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니아의 소중한 것과 오래도록 함께하는 생활
가도쿠라 타니아 지음, 김정연 옮김 / 테이크원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결혼을 하고 난 뒤 집안 꾸미기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비록 내 집 장만은 못하였지만 남편과 아기와의 공간을 꾸미는 것은 제 몫인 것처럼 도배나 가구 등을 직접 발품을 팔거나 인터넷의 정보바다에 빠져서 헤엄치기도 하였습니다.

이 책의 뒷표지를 보면 다음과 같은 문구가 있습니다.

집이란 궁극적인 '물건'이 아닐까요? 다른 사람들을 초대하고, 요리하고. 집도 사용하는 것에 따라, 생활하는 것에 따라, 조금씩 자신의 것이 되어간다는 것을 느낍니다.

'집'이라는 공간!

어디를 가더라도 결국은 내 집이 편하다고 하듯이 나만의 공간인 '집'

그 공간에 대해 누구에게나 애착이 있을 것입니다.

책을 읽어보면 작가가 좋아하는 물건에 대해 짧은 글들이 소개되고 있었습니다.

저도 집을 꾸밀 때 거실 공간에는 제가 그린 '그림'으로 장식을 하였습니다.

그림이 주는 의미 뿐만 아니라 그 자체의 이미지도 하나의 인테리어가 되고 때론 위안도 되는 듯하여 장식을 하고 있습니다.

저자 역시도 '양귀비 그림'을 장식했다고 하는데 이 그림에는 시누이와 저자의 사연이 담겨 있기에 더욱 의미가 있게 그 공간을 꾸며주었습니다.

핸드백을 지갑으로 하였다는 부분에서는 크게 공감하였습니다.

여자들의 지갑이라는 것은 최소한으로 넣는다고 해도 지갑이 미어터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지갑을 수시로 열고 닫기 때문에 금방 헤지기가 쉬운데 저자의 말처럼 핸드백을 지갑으로 사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마 많은 이들이 얘기할 것입니다.

화장실은 그 집안의 얼굴이 된다는 것을......

어떻게 꾸며도 크게 티가 나지 않는 공간이 화장실이고 은근히 수납해야 할 것도 많은 곳이 화장실입니다.

저자는 '화장실'에 대한 팁을 많이 주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불편했던 점을 바꾼다면 -예를 든다면, 수건의 색깔이 굳이 흰 색일 필요도 없고 많이 사용하기에 색이 바래질 수 있기에 짙은 색의 수건을 활용하면 보다 깔끔하게 보인다는 것- 화장실이라는 공간도 멋진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고 말해주었습니다.

보다 많은 내용으로 많은 생활의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면 좋았을텐데 그래도 이 책을 읽으면서 나에게도 의미가 있는 물건들, 또한 생활하면서 불편함을 느꼈던 부분들에 대해 생각의 전환 등을 통해서 나만의 공간을 다시 재정비 해 보고자 하는 생각이 들게끔 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