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한의원
이소영 지음 / 사계절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서 호기심이 생겼었습니다.

알래스카?

내가 아는 그 오로라를 볼 수 있고 설원 아니던가?

근데 다른 것도 아닌 한의원?

뭐...

그럴 수 있지만...

어떻게 이야기가 전개될지 궁금하였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이미 출간 전 영화 판권 계약 완료!라고 하니 그전에 책으로 먼저 만나보려 합니다.

오른팔에 붙은 유령을 떼어내기 위해

떠난 여정에서, 끝날 줄 알았던

동화 속 이야기가 다시 시작되었다.

"시차 유령은 또

어떤 아이를 먹으러 갔을까요?"

알래스카 한의원



오른팔에 유령이 붙은 건, 9개월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됩니다.

야근 중 짬짬이 박 대표의 강아지를 산책시키던 '이지'.

그날 강아지 록구와 도산공원을 돌아다니다 골목에서 똥을 쌌고, 이지가 그걸 치우려고 허리를 숙이는 순간, 불법 택시인 콜뛰기 차가 이지의 오른팔을 축 쳤습니다.

조금도 움직일 수 없을 만큼 아파 부서졌을 거라 생각했던 오른팔, 오른손은 놀랍게도 뼈에 금이 간 곳도 없고 가벼운 타박상 정도라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분명 아파요."

답답한 노릇이었습니다.

어느 병원을 가도 단순 타박상이라는 결과뿐이었고 오른손과 팔의 끔찍한 통증으로 마우스조차 쥘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결국 일까지 그만두게 됩니다.

병원비로 얼마를 썼을까, 가늠할 수 없을 때쯤에야 병명이 선고되는데 바로 '복합통증증후군'.

병명을 알았다고 해도 원인과 진단법을 알 수 없는 상황에 병명을 알았다는 안도와 동시에 더한 좌절감을 맛보게 됩니다.

이지는 간절한 마음으로 인터넷에서 복합통증증후군에 걸린 사람들을 필사적으로 찾던 중 '복합통증증후군 치유 모임'이라는 네이버 카페를 찾게 됩니다.

그곳에서 헬로키티 인형 탈을 쓴 소녀로부터 놀라운 정보를 듣게 되는데...

"앵커리지 대학 연구진 논문에 치료 사례가 있다고."

...

"치료? 그럼 완치라고요? 복합통증증후군이?"

"네. 앵커리지에서 치료했는데, 놀라운 건 한인 한의원이래요."

"앵커리지가 어디죠?"

"알래스카에 수도가 앵커리지잖아요." - page 24

이지는 소녀의 말대로 '알래스카에 있는 한의원에서 복합통증증후군이 완치되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러나 모임의 사람들은 그 논문이 거짓이라고 말하고, 이 정보를 처음 알려준 소녀 역시 모습을 보이지 않는데...

이지는 논문 속 '완치'의 정체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더불어 이 무모한 여정 끝에 어떻게든 알게 될 진실을 위해 알래스카 한의원이 있는 호머로 향하게 됩니다.

알래스카 한의원의 고담 의사에게 치료를 하면서 그동안 다른 병원에서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질문을 받게 됩니다.

"흠, 그렇군요. 그날 무슨 일이 있었나요?"

"네? 그게 무슨 말씀인지."

"그러니까 그 경미하다는 자동차 사고가 일어난 날 어떤 일이 있었냐는 겁니다."

"그날은 평범했습니다. 일하다가 개를 산책시켰다, 정도."

"좋아요. 루틴이 확실하군요. 그럼 뭔가 독특한 일은 없었나요? 평소와 다른." - page 105

사고 전후를 기점으로 있었던 일을 모두 적어보라는 고담.

먼저 사고 나기 하루 전으로 거슬러 가보면, 그날 마감 중이라 회사 소파에서 잠시 눈을 붙였고, 점심쯤 일어나 배달되 와퍼 세트를 먹고, 산책을 나갔습니다.

평소와 같은 코스로 서점에 가 리터칭한 잡지 표지를 살피다 우연히 한 책에 시선이 닿았는데...

『시차 유령』

특별한 일이라면 바로 『시차 유령』을 샀다는 것.

이지는 이제껏 '동화책을 산 것'과 '자동차 사고'를 연결해본 적이 없었는데 고담이 이 두 사건에 집중하기 시작합니다.

동화책 속 마지막 문장

시차 유령은 또 어떤 아이를 먹으러 갔을까요?

순간 오른 손가락에서부터 통증이 몰려오기 시작합니다.

고담은 자동차 사고라는 매개적 사건이 과거의 통증을 깨웠다고 보았습니다.

당신은 기억을 지웠지만, 과거는 당신을 잊지 않았다. 상처가 났던 몸속 세포들은 기필코 그때의 통증을 잊을 수가 없었다. 당신의 뇌가 아무리 잊으려고 해도 말이다. - page 111

그리하여 동화책 속 내용을 따라가며 이지 역시도 점점 잊고 있던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기 시작하는데...

과연 이지의 오른팔 속 세포가 기억하는 아픔과 동화책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 걸까?

그리고 이지는 오른팔에 붙은 유령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어떤 진실과 마주하게 되는 걸까?

"Hey."(저기.)

"Yes?"(응?)

"Am I going to be cured?"(나 여기서 치료될 수 있을까요?)

"Only Alaska knows tha."(그건 알래스카만 알겠지.)

"What?"(네?)

"Alaska doesn't call anyone. This is a place where only people who are called come."(알래스카는 아무나 부르지 않아. 여기는 부름을 받은 사람들만 오는 곳이니까.) - page 102

통증...

결국 모든 병의 원인은 우리의 마음과도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그리고 그 병을 마주할 수 있는 용기.

오른팔에 붙은 건 '만약에'라는 유령이었다. '만약에 도망치지 않았더라면, 당하지 않았을 아이들의 시간 그리고 사유의 시간'이라는 유령.

It's beginning to hurt. 이지는 옥빛의 빙하 위에서 고담이 지나가듯 말했던 게 떠올랐다. 통증을 치유한다는 건 동시에 '아프기 시작하는 일'이기도 했다. 알지 못했더라면 치유할 수도 없지만, 이미 알아버렸다는 건 또 다른 아픔으로 이동한다는 의미였다. - page 193

그리고 우리에게 건넨 이야기.

"선생님, 세상은 너무 시끄러워요. 그래서 단 한 번도 내 속에 있는 말을 제대로 들은 적이 없어요. 태어나서 한 번도, 단 한 번도...... 그런데 트랩 라인 너머는 고요했어요. 그때 알았어요. 내가 그토록 기다렸던 건 나까지 침묵시키는 고요라는걸...... 그러자 모든 게 선명해졌어요. 내 진짜 목소리. 내 속의 유령까지도.

은하 씨는 그 속에서 자기 목소리를 들었어요. 은하 씨는 아마 그걸 춤으로 표현하고 싶었나 봐요. 송신탑 꼭대기에서 뛰어내려서라도...... 그렇게 하고 싶다는 목소리를 들었을 거예요. 남들은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꿈이라고 해도, 그건 분명히 고요 속에서 외치는 자기 목소리예요.

대부분의 사람은 평생 단 한 번도 듣지 못하기도 하잖아요. 거기도 지금 고요한가요? 그래서 선생님은 들었나요? 선생님만의 목소리를......" - page 295

나는 이지처럼 용기가 있을까...?

내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각자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건넨 위로와 처방이었습니다.

눈보라가 치는 광활한 미지의 대륙.

한 편의 로드무비처럼 알래스카에서의 여정은 끝이 나고 이제 우리의 여정이 펼쳐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무언가 생을 걸고 버리지 않으면, 어느 쪽으로든 나아갈 수 없다는걸. 그리고 나아가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것임을. - page 2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