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 - 피곤한 세상에서 벗어나 잠시 쉬어갈 용기
정희재 지음 / 갤리온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번아웃 증후군'이라는 말을 알게 되었습니다.

쉼없이 달려온 사람이 어느 순간 무기력에 빠지게 되는, 마치 퓨즈가 끊어져버린 듯한 느낌.

저 역시도 경험을 하였었습니다.

갑자기 밀려드는 무기력함.

누구에게 도움을 처할 수는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다른 이들이 보고있는 낮동안은 활기차지만 모두가 잠든 밤이 되면 어김없이 밀려드는 우울함과 무기력함을 공유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더 '책'이라는 매체에 매달렸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

어느 누구도 이런 말은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더 열심히 살아가도 남들에게 뒤쳐질 요즘같은 세상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왜인지 책 제목만으로도 제 마음을 알아준 것만 같아 위로를 얻게 되었습니다.

알고보니 이 책의 저자인 '정희재'씨는 전작 『어쩌면 내가 가장 듣고 싶었던 말』로 이미 독자들의 마음을 한 번 위로해 주었다고 합니다.

이제라도 알게 된 저자, 정희재.

이번 책을 계기로 전작도 읽어봐야겠습니다.


책을 펼치자마자 저자의 소개에 인상적인 문장이 있었습니다.

"어쩌면 나는 이 책을

가장 먼저 썼어야 했는지도 모른다.

돌이켜보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같은

나날을 보낸 덕분에 지금의 내가 있다.

살아보니 그렇다.

'그것'이 아니면 인생이 끝장날 것처럼

우리를 몰아세우는 것들을 놓친다고 해도

대세에는 큰 지장이 없다.

우리는 여전히 우리 자신이다."

순간 울컥하였습니다.

저 역시도 비슷한 경험을 했었기 때문이었기에, 이제와 생각해보니 별일 아니었는데 그때는 왜 그리도 조급해하고 자신을 책망했던지......

결국 자신의 불행을 초래한 것은 '나 자신'이었음을......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자꾸만 울컥하였습니다.

제 마음을 알아차려주어서인지......

왜 그동안 나는 내 마음 하나 알지 못했던것인지......

그래서 한 구절 한 구절이 자꾸만 가슴에 새겨져 마음의 상처를 메워주었습니다.


특히나 인상깊었던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행복의 기준은 최대한 낮춰 잡고,

나쁜 일의 기준은 최대한 높여 잡을 것.

행복의 그물코는 작은 기쁨이라도 놓치지 않도록

최대한 촘촘하게 만들고,

불행의 그물코는 웬만한 것쯤은 다 빠져나가도록

크고 넓게 만들 것." - page 84


누구나 자신만의 사이클이 있기 마련입니다.

또한 자신만의 개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저 남들의 시선으로, 그저 남들이 그렇게 하니까 일괄적으로 행하다가 정작 중요한 자신을 놓쳐버리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책 속에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무엇이든 진정 하고 싶어질 때까지>


만약 내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싶다면

정말 아무것도 하지 않을 테다.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지워 가다 보면

해야 할 가치가 있는 것들이 드러나겠지.

피로에 젖도록 몰아세우며

얼마나 오래 '되어야 할 나'를 쫓아왔던가.


게으르거나 방종하지 않으면서

집착하지 않되 무심하지 않으면서

나답게 사는 길이 있을 테니

모든 해야 할 일들, 책임감, 의젓함을 잠깐 내려놓고

그냥 아무것도 하지 않고 고요히 있고 싶다.


그래도 괜찮다.

너무 잘하지 않아도 괜찮다.

별일 일어나지 않는다.

공기처럼 가볍게, 햇살처럼 맑고 빛나게,

재밌고 신나게 오늘을 산다면

그게 바로 위대한 성공인 것을. - page 229 ~ 230

책은 우리에게 이렇게 이야기 해 주었습니다.

"괜찮다"

지쳐있는 이들에게, 마음의 위로를 받고자하는 이에게, 내 주변의 사랑하는 이들에게 살며시 이 책과 함께 외쳐봅니다.

"괜찮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