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부자 16인의 이야기 - 조선의 화식(貨殖)열전
이수광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부자'라는 단어만으로도 부러움의 요인이 됩니다.

요즘처럼 더더욱 부를 축적하기 어렵다고 느껴지는데 조선 시대라 함은 계급도 존재하기에 더 힘들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지금의 제 단순한 생각과는 달리 부자의 진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들을 통해 배우는 진정한 부자들의 이야기!

그래서 더 이 책의 매력에 빠지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16인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습니다.

사실 저는 이 사람들 중에 아는 사람이라곤 '김만덕', '최부자' 뿐이었습니다.

처음에 등장한 '백달원'부터 마지막의 '이경봉'까지 정말 한 분도 빠짐없이 그들의 신념은 본받을 만 하였습니다.

책의 들어가는 글에서 사마천이 《사기》<화식열전>의 한 부분을 발췌하였습니다.

최선의 지도자는 백성 마음에 따라 다스리고, 차선의 지도자는 이익을 미끼로 다스리고, 그다음 지도자는 헛된 도덕으로 백성을 설교하고, 최악의 위정자는 백성과 싸우려고 한다.

이 말처럼 이 책의 사람들은 최선의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첫 장의 '백달원'의 경우에도 굳이 소금장사를 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그러나 그가 함주에서 소금을 사오는 것은 이익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소금이 없으면 삼수갑산 사람들이 살아갈 수 없었기 때문이다. - page 17

그는 처음부터 양반은 아니었지만 보부상으로써 점차 부를 축적하고 마침내 조선 최고 부자가 되었습니다.

'강경환'의 경우도 얼음장사로 돈을 번 부자였습니다.

그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았습니다.

'돈이란 물처럼 흘러야 한다.'

강경환은 집안의 재물을 쌓아두지 않으려 했다.

"강민들의 원성을 사면 안 된다."

강경환은 얼음을 팔아서 번 돈을 강민들을 위해 썼다. 강민들에게 쌀을 나누어주고 강민들이 가난해도 돈을 빌려주었다.

"강민들이 어떻게 돈을 갚겠습니까? 빌려주면 돈을 죄다 떼일 것입니다."

집사인 김응원이 강민들에게 돈을 빌려주지 말라고 했다.

"돈을 받지 못하면 일이라도 시키면 된다."

강경환은 돈을 빌려주고 받지 못할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애경사는 반드시 찾아가서 축하하거나 위로했다. 강경환은 철저하게 인심을 잃지 않았다. - page 181

이는 오늘날의 부자들에게, 지도자들에게 하는 일침과 같았습니다.

이 책의 부자들의 경우 한결같이 '민심'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책에서는 말을 합니다.

부자의 소중한 가치는 축적보다 분배에 있다. - page 388

혼자만 잘 산다고 부자인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부자의 3요소인 축적, 증식, 분배가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부가 완성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부는 이루기도 어렵지만 지키기도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윗자리에 올랐다고 나태해지거나 무시하는 태도를 지니는 것보다는 항상 노력하고 자신의 결심이나 뜻에 따라 실행하며 나 혼자가 아닌 다른 이들에게의 따뜻한 배려가 있다면 우리 모두는 진정한 부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