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 - 오늘날의 세상을 만든 6가지 혁신
스티븐 존슨 지음, 강주헌 옮김 / 프런티어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1. 이책은?

* 제목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

 저자: 스티븐 존슨       

 출판사프런티어      

 읽은 날짜2015.08.07 ~ 2015.08.10


2. 내용

*주요내용'혁신'의 탄생이라는 점에서부터 시작하여 이것으로부터 우리의 생활에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크게 세상 을 바꾼 혁신 중 유리, 냉기, 소리, 청결, 시간, 에 대해서 다루고 있었습니.

*핵심문장 및 가슴에 와 닿았던 문장들(5가지 이상): 


 혁신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에서 시작되지만, 그 혁신이 사회에 확산되기 시작하면 결국에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변화까지 끌어내게 된다. - page 10


 과학과 혁신의 역사에서 흔히 확인되듯이, 뭔가를 측정하는 정밀성이 크게 발전하면 새로운 가능성이 나타난다. - page 83


 새로운 테크놀로지는 예외 없이 현실의 제약을 극복하는 새로운 방법이지만, 때로는 이런 테크놀로지의 오작동이 '인접 가능성'에 새로운 문을 열어주기도 한다. - page 144

 

 하지만 혁신적인 발명은 다른 분야, 얼핏 생각하면 시간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듯한 분야에서 생겨난다. - page 220


 아이디어는 과학적 지식에서 조금씩 흘러나와 상업적 세계로 흘러가고, 이때 뜻하지 않게 예술과 철학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들어가기도 한다. 그러나 때때로 거꾸로 미학적 사색이 자연과학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기도 한다. - page 273


3. 책의 견해

 여기에서 다루는 소리나 청결, 시간, 빛과 같은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받아들여서 생각지도 않았던 분야였습니다. 하지만 이 무형물들도 역시나 누군가에게는 관심의 대상이 되어 그것을 연구하게 되고 그리고 의도치않게 나쁜 방향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으니 발전하는 과정은 참으로 동전의 양면성을 띄고 있음을 다시한 번 느끼는 바 입니다.

 이 책의 경우 여러 방면의 예시를 삽화로 이해를 돕기도 하여서 좋았습니다.


 

 또한 이 책을 읽다보면 참고문헌으로 많이 인용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그래서 내용에 더 신뢰감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4. 무엇을 생각했는가?

  이 책을 읽으면서 '롱 줌(long zoom)'역사를 알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고막을 때리는 음파의 진동부터 대중의 정치적 운동까지 어떤 사건을 다각도로 한꺼번에 조사함으로써 역사의 변화를 설명하려는 시도를 뜻한다고 합니다. 이 개념을 가지고 6가지 주제를 접근하였습니다. 그렇게 하니 '혁신'이라는 것은 한 분야에 극한된 개념이 아니라 네트워크처럼 서로 간의 연관고리가 있었고 우리가 예상치도 못한 방향으로의 발전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혁신은 한 천재의 '유레카'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인류의 역사를 이끌어온 많은 혁신이 네트위크의 산물이고, 오랜 숙성의 과정을 거친 결실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더 깨닫게 되었습니다.

 

5. 이 책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 사소한 불편함이 먼 훗날 어떻게 발전할지 누구도 예상치 못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