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모든 것을
시오타 타케시 지음, 이현주 옮김 / 리드비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전대미문의 아동 동시 유괴 사건.

3년 만에 나타난 아이.

그로부터 30년 후...

흥미를 유발하였습니다.

공백의 3년...

어떤 사연이 숨어있을지 기대하며 책을 펼쳤습니다.

'공백의 3년' 동안 그 아이에게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가?

미궁에 빠져 버린 사상 초유의 아동 동시 유괴사건

30년이 지나 진실을 파헤치는 기자, 그리고 사실을 좇는 화가

존재의 모든 것을



1991년 (헤이세이 3년) 12월 11일

일몰에서 이미 1시간 반이 지난 오후 6시 무렵, 계절에 맞지 않는 얇은 파카를 걸친 소년이 자전거를 타고 학원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었습니다.

"아쓰유키."

마스크를 쓴 작은 체격의 남자의 물음에 답하려는 순간, 갑자기 등 뒤에서 얼굴에 천 같은 것이 뒤집어쓰워졌습니다.

그렇게 현장에 남겨진 자전거와 타이어 자국, 현장 탐문 결과 납치 사건으로 판단하고 오후 6시 26분에 긴급 수배를 걸게 됩니다.

그런데 다음 날...

가나가와 현경은 일본 범죄 사상 유례없는 전개에 직면하게 됩니다.

1991년 12월 12일

오후 2시 27분, 요코하마시 나카구 주택에서 경찰에 신고가 접수됩니다.

"손자가 유괴당해 몸값을 요구받았다."

'아동 동시 유괴'

하지만...



오후 10시 5분,

"다치바나 아쓰유키를 가와사키 시내에서 구출."

결국 나이토 료는 구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런데...

1994년 12월 14일

해가 진 뒤 오후 5시가 넘어 요코하마시 나카구 야마테초 기지마의 집 인터폰이 울이게 됩니다.

"나? 누구니?"

"료."

"어? 료니? 료야?"

일곱 살로 성장한 자신의 손자가 나타난 것이었습니다.

굳게 입을 닫고 있는 아이.

공백의 3년...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2021년 12월 몬덴 지로는 장례식장에 참석하게 됩니다.

30년 전 한 사건을 계기로 만났던 당시 관할서 형사였던 나카자와.

당시 몬덴은 다이니치신문 요코하마 지국의 2년차 기자였고 나카자와는 건담 플라모델로 서로 가깝게 지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나카자와의 장례식장에서 나카자와의 후배 형사였던 센자키가 몬덴에게 흑백사진 기사를 건네주는데...

제2탄, 훈남 인기 화가는 유괴 사건의 피해자였다!

다름 아닌 30년 전 유괴된 나이토 료가 총망 받는 화가라는 겁니다.

이 사실에 유괴 사건 당시 용의선상에 있던 인물의 남동생도 화가라는 점이 떠오르게 되는데...

시효가 지난 지 오래된 사건이라 경찰은 조사할 수 없었지만

가나가와 동시 유괴 사건은 엄연한 범죄였다. 피해자가 무사히 돌아오자 세상에서는 모두 끝났다고 생각하지만 범행 그 자체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어른에게 끌려간 어린 아이들의 공포와 절망은 확실히 존재하는 이 세상의 불행이다.

형사들이 시효로 무기를 빼앗긴 지금이야말로 펜을 든 저널리스트가ㅏ 미해결에서 '미(未)'의 글자를 떼러 갈 때다. - page 343

은퇴를 앞둔 그는 끈질긴 취재로 단단히 봉인되었던 '공백의 3년' 속 감취진 존재가 드러나게 됩니다.

간만에 좋은 작품을 읽게 된 것 같습니다.

읽으면서 줄어드는 페이지가 아쉬웠고 읽고 난 뒤 쉽게 헤어 나오지 못하였습니다.

탄탄한 구성과 압도적인 리얼리티.

작가의 앞으로의 행보에도 관심을 가져야겠습니다.

이 소설에서는 '존재'에 대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였습니다.



마음 깊은 곳에서 다카히코와 료의 '실재'를 쓰고 싶다고 생각했다. '살아 있다'라는 묵직함, 그리고 '살아왔다'라는 대단함. - page 542

그 의미가 애절히 다가와 먹먹함만이 남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