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밥격 ㅣ 시작시인선 192
윤중목 지음 / 천년의시작 / 2015년 11월
평점 :
요즘 시에 대해 다시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비밀독서단>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소개되었던 시집들은 베스트셀러에 존재하고 특히나 시집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 역시도 시집에 대해 눈길이 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의 제목.
『밥격』
뭔가 친숙함이 느껴지기에 읽어보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시집의 작가는 '윤중목'씨로 영화평론가로서도 활동을 하신다고 합니다.
그는 현재 영화공동체 대표, 문화그룹 목선재 대표로 있으며 이번 시집은 등단 26년만의 첫 시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의 시를 읽으면서 나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선 책의 앞 장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습니다.
마흔을 넘어서며 많은 것을 잃었다.
원망했고 분노했고, 끝내 두 무릎이 꺾였다.
그 후로도 세월은 오래토록 내 살을 발라 먹었다.
하지만 나는 다시 또 일어섰고,
이번에는 세월아,
내가 네 살을 발라 먹을 차례 아니냐.
그의 글을 통해서 왠지 우리들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 한편으로는 짠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또한 이 시인의 말이 곧 제목과도 연관이 있음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의 글이 더욱 기대되었습니다.
그의 글 하나하나는 우리네 일상의 모습이지만 한편으로 쓸쓸함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시집의 제목과도 같은 시 <밥격>.
밥값에 매겨진 0의 갯수로
제발 나의 인간자격을 논하지 마라.
그것은 식탁 위에 또아리를 틀고 앉아
입과 혀를 교란시키는 한낱 숫자일 뿐.
밥격과 인격은 절대 친인척도
사돈에 팔촌도, 이웃사촌도 아니다.
그리고 <밥>이라는 시에서도 느낄 수 있는 밥격.
밥은 사랑이다.
한술 더 뜨라고, 한술만 더 뜨라고
옆에서 귀찮도록 구숭거리는 여인네의 채근은
세상 가장 찰지고 기름진 사랑이다.
그래서 밥이 사랑처럼 여인처럼 따스운 이유다.
그 여인 떠난 후 주르르륵 눈물밥을 삼키는 이유다.
밥은 사랑이다.
다소곳 지켜 앉아 밥숟갈에 촉촉한 눈길 얹어주는 여인의 밥은 이 세상 최고의 사랑이다.
이 시집에선 가족의 의미도 되새길 수 있었습니다.
할아버지의 생애가 손자로 이어지는 <리어카>라는 시와 아버지의 모습이 엿보이는 <으악새>.
우리 현재의 모습을 엿보게 되면서 안타까움과 쓸쓸함이 공존하여 마음 한 편이 허망하였습니다.
또한 가족에 대한 이야기가 전개되었을 땐 공감과 더불어 가족의 사랑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시'라는 장르는 우리에게 좀 특별한 것 같습니다.
소설처럼 많은 글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마음의 울림은 오히려 더 깊이 울리기에 시라는 장르에 우리들이 빠지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고교과정까지는 시험에 출제되는 시의 함축적 의미를 찾기에 급급하여 시의 매력을 모르고 지나쳤는데 다시금 시를 접하게 되니 왜 그동안 등한시 하였는지 제 자신에 대해 반성하는 계기까지 만들어졌습니다.
깊어가는 밤.
이 시집과 함께 밤의 깊음을 느끼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