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인생의 전환점에서 나를 발견하고 진정한 행복의 길을 다시 찾고 싶을 때 도움이 되는 책으로
《행복의 정복》, 《자기결정》, 《에밀》, 《몰입의 즐거움》 등을 권했고
고된 일상에 지쳐 마음이 흔들릴 때
《명상록》, 《도덕경》, 《논어》, 《다산 산문선》 등에서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어 마음을 다독여주는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음을
지금 무력감에 빠졌다면
《두 번째 산》,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아직도 가야할 길》, 《자기 신뢰》, 《모든 것은 빛난다》 등으로 현대인의 고질병인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삶의 의미를 발견하며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성찰하기를
지금 내가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피로사회》, 《소유냐 존재냐》, 《평균의 종말》, 《액체 현대》 등으로 현대 사회 시스템의 문제를 직시함으로써 나의 문제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게 도와주었고
역사와 종교에 대한 통찰을 돕는 책들
《총 균 쇠》, 《사피엔스》, 《축의 시대》, 《제국의 시대》 등에서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로 가는지 문명과 역사의 긴 흐름 안에서 겸손하게 우리 자신을 고찰할 수 있기를
냉혹하고 폭력적이며 때로 혐오가 만연한 현실에 염증을 느낄 때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타인에 대한 연민》, 《바른 마음》 등으로 그럼에도 인간에 대한 희망을 놓지 않을 이유를
나 자신과 타인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며 더불어 살아갈 지혜를 얻기 위해
《인간 본성의 법칙》, 《사람을 얻는 지혜》, 《군주론》, 《생각의 지도》,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등
인생이 던진 막막한 숙제 앞에 해답을 찾고 싶은 이들을 위해 엄선된 인문학 책 50권이 실려있었습니다.
목록들을 살펴보니...
저는 주로 <역사와 종교를 통해 인간을 이해하기>에서의 책들을 읽었었고 <인생의 전환점에서 나를 발견하는 책 읽기>에서의 책은 한 권도 읽지 않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아하!
이제 내가 읽어야하는 건...
우선적으로 나를 발견하는 책들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그중에서도 《몰입의 즐거움》이란 책이 제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삶을 행복하게
가꾸어주는 것은
행복감이 아니라 몰입이다."
그동안 몰입을 하며 일을 한 적이 있었던가...?!
목표가 없었고,
차츰 의욕과 집중력을 잃었었고,
마음이 자꾸만 흔들렸으며
불안해지고,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집착하게 된...
그런 저에게 해답은 다름 아닌
주어진 시간에 대한 '몰입'
이라는 것을.
그리고 제 주변에서 권하던 책 《미움받을 용기》.
행복해지려면 '미움받을 용기'가 있어야 한다고 말하는 이 책.
또한 미움받을 '용기'도 필요하지만 행복해지는 데도 '용기'가 필요하다고 외치는 이 책.
이번을 계기로 읽어보아야겠습니다.
"아들러 심리학이 중요하게 내세우는 것은
'평범해질 용기'일세.
왜 '특별'해지려고 하는 걸까?
그건 '평범한 자신'을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지.
평범해지는 것을 무능해지는 것과 같다고 착각했기 때문이지." _ 《미움받을 용기》 속 짧고 좋은 글귀 중
책의 장점은 상황에 맞게 추천된 책들이 있다는 것과 책들마다 '함께 읽으면 좋은 책'의 소개로 사고를 보다 더 확장할 수 있음에 50 그 이상을, 삶의 방향을 다잡아주었습니다.
세상에 당연한 길, 당연한 삶, 당연한 현실은 없습니다. 우리는 늘 지금 이 자리에서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 삶을 선택하고 열어젖히면 되는 거죠.
인문학은 그런 삶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용기를 북돋아 줍니다. 그래서 인문학을 읽는다는 것은 행복해질 자유를 얻는 것이기도 합니다. - page 9
마흔이 되고도 막연하게 불안했던 저.
인문학이라면 마냥 넘지 못할 벽이라 여겼던 저.
그런 저에게 이 책은 '등대'였습니다.
앞으로 지금의 상황에 맞는 책들을 찾아 읽으며 저자가 건넨 이야기에 제 생각도 덧붙여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