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삼국지 - 상
저우다황 지음, 김석희 옮김 / 작가정신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지』라 함은 그 명성이 자자하기에 시중에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그 속에 담겨있는 의미들은 세월이 많이 흐른 지금에서도 적용가능할 만큼 고전 중의 고전입니다.

그런 삼국지를 대적하겠다는 이 책!

『반삼국지』 

제가 알고 있는 삼국지와는 또 다른 재미를 어떻게 선사할지 기대를 하며 책을 읽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책은 저자가 일전에 북경에 놀러 갔다가 고물상의 폐지 묶음 속에서 '삼국구지'라는 책을 발견하고 나서였습니다.

그 책 역시 삼국시대의 전쟁에 관한 기록인데, 제갈공명과 서서에 관한 기록이 우리가 알고 있는 삼국지인 『삼국지연의』와는 전혀 달랐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그는 이렇게 이야기 하였습니다.

세상에 '정사'로 전해져 내려오는 것들은 모두 위작, 즉 가짜다.

'정사'와 '야사' 사이를 넘나들게 된 삼국지.

그에 대한 판단은 독자들의 몫인 것 같습니다.


주인공들은 삼국지에서 보았던 이들이 그대로 나타났었습니다.

기존의 유비, 관우, 장비, 마초가 빨리 죽게 되어서 아쉬움이 있었다면 이번에는 그들이 좀 더 오래 살고, 제갈공명이 오장원 출전을 앞두고 죽지 않는다는 점이 이야기를 이끌어가는데 좀더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그리고 유비가 통일시킨다는 점에서는 삼국지와는 전혀 다른 삼국지로 해석되었습니다.


책에서 지금의 우리들에게도 생각하게끔 하는 대사가 있었습니다.

"무도한 군주인 하나라 걸왕이 기른 개는 설령 상대가 성군인 요 임금이라도 짖어대는 법이오. 그들도 각자 제 주인을 위해 일하고 있었소. 다만 그들이 좋은 시운을 만나지 못해 제 몸을 파멸시키고 만 것이 유감스러울 뿐이오. 비록 천명은 달랐지만 그들도 모두 일세의 영웅들이고, 좋은 세상을 만들려고 애쓴 훌륭한 인물이었소. 반드시 유해를 전시하지 않아도 좋소." -『반삼국지』- 하에서 page 361


책의 두께가 실로 엄청나지만 읽는 내내 빠져들게 하였습니다.

특히나 삼국지에서는 정의가 패배하게 되어서 마지막에 아쉬움과 허탈함이 있었는데 이 책은 정의가 승리를 하고 단순히 권선징악을 표현하지 않아서 흥미로웠던 같습니다.

그리고 작가가 했던 이야기가 생각이 났습니다.

이 『삼국구지』야말로 삼국시대의 '야사'이고, 인간 세상에 아직도 진실이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해주는 증거다.

'정사'와 '야사' 모두 진실을 향해 있지만 그 길이 조금은 다를 뿐이라고 느꼈습니다.

그것에서 진실을 찾아내는 것이 우리들의 몫이라는 것을 느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