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트라이터즈
김호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김호연'을 알게 된 것은 『망원동 브라더스』였습니다.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라는 그 작품에서 작가의 필체에 빠져들어 인연의 끈을 이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런 그가 다시금 우리 앞에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고스트라이터즈』.

최근에 일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을 보았었는데 마치 필연처럼 다가온 이 책.

또다시 작가가 만든 세상 속으로 빠져들었습니다.


책을 펼치기 전에 표지에 이런 문구가 있습니다.

"당신은 내가 쓴 대로 살게 된다!"

조금은 무서운 이 말.

이 말이 이 책의 내용을 알려주는 'key'라는 것을 새기며 책을 읽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번 소설 속에서도 주인공 '김시영'은 뛰어난 인물이 아닌 장편소설로 등단한 지 4년째이지만 아직까지 첫 소설 이후엔 작품을 내지 못하고 웹소설계의 대부 밑에서 대필 작가로 연명하고 있었습니다.

그런 그에게 조금은 황당한 제안을 받게 됩니다.

바로 배우 '차유나'를 주인공으로 그녀의 미래를 설계해서 글을 쓰라는 제안이었습니다.

한치 앞의 일도 예상하기 어려운게 현실인데 미래를 예상하라는 것.

말이 안 되는 것 같지만 알고보니 차유나의 삶은 고스트라이터들로 인해 진행되었음을 알게 됩니다.

점점 일이 진행됨에 따라 그의 고스트라이팅 능력을 눈치 챈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강태한'에게 납치를 당하고 그로부터 차유나의 고스트라이터로 활동하다 종적을 감춘 사람들을 만나면서 소설가로서의 삶을 찾아가기 위한 싸움이 시작됩니다.


책 속엔 역시나 작가의 인상적인 문구들이 많았습니다.

천국과 지옥 사이에 연옥이 있듯이, 유명작가와 무명작가 사이에 '유령작가'가 있다.

흔히 '고스트라이터'라 불리는 유령작가는 남의 작품 대신 써주기, 대리 번역, 자서전 집필 등 자신의 이름으로 할 수 없는 글쓰기에 주력한다. 대가는 물론 원고료다 장당 이천 원부터 이만 원까지 천차만별이지만 그 이상은 어렵고, 수차례 유명인의 대리 집필 사태로 인해 익명성이 더욱 강조되는 요즘, 추후 이 작품의 필자임을 밝히지 않는다는 비밀유지 조항에도 동의해야 한다. '그거 사실 내가 쓴 거야'라고 말해선 안 된다는 말이다.

푼돈에 창작력과 주체성을 파는 작업. 그래서 무명도 아니고 유령인 것이다. 창공을 떠도는 구름처럼, 강물을 부유하는 썩은 나뭇가지처럼, 그렇게 어디 하나 자리하지 못한 채 글을 쓰는 것. 그들에겐 뿌리가 없으므로 작품이란 나무는 자라지 않는다.

지금 나는 고스트라이터다. - page 20


파란만장이라고 하는 게 맞을 듯하다. 아리와 헤어졌고, 아카로스와 싸웠고, 차유나를 만나 그녀 인생의 고스트라이터가 되었고, 오진수와 성미은이란 이상한 사람들과 엮였고, 이제 거의 끝판왕 급의 괴물에게 잡혀 '글감옥'에 갇혀 있다.

이제 나는 무엇을 써야 하는 것일까? 나는 과연 이곳에서 탈옥할 수 있는 것일까? 인터넷도 전화도 되지 않는다. 오직 텅 빈 모니터와 독대해야 하는 시공간이 내게 주어졌다. 마치 그동안 모니터를 외면하고 술독에 빠져 지낸 날들에 대해 내리는 형벌처럼 느껴졌다.

(중략)

글감옥. 어쨌거나 책상 앞에 앉아 무언가 써내지 않으면 출소일을 맞이할 수 없다. 이곳에 나를 가둔 녀석은 작가라는 생물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나는 뽕잎을 먹고 비단을 짜내야 하는 잠사에 갇힌 누에다. - page 155


나는 내 책을 똑바로 바라봤다. 저것은 내가 다시 이야기를 쓸 수 있다는 증거다. 저것은 내가 한 시절을 앓아가며 쓴 병상의 기록이다. 저것은 내가 여자 연예인과 엮이고 악당에게 잡히고 총구 앞에 놓여가며 살아남아 챙겨온 전리품이다. 저것은 내가 더 이상 남의 글을 써주는 고스트라이터가 아닌 저스트 라이터라는 선언이다.

다시 무명작가가 되었다. 그래도 괜찮았다. 세상은 이름 없는 것투성이고 나는 그것들에 대해 쓰면 그만이었다. 나는 이야기를 씀으로 그들도 모르는 그들에 대해 알려줄 것이고, 사람들은 이야기를 읽고 저마다 이름을 붙일 것이다. - page 327 ~ 328


그는 이제 행복해지기 위해서 쓴다. 자신이 읽고 싶은 이야기를 창조하고, 그 이야기를 읽는 다른 사람들의 삶도 풍요로워지길 바라며 쓴다. 그와 독자들은 이야기를 나눔으로 풍요로워지고, 살아 있다고 느끼고, 행복해진다.

그럼에도 글쓰기는 힘이 들었다. 지칠 때마다 그는 책상 옆 벽에 붙여놓은 포스트잇을 바라보았다. 거기에는 아이작 디네슨의 짧은 글이 적혀 있었다.

'희망도 절망도 없이 매일 조금씩 글을 쓴다.'

그래. 희망하지 말 것, 절망하지 말 것, 매일 조금씩 뭐라도 할 것. 그렇게 그는 곡식을 씹듯 글귀를 곱씹고, 다시 글을 썼다.

조금씩, 매일. - page 334

 

책을 통해 '유령작가' 일명 '고스트라이터'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었습니다.

글쓰는 것이 좋아서 시작한 것이 자신의 뿌리는 없이 떠돌아다녀야하는 그들.

그들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에 대가들이 더 빛을 밝혔다고 생각됩니다.

그들의 땀과 눈물을 이제라도 들여다보아야 함을 다시금 느꼈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유령이 아닌 작가로써의 인정받아야함을, 그들의 이야기에 관심과 애정을 가져야함을 깨달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