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 심리학 - 뇌가 섹시해지는
앤 루니 지음, 박광순 옮김 / 생각정거장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 '사회'라는 공동체 속에 혼자가 아닌 남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을 때 서로간의 이해관계가 요구됩니다.


우선 나에 대해서 잘 알아가는 것, 다른 사람에 대해서도 알아가는 것.

저에게 '심리학'이라는 개념은 이러한 것이었습니다.


이 책에서는 '마음', '생활', '원인'이라는 3가지 주제로 심리학을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우선 뇌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뇌는 크게 2개의 부분, 즉 2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고 각 반구에는 동일한 조직들이 들어 있고, '뇌들보'라 불리는 두터운 활꼴의 신경 다발을 통해 두 반구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뇌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 다음에 심리학, 정신의학, 신경학의 관계에 대해서 짤막하게 서술하고 있었습니다.

결론은 뚜렷하게 이것으로 인한 것이라고 내릴 수 없었지만 모두가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었습니다.


또, 책을 읽다보면 우리가 잘 아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눈에 띄었던 것은 '파블로프의 개'였습니다.

이로 인해 심리학 용어 '고전적 조건부'와 '조작적 조건부'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하였습니다.


책에서는 다양한 실험에 대한 소개도 있었고 여러 사례들도 제시하고 있어서 심리학이라는 분야에 대해 잘 모르던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공감이 되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제가 눈에 띄게 읽은 부분은 다음의 부분이었습니다. 

인간의 모순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이었는데 레온 페스팅거의 말도 인용되었습니다.

"인간은 이성적인 동물이 아니라 합리화하는 동물이다."

스스로의 결정에 대해 합리화시킨다는 점.

아무래도 저에게 하는 이야기같았습니다.


심리학이라는 분야는 하나로 정의할 수 없었습니다.

철학이나 진화생물학, 법학, 나아가서는 생물학적 유산의 산물이라는 심리학의 범위는 넓고도 다양하였습니다.

전반적인 심리학에 대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