투를 살리기 위해 생경하고 말투를 쓰기도 합니다. 가령 <가라, 아이야, 가라>에서 풀레라는 형사는 늘상 “XX양아, ~~한다.” 식으로 말합니다. 마치 60년대 한국영화에서나 들을 수 있을 법한 말투죠.
“김양아,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뭐 이런 말투요.
도대체 어떤 영어를 구사하길래 이 형사는 다찌마와 리처럼 말하는 거죠? 시종일관 이런 말투를 고수하는 통에 정말 민망했습니다. “제나로 양아~”, “헨렌 양아~”
얼마나 민망했냐면, 중반 이후 큰 부상으로 사건 전개에서 아웃되었을 때 쾌재를 불렀습니다. 이제 민망한 말투를 읽지 않아도 돼!!!
또 다른 불만은 작품해설입니다. 불확실한 정보를 불변의 사실인양 소개하는 용기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침소봉대하는 무모함을 몇 차례 보았습니다. 사용하고 있는 용어에 대한 이해조차 의심스러운 대목도 간혹 있었고, 언급하는 인물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걸까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었습니다. 문외한인 제가 봐도 특정 장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보였거든요.
장르문학을 번역하는 번역자가 모두 전문가일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전문가인 양하는 것은 거부합니다.
물론 이런 실수는 대부분 초기 번역 작품에서 주로 발견한 것입니다. 솔직히 요즘은 조영학 씨가 쓴 작품해설은 읽지 않습니다만 이런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으리라 믿습니다.
돌이켜보니 조영학 씨가 번역한 작품 중 상당히 많은 작품을 읽었고, 현재도 읽고 있으며, 앞으로 읽을 것 같군요. 그러기에 투덜거려봤습니다. 게다가 이런 불만조차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일 뿐이죠.
아래 작품들은 조영학 씨가 번역한 작품들이자 앞으로 읽으려고 마음 먹은 작품들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