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를 보다 1 : 회화사.조각사.도자사 - 이미지와 스토리텔링의 미술여행 한국미술사를 보다 1
심영옥 지음 / 리베르스쿨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의 미술사에 관한 책은 시중에 많이 출간되었습니다.

아마도 제일 많이 접할 수 있는 부분이 이탈리아의 미술사에 관한 것일 겁니다.

저 역시도 워낙에 우리가 들어보면 아는 인물들이 있고 그들의 작품들이 고스란히 존재하기에 많이 이야기들이 서술되는가 봅니다.


한국미술사에 관한 책은 서양미술사보다는 덜 접하였습니다.

그래서 이 책에 눈길이 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의 매력은 이와 같았습니다.

이미지와 스토리텔링의 미술 여행

단순히 작품만을 이야기 하지 않는다는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2권으로 구성된 이번 『한국미술사를 보다』에서 우선 1권은 회화사, 조각사, 도자사에 대해 서술되어 있었습니다.


우선 회화사를 살펴보면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감을 알 수 있었습니다.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실 생소하였지만 사진과 함께 설명된 이야기는 앞으로도 전개될 우리 민족의 회화에 대한 정체성을 알려 주었고 우수함을 드러내 주었습니다.

특히나 잘 알려진 조선시대의 회화사를 살펴보면 이때는 회화의 전성기, 유럽으로 따지자면 르네상스 시대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들의 작품은 세계 어디에 내 놓아도 손색이 없는, 우리 자랑스러운 조상님들의 작품에 또 한 번 감탄하였습니다.


 


또한 더 나아가 현대의 우리 회화사를 살펴보는 대목에선 잘 알려진 백남준씨의 비디오 아트가 국내외 미디어 아트를 선도했음에 자랑스러움을 느낍니다.

 

조각사를 살펴보면 이 역시도 선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감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직도 곳곳에 남아있는 신석기 시대의 생활용품들.

그리고 삼국 시대의 불상들은 하나같이 뛰어난 조형 감각과 예술성을 지니고 있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조각사는 불교문화에서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넘어가게 되었고 점차 탈장르화가 된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사실 아무런 설명이 없었다면 이해하기 난해한 작품들.

하지만 그 속의 작가들의 심정은 이 책을 통해서 조금은 유추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도자사에 대해서 살펴보면 삼국 시대의 정교한 토기 제작 기술을 선보였으며 점차 부드럽고 세련된 조형미가 나타남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근대에 일제가 원료와 조선인들의 노동력을 찾취하기 위해 우리나라 도자 산업에 자본을 투자하고 점차 전통 도자기에 대한 관심이 사라진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았습니다.


다양한 자료들과 함께 이어진 친절한 설명은 한국미술사에 대해 문외한 저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너무나도 짧게만 느껴진 한국미술사에 대한 설명서.

이 책이 좀더 많은 이야기를 해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너무나도 간절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