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라는 세계 -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살 것인가
켄 베인 지음, 오수원 옮김 / 다산초당 / 2025년 3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정말 열심히도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초·중·고 12년, 대학 4년, 자격증, 토익, 입사, 승진 시험...
하지만...
정말로 '공부'를 한 것일까......?!
이 질문을 마주하자 순간 쎄~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럼 난 그동안 무엇을 한 것일까...
책은 세계 최고의 교수법 전문가이자 하버드대학교 마이클 샌덴 교수 등 '세계적 석학들이 인정한 멘토'켄 베인'이 30년간 '최고의 공부'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집대성했다고 했습니다.
스스로 원하는 삶을 찾기 위해 깊이 있는 배움을 쫓았던 100여 명과의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는 진정한 의미의 공부.
저도 이번을 계기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어떤 질문이 오늘의 삶을 만들었는가?'
'어떤 결정이 지금의 차이를 만들었는가?'
배움에 대한 해답을 찾는 여정이 다시 시작된다!
『공부라는 세계』
모든 사람이 부와 명예를 쌓고 성공하기 위해 공부를 '수단'으로 합니다.
그래서 높은 성적에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점수는
당신이 누구인지,
삶에서 무슨 일을 할 수 있는지,
얼마나 창의적인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얼마나 많은 것을 이해하고 있는지
를 알려주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물론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해도 자신에 관해 아는 것이 없는 것은 매한가지입니다.
그렇더라도 우리가 공부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누구나 유일무이한 존재입니다."
각자 나름의 철학, 관점, 육체적 긴장 상태, 출신 배경을 갖고
어떤 누구도 같은 인생을 살아가지 않는
오롯이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함이 아닐까!
그렇기에 공부를 수단이 아닌 '목적'을 위한 공부를 해야 함을 저자는 우리에게 이야기하고자 하였습니다.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1장은 먼저 풀 베이커 교수의 '능력 통합' 강의를 통해 자기 이해를
2장은 전략적·피상적·심층적 학습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며 스스로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한 배움은 어떤 방식이어야 하는지를
3장은 우리의 생각을 오염시키는 '또 다른 생각'들을 통해 올바른 생각법이 무엇인지를
4장은 실패를 둘러싼 다양한 이론과 사례를 보며 실패를 받아들이는 유연한 태도의 중요성을
5장은 탐사 보도 과정을 통해 끝까지 집요하게 파고들며 의심하는 태도를
6장은 자존감이라는 오해와 착각을 다루며 진정한 의미의 자존감을
7장은 자신의 삶을 다양한 분야에서의 배움과 연결 지은 사람들의 사례를 통해 호기심을 탐구하는 자세의 중요성을
8장은 독서법과 암기법, 글쓰기 등 공부법에 관한 간단한 조언을
담으며
'배움의 주도권'을 잃지 않고 계속 배우고 성장하며 '나'를 완성하길 바라며 책을 마쳤습니다.
생각보다 책이 잘 읽혔습니다.
사례들을 통해 분석하고 통찰했기에 이해하기도 쉬웠고
무엇보다 내 모습을 되짚어보는 계기가 되었기에,
그리고 부모의 입장으로써 아이에게 마냥 공부하라고 하기보단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를 제대로 알려줄 수 있었기에
많이 배우고 깨닫게 되었습니다.
배움은 경험에서 오지 않는다. 배움은 경험을 성찰하는 데서 시작한다. - page 241
이 문장이 저에게는 큰 울림으로 다가왔습니다.
단순한 경험이 아닌 경험을 통해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고 실패에도 의연하고 부단히 노력해야만 비로소 나의 조각을 맞추어갈 수 있다는 것을.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배움임을.
하지만 우리의 사회는 그 과정을 기다려주지 않다는 것을...
그럼 우리가 진정한 배움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공부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는데 창의적인 인간을 바라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 속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였습니다.
"뭔가를 확실히 습득하면 자신을 보는 시각이 달라집니다. 내가 타인과 다른 별개의 존재란 인식이 생겨나는 겁니다. 우리는 모두 각자 특별한 방식으로 이런 능력을 부여받았어요." - page 317
이제라도 제대로 배움을 향해 달려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