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레슬러 - The Wrestl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더 레슬러>는 <록키 발보아>(록키6편)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두 작품 모두 늙는다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권투와 레슬링은 육체적 노화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좋은 소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한 때 섹스 심벌이었던 미키 루크가 주인공 ‘랜디 더 램’을 맡은 것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완전히 망가진 미키 루크의 사생활과 주인공 랜디 더 램의 현재가 절묘하게 중첩되어 놀라운 흡입력을 발휘하고 있으니까요.

솔직히 말하면, <더 레슬러>는 늙는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 아닙니다. 한심하고 대책 없는 늙은 수컷에 대한 신랄한 까발림입니다. 그래서 순진한 남성 환타지에 충실한 <록키 발보아>와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더 레슬러>의 주인공 랜디 더 램은 한때 잘나가던 프로레슬러였습니다. 하지만 세월은 그를 속절없이 퇴물로 만들어 버리죠. 영화는 전성기를 훌쩍 지난 노쇠한 레슬러 랜디의 초라한 뒷모습에서 시작합니다.
늙은 랜디의 삶은 그야말로 엉망진창입니다. 초라한 링에 올라 몸을 던져 시합을 하지만 그의 손에 쥐어진 게임머니는 푼돈에 불과합니다. 현재 그의 거처는 낡은 트레일러인데, 그마저 밀린 방세 때문에 쫓겨날 판입니다. 설상가상으로 심장마저 좋지 않아 더 이상 링에 서지 못하게 되자 램은 사랑하는 딸을 찾아갑니다. 하지만 딸은 아버지를 매몰차게 외면하죠. 이 모든 것은 그가 자초한 일입니다. 그러기에 누굴 탓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기에 더욱 슬픕니다.

랜디의 막장 인생은 그가 최고였다는 사실 때문에 더욱 처절합니다. 퇴물 레슬러의 삶을 영화는 마치 다큐멘터리처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죠. 프로레슬러로서 뿐만 아니라, 일상의 삶도 그에게는 혹독하기만 합니다. 결국 늙고 병든 수컷은 자신을 외면하는 세상을 뒤로 하고 다시 링에 오르기로 결심합니다. 링은 그를 기다려주고 알아주는 유일한 곳이죠.

극한 삶에 내몰린 주인공 랜디 더 램을 동정할지언정 옹호할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 그는 자기가 선택한 것에 대한 대가를 치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는 다른 사람은 전혀 배려하지 않는 철저히 자기중심적인 태도로 일관합니다. 다행히 링의 세계는 일종의 ‘쇼’이기에, 그가 한때 잘나가던 랜디 더 램이기에 그런 태도가 먹힙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더구나 퇴물이 된 지금은 두 말할 것도 없겠죠.

(동정할 가치 없는) 랜디의 삶은 마리사 토메이가 열연한 스트리퍼 캐시디로 인해 더욱 분명해집니다. 캐시디와 랜디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죠. 두 사람은 ‘몸’으로 먹고 삽니다. 캐시디가 사람들의 시선을 받으며 무대 위에서 ‘쇼’를 한다는 점도 같죠. 게다가 이들의 상품적 가치는 이제 종착역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랜디의 처진 근육과 캐시디의 탄력 잃은 관능은 똑같이 서글퍼 보입니다. 
이들을 이어주는 또 다른 공통점은 부모라는 것입니다. 랜디는 딸을, 캐시디는 아들이 있죠. 그런데 여기서 랜디와 캐시디 사이에 차이가 있습니다. 랜디는 찰나적 쾌락을 거부하지 못해 딸과의 중요한 약속도 저버린 대책 없는 아버지입니다. 그는 늘 이런 식입니다. 감정적이고 찰나적이죠. 반면 캐시디는 아들을 위해 자신의 감정과 생활을 절제할 줄 아는 헌신적인 어머니죠.

두 사람의 차이는 이름에 관한 태도에서도 여실히 드러납니다. 랜디는 실생활에서도 ‘랜디 더 램’이라는 링네임을 고집합니다. 이미 레슬러로서 은퇴한 마당에도 로빈 라몬스키라는 실제 이름을 거부하죠. 반면 캐시디는 ‘팸’으로 불리기를 원합니다. 아들을 돌보기 위해 스트리퍼 캐시디가 될 뿐이지, 그녀는 팸이라는 이름의 어머니임을 한시도 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고 보니 그들은 전혀 다른 동네에서 살고 있네요. 랜디는 링에서 ‘근육’을 과시하기 위해 마트에서 알바를 하지만, 캐시디는 좋은 엄마가 되기 위해 ‘관능’을 팝니다. 그러니까 랜디는 링에 오르기 위해 마지못해 현실을 받아드리지만, 캐시디는 현실을 위해 무대에서 춤을 춥니다. 이건 비단 랜디와 캐시디의 차이가 아니라 아버지와 어머니의 차이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어머니로서 이타적 삶을 사는 캐시디의 모습은 수컷 랜디의 어리석음을 더욱 뼈저리게 보여줍니다.

작품 곳곳에는 감독 대런 아르노프스키의 악취미가 심심치 않게 드러납니다. 여과 없이 보여주는 잔혹한 레슬링 경기는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이후 가장 끔찍한 고어 장면이었습니다. 여기에 몸을 사리지 않는 미키 루크의 연기는 차라리 고문에 가까울 만큼 리얼했습니다. 정말이지 두 번 다시 보고 싶은 않은 장면이자 연기였습니다.

하긴 두 번 다시 보고 싶지 않기는 작품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랜디처럼 사는 불쌍한 수컷들에 대한 까발림은 이 영화 한 편으로 족합니다. 보는 내내 복잡한 감정이 뒤엉켜 불편했습니다. ‘한심한 놈, 넌 죽어도 싸!’, ‘가여운 인생’이라는 감정이 교차했으니까요. 거기에 끔찍함까지!! 이게 바로 영악한 감독의 노림수였겠지요.
한 가지 덧붙이면, 영화 후반부에 등장하는 건스 앤 로지스의 ‘Sweet Child O'Mine’이 이렇게 가슴 아프게 들릴 줄은 몰랐습니다. 이 역시 ‘변태’ 감독의 노림수겠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09-03-12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키 루크가 오스카를 못 받은 것이 좀 의외더군요.돌아온 탕아한테 미국 아카데미가 충분히 줄만 했었는데요.

lazydevil 2009-03-13 11:59   좋아요 0 | URL
ㅎㅎ그러게요. 카스피님 말처럼 미키 루크가 돌아온 탕아이긴 한데... 그간 필모가 위원님들의 입맛에 맞는 작품들은 아니었죠. 아카데미는 늘 이전 업적까지 둘러보는 경향이 있는거 같아요~~^^

쥬베이 2009-03-14 1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제 영화서평까지!! 역시 데블님ㅋㅋ
제가 볼때는 듀나님보다 더 잘쓰세요!!

lazydevil 2009-03-15 19:45   좋아요 0 | URL
푸하~~ 쥬베이님 오랜만에 오셔서 비행기까지용??ㅋㅋ 암튼 다시 뵈서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